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7 Download: 0

판매환경의 이미지 표현을 위한 디자인 방법과 그 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판매환경의 이미지 표현을 위한 디자인 방법과 그 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signmethod and Process of Image Expression for Sales Environment : Centered on Show window-Facade
Authors
권혜경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판매환경이미지 표현디자인 방법쇼윈도우파사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길홍
Abstract
본 논문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전략으로서의 판매환경 이미지 표현계획을 연구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계획 방법의 체계화에 촛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대상인 패션 상품 브랜드의 판매환경은, 그 양적인 팽창에 비해 무계획과 인식부족 등으로 혼돈과 무질서 상태에 놓여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문제로 이해되는 판매환경계획을 통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구체화함과 동시에 조화로운 도시문화 공간으로서 바람직한 인간행동 유발을 기대하도록 하는데 촛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판매환경의 이미지 표현을 위한 계획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 본 연구는 인간-환경(Man-Environment)이라는 기본틀(Frame-Work) 안에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체계화(Systemized)하였으며,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2. 판매환경 계획 연구를 위한 관련이론의 다학문적 접근 방식을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인식하였다. o 자극-반응의 관계로서 판매환경을 이해하고, 소비자 중심적인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판매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o 판매환경과 소비자 구매활동과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소비자의 만족을 통한 경영의 목표추구라는 현대 마케팅개념을 이해하고, 판매환경 계획은 이러한 배경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연구되어져야 함을 인식하였다. 3. 사회, 문화적 환경문제로 제기되는 판매환경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o 실제 브랜드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상 브랜드와 경쟁위치에 있는 4개 브랜드의 판매환경 현황을 조사하였다. o 바람직한 소비자 반응을 기대할 수 없는 무질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4. 조사된 문헌 자료와 다각적(Inter-Disciplinary) 관련이론을 토대로 합목적적이고 객관적인 문제해결 대안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o 디자인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배경에서 살펴 본 내용을 근거로 그 과정을 체계화 하였으며 그 대상으로 여성패션 브랜드인 T브랜드를 선정하여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o 디자인의 기준은 인간(Human)·경영(Marketing)·미적측면(Aesthetic)의 통합개념(Incorporated Concept을 배경으로 과정적 공간 디자인에 촛점을 맞추었으며, 구체화된 과정의 단계별로 명료한 계획을 진행하였다. o 디자인결과는 인간·경영·환경 측면에서 평가되어지며, 이 과정을 거침으로서 디자인 결과에 대한 문제점 인식과 부적합한 부분의 수정·보완작업이 이루어 진다. 판매환경의 이미지 표현 계획을 체계화 함으로써 긍정적인 환경자극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하며, 소비자의 행동을 추구하는 목표방향으로 유도하여, 결국 판매가 이루어지는 물리적 공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연구는 궁극적으로 인간중심적 가치를 지향하고,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증진시키는 합목적적 연구과정이라 할 수 있다.;This thesis is concetrated, as management strategy, on the method of Image expression planning for Sales environment and on systematization of that method. The sales environment of fashion-articles, the object of this study, lies in confused and disordered condition because of the lack of planning and recognition in comparison with great demands of it. Accordingly this study is focused on accomplishing the managerial purpose accepted as multifaceted matter by providing positive image-expression and harmonious urban cultural space in order to prompt the motives of human behaviour through satisfaction of consumers' desires. 1. This study has limited its method and systematization to the framework of human-enviroment. 2. The study has got justitication through the multi-dsciphmy approach concerend with the study of the method of sales-environment * Sales-environment is recognized as stimulus-response on the consumers' side and the importance of sales-environment as communication media is emphasized. * The study has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environment and the consumer's purchase activity and between modern marketing of profit gathering and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desires. Therefore the planning for sales should be done on those bases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3. The study includes collection, analyses and revealing of the present situation of sales-environment and it's problems. * Selecting one real brand the researcher compared it's sales-quantity with its four competitive brand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language used turned out to be misfit and inharmonious and disordered sales-environment prompted improper stimulation with little response from consumers. 4. An objective and proper model case is presented through the study of written materials and inter- disciplinary theories related. *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design and the theories researched in this study, T-brand, woman-fashion-brand, was chosen to illuminate some characteristics. * The criterion of design implies an incorporated concept of human-marketing-aesthetic and interface-space aspect, the latter of which is focused and every step of the coneret process was not overlooked. * The effect of one design should be tested with human-marketing-aesthetic aspect and though these processes of appreciation, improvement and complements can be expected. Through systematization of image-expression of sales-environment it will carry out positive stimulus-conditions and prompt consumers into intended purchase activities. Accordingly this kind of study is needed and should be stressed and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ield because it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human beings providing harmonious urban cultrual space of positive image expression well design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