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생(生)의 이미지(image)에 의한 표현 연구

Title
생(生)의 이미지(image)에 의한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INTING EXPRESSION THROUGH IMAGES
Authors
조윤혜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이미지image서양화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희영
Abstract
The field of art has been going through many transitions with influence of the times. The trends of the 20th century modern art can be formally refered as concreteness yet abstract. In terms of content, it is subjective yet objective. These two aspects have come to develop through the years to the movements of aims in formally which are abstract expressionism, color field painting, minimalism etc., and the movements of neo-dada, pop art, Nouveau realisme, Novelle Figuration which aims to connect reality with art through object or form. These two main trends have broadened and developed into many fields in fine art today. In the early 1970's, the impact of formalism and modernism enfeeble which brought forth various new trends. The common ideas of these movements was the denial of analyzation and formality in the process, and stress on expression as the basic element of formation. As it developed through the 1980's it progressed to be more subjective and symbolic. As modernism came to be acknowledged as art of formality, and being recognized as dispassionate, inhuman in its later years, a new trend which satisfied the desires beyond formality for a structure of meaning extracted from lifes daily experiences resulting in a search for total approach of form expression. That new trend is as post-modernism. Thus, the limitations of formal aesthetics gave way to post-modernism with its abundant resource of substantial esthetics. In refrasal, the search for archetype and post personal experience had commenced. And so, the contemporary art is said to be not an act of search for pure form but intensified to a search for human itself. Lately, the pursuit for completeness, purity, clearness and order has come into doubt with a growing interest in spiritual, psychological. hyperlogical aspects of human which were executed in Surrealisme, expressionism and other symbolistic arts. Thus, with formality eliminated, refined, quoted and translated in mind, I have made the canvas a stage for search in purity and intimacy with nature in the human essence. By terming "the origin of life" the theme for my project, I have considered the meaning and contents of origin as the main sources o creating this work. Though the concept of symbolic visualization through imagination had been somewhat degraded in the modernist era, it is my intention to utilize it as a main means of expression. Thus the pursuit of images of natures origin was concentrated on the content research. I have made it an opportunity to observe forms of vitality and its ways of expression to understand the role of symbolic visuality in imagining the feeling of both image and form of life. An anatomical image in presenting its image was concerned in method research with relation to nostalgia of nature's origins which Gorky (1904-48) and Terry Winters (1949-) have expressed in their works. Also, the expressive lines, vriative and dynamic space symbolizing the natures creations were used for formative language. Finally, the presentation and analysis of my work enabled me to realize the extent in 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I have been provided an opportunity to self- examine and better develop my ideas and focus on a direction of deeper exploration.;오늘의 예술은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변화를 겪으며 다원적이고 절충적인 양상으로 나아가고 있다. 20세기 현대미술의 흐름은 형식적으로는 구상과 추상, 내용적으로는 주관성과 객관성 이라는 개념의 표현양상으로 전개된다.^(1) 따라서 형식지향적 운동들인 Abstract Expressionism, Color Field Painting, Minimalism 등의 경향과 사물이나 형상을 통해 현실계와 예술의 연결을 모색한 Neo Dada, Pop Art, Noveau Realisme, Novelle Figuration 등 실로 여러 사조의 회화가 그 조류를 형성하며 발전해 왔다. 그러나 70년대 중반에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추진력이 약화되면서, 1970년대 후반에는 복고적인 소묘와 구상양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최근 80년대 회화는 위와같은 움직임에 부응하여 분석적이고 형식적인 단계를 거부하면서 표현의 문제를 조형의 본질적 요소로 인식함에 따라 주관적, 상징적 경향을 나타내게 되었다. 모더니즘이 미술자체의 형식 문제에 너무 얽매여, 차갑고 몰인격적인 한계성을 드러냄에 따라 등장한 포스트 모더니즘은 미술을 형식이상의 의미구조로 파악하고자 삶의 경험속에 내재하는 총체적 예술의 또 다른 형태를 모색하는 것이다. 즉, 형식미학이 한계에 이르러 그 힘이 약화되자 포스트 모더니즘이 추구하는 내용미학에로 접근, 다시말하여 문화적원형(Archetype)과 개인적 과거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예술은 순수한 조형탐구의 장이라기 보다는 인간자체에 대한 탐구행위와 직결되는 것이다. 이제 모더니즘의 완벽에 대한 동경, 순수성, 명료성, 질서를 요구하는데 대한 회의는 인간의 영적, 심리학적, 형이상학적 관심사들을 표현하는데 기초를 두는 초현실주의, 표현주의, 상징주의적 미술들의 새로운 부상을 가져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정한 양식이란 제거되고 재순환되어 인용되고 의역되는 것임^(2)을 전제로 본인은 작품을 통해 보다 순수했으며 자연과 친화하였던 인간의 본질적 모습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화면을 자연에 대한 새로운 탐구의 장으로 삼고 있다. 원초적 생에 대한 탐구를 테마로 삼아 근원에 대한 의미, 내용적 영역을 작품형성에 주요인으로 삼고 그 의미는 모더니즘에서 다소 격하되었던 상상력을 토대로 한 상징시각으로서 묘사된다. 그러므로 내용연구에서는 자연의 원형적 이미지 추구의 대상으로 회화에 나타난 생명적 형상의 개념과 생명감 표현을 살펴 보았고 이러한 생명적 이미지가 주는 상징적 느낌, 혹은 형태자체의 생명감에 대한 암시를 가능케 하는 상상력을 통한 상징적 공간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방법적 연구로는 해부학적 이미지의 상징적 도입을 통해 가장 근원적인 자연에 대한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고르키(Gorky 1904-48)와 윈터스(Winters, 1949- )의 작품세계와 연관지어 원초적 생에 대한 형태탐구를 다루었고 아울러 작품제작의 주요 조형언어로서 나타난 선의 표현과 자연계의 생성공간으로 변화와 움직임이 있는 유동적 공간을 추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본인의 작품을 제시, 분석함으로써 표현의 성과를 가늠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품제작 연구를 통해서 본인이 추구해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 추구해 가야할 작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가능성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