View : 799 Download: 0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 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 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urden, gratification, and family support of in-home dementia caregiver
Authors
김윤정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치매노인장애기간부양자가정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혜경
Abstract
본 논문은 재가치매노인 부양자의 부담과 만족감이 가족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어떻게 설명되는지를 밝혀보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기능장애.기억행동장애,보호시간이라는 스트레스원이 부양부담 및 만족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부양자의 대처자원과 장애기간이 하나의 중재변인으로 스트레스원이 영향을 완화시키는지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북부노인종합복지관의 "치매가족모임"에 참석하는 가족회원과 그 외 가정에서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1차 부양자 56명이었다. 노인의 기능장애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ADL/IADL(NSLC, 1982)을 기억행동장애는 MBPC(Zarit 등,1982)을, 부양부담은 Bl(Zarit등,1982)을 Choi(1992)가 번역 수정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부양만족감과 가족원의 지지는 선행연구에 근거해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T-test,일원 변량분석, Duncan's Multiple Ranges test,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스트레스원(노인의 기능장애, 기억행동장애, 보호시간)이 부양부담, 부양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한 결과 스트레스원 중 기억 행동장애와 보호시간이 부양부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양부담을 하위요인(속박감, 심리적 고갈)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속박감에는 보호시간이, 심리적 고갈에는 기억행동장애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기능장애보다는 기억행동장애와 보호시간이 부양자에게 더 큰 부담을 안겨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가족원의 지지를 배우자 지지, 배우자 지지만족감, 자녀지지, 자녀지지 만족감으로 측정하여 부양상황에서 가족지지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객관적인 지지빈도와 만족감간에는 높은 상관으로 유사한 패턴이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의 지지가 부양스트레스에서 중재적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배우자 지지와 자녀지지라는 객과적인 빈도만을 이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배우자 지지만이 노인의 기능장애로 인한 부담과 심리적 고갈을 중재한다고 나타났다. 즉, 배우자 지지가 높을 경우, 기능장애로 인한 부담과 심리적 고갈이 낮아진다. 3.장애기간이 부양상황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장애를 보인 기간은 장애로 인한 부양부담과 부양만족감을 중재함이 나타났다. 즉 기능장애를 보인 기간이 길 경우에 부양만족감이 높고, 기억행동장애를 보인 기간이 길 경우에 속박감이 낮아진다. 4.부양자의 사회경제적 자원은 부양자의 연령, 학력, 소득, 첫 자녀 연령, 현재 직업 유무, 노인과 부양자와의 관계로 개인적 자원이 부양스트레스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노인과의 관계(배우자, 아들/딸, 며느리/사위)에서만 유의한 주효과와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부양자가 아들이나 딸이라는 자원이 부양만족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양자가 며느리나 사위라는 자원은 기능장애와 보호시간으로 인한 부양부담과 부양만족감을 중재하였다. 즉, 부양을 아들이나 딸이 하는 경우에는 며느리나 사위, 배우자가 하는 경우에 비해 부양만족감이 높고, 며느리 사위가 부양자인 경우에는, 기능장애로 인한 부담과 속박감, 심리적 고갈이 낮아지며, 보호시간으로 인한 부담과 심리적 고갈이 낮아지고 부양만족감이 높아진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기능장애보다는 기억행동장애와 보호시간이 많을 경우 부양부담이 높아지나. 가족원의 지지와 개인적 자원, 장애기간이라는 중간변인은 기억행동장애나 보호시간보다는 기능장애로 인한 부양부담을 중재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상노인부양보다는 치매노인 부양이 부양자에게 좀 더 부담스러운 일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The pur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rden and gratification of in-home dementia caregivers according to their family interaction. A total of 56 caregivers were selected from the "Meeting of dementia family" of Buk-Bu We1 fare Facility and in-home dementia caregivers. As tools of measurement, NSLC's "Activity of Daily Living,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 Zarit's "Memory Behavior Problem Check1ist," Zarit's "Burden Interview, " were amended by Choi(1992). And then they were revised by the author and made use of for this study. The gratification and family support were mady by the author .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frequency, t-test, onway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were verit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it.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1.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if the stressor makes an influence upon the distress. Memory behavior problem and caring time effect on the burden. Therefore, classified into two subfactors(the feeling of restraint,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burden the was analyzed. As a result, caring time effects on the feeling of restraint, and memory behavior problem have influence upon the psychological exhaust ion. Therefore, caregivers suffer more difficulties from helping the meory behavior problem and caring time than the activity impairement. 2.Family support was mearsured by spousal support, spousal support, satisfaction, child support, child support satisfaction. the family support, under the care context, in both objective support and subjective satisfaction, doesn't mediate the effect of stressors on distress. And the objective support and subjective support were highly correlated, so that similar pattern turn out. Therefore the intervention effects of support was analyzed by objective support frequency. As a result, spousal support moderates the burden due to the activity impairement. Namely, the burden and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due to the activity impairement were lower when spousal support higher. 3.In the effect of the caregiver's social economics resource, main effect and buffering effect were seen in relationship: spouse, son/doughter, son-in-law/daughter-in-law. In the case of caregiver was son and daughter, the relationship effects on the gratification. And in the case of caregiver was son-in-law and daugher-in-law, the relationship moderates the burden abd the gratification due to activity impairement and caring time. So, son and daugher group was more gratifying than the other 'group. The burden, the feeling of restraint, and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owing to activity impairement were lower and the burden, the psychological exhaustion due to caring time were lower. The gratification from caring time was higher when caregiver was son-in-law and daugher-in-law. 4.Under the care, the duration of impairement moderates the burden and the gratification due to imparement. That is, the gratification was higher when the duration of activity impairement was longer, and the feeling of restraint was lower when the duration of memory behavior problem was longer. This paper provides buffering effects of spousal support and relationship on burden due to the activity impairement. However, the burden due to memory behavior problems was moderate by only dur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