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어린이 친구지각에 관한 연구

Title
어린이 친구지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children's perceptions in friendships : focusing on supportive relationship
Authors
임아화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어린이친구지각supportive relationship교육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children's perception of supportive relationship of their own friendship. Concret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Does children' s of supportive relationship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nces (sex, age, type of friend)? 2. Does children's perception of 7 subvariables of supportive relationship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variances? 3. How is a feature of friendship perception as supportive relationship between 6 year's picture and 8 year's on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hose of 6 years of kindergarten and 8 years of elementary school, total of 155 boys. and-girls, Those school were located in Seoul. The method are the interview with questionnaire and children's picture. The questionnaire was made following the method of Berndt & Perry (1986)'s research and Paik, Hwa Jeong (1989)'s research. The data were annalyzed by 2×2×2 (type of friend x sex n age) ANOVA. Children's Picture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and persentage according to subvariables and object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Sex difference I'n supportive friendship perception was unclear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 and type of friend.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ldren perceive the friendship as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age , that children discriminate clearly between friend and acquaintance . Also there ar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sex. 2. All 7 subvariables except "conflict“ showed not effect of sex. Variables such as "play/association, It "prosocial action," "loyalty" and "intimacy" showed main effect of age. Also 7 subvariables showed a main effect in the friend and acquaintance. In sum, children regard their friend as supportive one than the acquaintance. 3. In the picture analysis, all children showed the perception on "play/association. " Their were other feature of children's picture; indoor play, 6 years like playing house, dool, blocks, and 8 years like game machine, T.V. Video: outdoor play, 6 years like a play-ground, firework play and a battle play, and 8 years like a exercise such as basketball football and badminton.;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이 친구관계의 지지적 기능이 중시되는 시기에 지지적 측면에서 친구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으로 아동이 실제친구로부터 얼마나 지지받고 있다고 지각하는지를 친구유형, 성별, 연령별에 따라 측정하고 아동의 그림에 나타난 친구지각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지지적 관계에 관한 친구지각은 성별, 연령, 친구유형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지지적 관계의 7개 하위변인 각각에 대해 친구지각은 성별, 연령 친구유형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의 그림에 나타난 지지적 관계에 관한 친구지각은 6세와 8세 아동 각각에 어떤 특징이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과 국민학교에 다니는 6세 아동와 8세 아동 155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면접과 아동의 그림그리기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Berndt&perry(1986)와 백화정(1989)의 아동지각 측정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이다. 수집된 자료는 친구유형, 성별, 연령별에 따라 2×2×2(친구유형×성별×연령)의 요인변량분석(ANOVA)를 하였으며, 그림분석은 그림내용 및 아동의 논평에 따라 주제별로 분류하고 그림수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지적 관계에 대한 아동지각의 성별차는 없었고. 연령, 친구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적 관계에 대한 지각이 증가하고 가장 친한 친구(best friend)와 친구 (acquaintance)간에 구별을 뚜렷하게 하며 친구보다 가장 친한 친구에게 지지적 원조를 보다 많이 받는다고 지각한다는 것을 의미해 준다. 또한 지지적 관계지각에 연령과 성별이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는 연령증가에 따라 지지적 관계에 대한 지각이 상승하였으나 여아는 별차이가 없었다. 2. 지지적 관계의 7개 하위변인에 대한 친구지각의 성별차는 갈등 변인을 제외하고는 유희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갈등변인에 나타난 성별차는 남아가 여아보다 갈등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구 지각에 대한 연령차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즉 '공유활동', 친사회적 행동', '신의', '친밀감'의 변인에서는 연령에 따라 아동의 친구지각도 증가하였으나 '애착/자존심 상승', '갈등', '정보' 에서는 별차이가 없었다. 친구지각에 대한 친구유형에 따른 차이는 7개 하위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아동은 가장 친한 친구(best friend)와 친구(acquaintance)를 분명히 구분하며 가장 친한 친구에게서 지지적 원조를 보다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한다는 것이다. 3. 아동의 그림에서는 '공유활동'에 대한 지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그림에 나타난 놀이의 특징은 실내놀이에서 6세아동이 소꿉놀이, 인형놀이, 블록놀이를, 8세 아동이 오락기구, T.V, 비디오를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외놀이에서는 6세 아동이 놀이터놀이, 불꽃놀이, 유격대놀이를 , 8세 아동이 농구, 공차기, 배드민턴과 같은 운동량이 많은 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