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家具의 모듈化 및 시스템 퍼니처 디자인에 관한 硏究

Title
家具의 모듈化 및 시스템 퍼니처 디자인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ulation of Furniture and The Design of System : Emphasis on the Storage Household in an Apartment House
Authors
최순희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가구모듈화시스템 퍼니처 디자인수납가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吉弘
Abstract
Search for a more agreeable life results in a continuous improvement of living and growing desire for upward level which we called a characteristic of the moderns speed upthese improvement far beyond agreeable. In this context, qualify and quantity of an agreeable life is varyi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 We way say the time of the qualify had already broght over and now we deserve more than those quality. As a result, object of design(interior enviroment of present and future) is to create a proper space which coincides with the living pattern of human. This study aims at the residential furniture that leads an ideal human behavior and surroundings. Also in this study, I follow up designing the system furniture especially storage shelves in living area with intent to change irregular residential surroundings into ordered and harmonious environs. These system furnitures make it possible for users to select actively on the basis of mas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is study is bounded by its range only to apprenand correlations among human and environment(residential area), human and manufacture(residential furniture), manufacture and environment. 2. I presume the residential area as a minimum unil for design process and analyze whole environment with the view of it. 3. Three design premises ;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rketing should be focused on design process. Various related theories are used as the method of multilateral approach. 4. Residential furniture is selected as an object of product design and its process are examined. 5. To tind existing problems of residential furniture, I checked the efficiency of residential furniture as a product and tested furnitures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y random sampling. Result ; They are estimated disordered, improper and discord. 6. After analyze anthrophormetric charater of korean figure and their living conditions, ideal module unit is extract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for design process. 7. In conclusion, modulated system furniture should function as follows ; * Effective value of furniture can be promoted together with a suitable form and function of its use. * With human engineering background and its application, it should function as a structural el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lection of proper materials and determination of product process. * Make up reasonable prices with the concept of mass product so the users should be access easily. * We should introduce some consequence which satisfy the desire of users.;보다 쾌적한 생활에 대한 욕구가 계속적인 진보를 발생시켜 왔다. 현대인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왕성한 상향심은 진보상태를 가속시켜 쾌적함을 넘어선 단계까지 요구하게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쾌적한 생활에 대한 진도 시대와 더불어 변해가고 있다. 질의 시대를 맞이한지는 오래되었고, 현재 요구되고 있는것은 이미 그 이상의 것이다. 결국 현재와 미래의 실내환경디자인은 인간의 생활 형태와 욕구에 맞는 공간의 창조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적인 인간행동과 주거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주거용 가구디자인을 위한 것이다. 무질서한 주거환경을 질서와 조화의 공간으로 친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주거에서의 수납 해결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 가구를 계획하였다. 이는 대량생산과 소비자 유통을 전제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선택이 가능한 제품으로서의 시스템가구이다. 디자인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본 인구는 인간과 환경(주거공간), 인간과 제품(주거용 가구), 제품과 환경이라는 관계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인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2. 디자인을 위한 방법론은 주거를, 인간을 둘러싼 환경중 최소의 단위로 설정하고 전체환경을 보는 시각과 관점으로 적용하였다. 인간과 행동과학이론, 제품론, 시스템이론, 모듈화 의미, 그리고 관련이론으로 다학문적 접근 방법을 취하였다. 3. 디자인의 전제는 생산/유통/판매 단계를 목적으로 하는것으로 이를 위한 디자인과정을 중심으로 그 방향을 선정하였다. 이의 연구를 위하여 관련분야의 이론을 고찰하였다. 4. 제품디자인의 대상물로써 주거용 가구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위한 제품디자인 과정을 연구하였다. 5. 현재 우리의 주거용 가구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 제품으로서의 주거용 가구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외 기존 가구회사의 모듈 현황과 무작위 추출로 중산층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는 무질서하고 부적합, 부조화한 체계로 평가되었다. 6. 한국인의 형태와 주생활 공간을 분석하여 이상적인 모듈단위를 추출하여 디자인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였다. 7. 모듈화된 시스템가구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함을 결론으로 얻었다. *용도에 적합한 형태와 기능 및 구조로 가구의 효용가치를 높혀야 한다. *인간공학적 배경과 적용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여 최선의 주거환경의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적정재료의 선택과 가공방법 등, 생산공정의 결정에 유의해야 한다. *대량생산의 개념을 가져 적정가격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사용자의 요구성향을 충족시킬수 있는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