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발레 공연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조사 연구

Title
발레 공연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eneral Perception to the Ballet Performances
Authors
金明順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발레대중인식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洪良子
Abstract
이 연구는 클레식 발레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과 지식도를 조사하고, 그리하여 클레식 발레가 실생활의 한 부분으로서 더욱 대중과 가까운 예술이 될 수 있도록 제언을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문항들과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문항들로 이루어져 있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서울, 부산, 광주, 청주의 시민들을 변인별로 617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결과를 요약한다면 다음과 같다. 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에 대하여 응답자들이 반응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을 얻은 문항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라는 문항이었다. 학력이 높을수록 이 문항에 많이 응답하였으며, 무용에 대한 개념인식은 성별이나 연령별, 그리고 거주지역별과는 관계없이 고르게 퍼져있는 것으로 보인다. 무용공연에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를 물어본 결과 가장 많은 응답을 얻은 문항은 관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삶의 여유와 휴식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것을 미루어볼 때 관객에 대한 긴밀한 연구가 실행되어 무대와 관객과의 거리를 좁혀나가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발레공연을 본 경험유무는 오로지 응답자들의 성별에 의할 때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다른 요인들은 별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발레공연에 대한 홍보는 남자들에 대한 홍보가 위주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발레를 전공하는 사람이 주위에 있는 경우에는 발레공연을 가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발레공연 관람의 빈도가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관람자로 이끌어 가는데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아직도 발레는 여자만을 위한 직업, 또는 남자가 하기는 어려운 직업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발레를 하는 사람에 대하여 느끼는 느낌을 본다면 가장 많은 응답자들이 응답한 것은 힘든 직업이라고 느낀다는 것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관중들은 발레공연에 대하여 비교적 소극적이며, 또 발레공연을 보거나 발레를 배울 수 있는 기회도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문조사의 결과 발레에 대한 개념이해나 발레공연에서 중요한 점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볼 때, 대중들의 발레에 대한 지식이나 인식은 비교적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확한 지식을 토대로 실생활의 직접적인 한 부분으로서 발레에 대한 열정을 이끌어 내야 한다. 또한 고등학교 이전의 교육과정에 발레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전달할 수 있는 교과를 만들거나, 기존 교과에 내용을 삽입하여 발레에 대한 기초지식을 전달하여야 할 것이며, 대학 교양과정에서도 발레를 포함한 무용전반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대중매체를 통해서 발레 작품을 자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며, 발레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에 대한 지식도 함께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발레홍보를 더욱 강화하여 발레공연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모일 수 있도록 애써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contracted to survey the general thoughts and knowledge condition about the classic ballet, so to make classic ballet a better convinient kind of art for generalsin their actual lives. To achieve above-mentioned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derived from literature survey, and self-making. The respondents of this questionnaire was 617 persons who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rom Seoul, Pusan, Kwangju and Cheongju.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spondents of this study seemed to think dance as an art which express human thoughts and feelings. The more respondent is educated, this tendencies is confirmable, but this tendency is stable regardless of respondents' sex and regions of their residencies. 2. The most precious value dance performance has is, they think, easiness for audiences' understanding. The respondents also think that the dance performance should help audiences to enjoy better life and rests. 3, The advertisement for ballet should be concentrated to male because male repondents had less experiences in ballet performance, and this resul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People who has neighbors or acquintances who are majoring ballet have more experiences in ballet performance. 5. Korean people seemed to think ballet a profession only for females 6, And they think ballerina or ballerino as a hard work Followings ar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at can be drafted from the above: 1. Korean audiences are somewhat passive, and they have not been given much oppotunities in ballet performances or ballet education. However they have an exact understanding about ballet. 2. A subject which ran teach the students about ballet should be added into the school curriculum. 3. Advertisement thru mass media about ballet should be more emphasized to gather audiences mo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