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1 Download: 0

기혼여성의 인공유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기혼여성의 인공유산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An Induced Abortion Experience of Married Women
Authors
임순영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기혼여성인공유산경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여성들이 인공유산을 하는 상황과 인공유산 경험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데에 있다. 이는 기혼여성의 절반이상이 인공유산을 경험하고 있다는 현실인식과,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인공유산에 대한 논의들이 인구조절의 측면에서 행해지거나 실태조사에 머무는 과정에서 직접경험자인 여성의 입장을 배제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어떻게 느끼고 경험하는가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개인적 경험의 타당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여성중심적 시각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기혼여성의 인공유산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여지는 국가의 가족계획정책, 남성중심적인 성의 구성형태, 그리고 가부장적 가족에서의 여성의 성통제라는 측면을 살펴본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심층인터뷰를 이용한 사례연구로써 연구대상은 연령상 가족계획정책 실시 이후 출산, 인공유산을 경험할 것으로 보이는 20대에서 50대까지의 기혼여성으로 하였다. 연구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들은 남성중심적인 성문화, 가부장적인 남아선호사상, 소자녀관, 경제형편, 여성의 건강 등 여러 복합적인 상황속에서 인공유산을 경험한다. 즉 남성주도적인 성관계와 피임의 책임을 일차적으로 여성에게 전가하는 일반적인 성의 양태, 그리고 많은 여성편중적 피임방법들이 일으키는 신체적 부작용이 피임을 어렵게 하거나 피임에 실패하게 한다. 또한현대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소자녀와 가족계획정책에 의한 소자녀관의 내면화는 원치 않은 임신을 인공유산으로 해결하계 한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가부장적 남아선호사상은 소자녀관과 갈등하는 측면이 있는데 이때 아들의 출산이 소자녀관보다 우선하여 아들이 확보된 후 인공유산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최근에는 아들이 없는 경우 태아성감별에 의해 인공유산을 한다. 이 과정에서 소자녀관, 성관계와 피임책임의 남녀비대칭성, 가부장적 부계혈통 유지는 여성자신의 이해와 자율성을 견지하기 어렵게 한다. 둘째, 인공유산이라는 수술자체는 억압적인 경험으로 비인간화, 무기력화 등을 경험하고 수치심과 두려움을 느끼며 분노를 수반하기도 하지만 사회내 성역할의 내면화에 의해 그것을 체념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인공유산의 사실은 한편으로는 안도감을 수반하는 것이고 많은 경우 죄의식이 이들의 경험을 표현하는데 부적절한 개념임이 드러났다. 세째, 인공유산의 경험에 의해 임신에 대한 두려움으로 성관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화된다. 성관계를 가질 때 항상 임신에 대한 우려를 하며 성관계 자체를 거부하기도 하고 이 과정에서 거부를 위한 적당한 방법을 고안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전보다 피임의 욕구와 관심이 증가하여 남편에게도 피임을 요구하지만 일시적 피임법의 실패나 특히 남성의 영구피임에 대한 일반적인 부정적 인식과 국가의 강력한 유도책으로 인해 여성이 영구 피임을 실천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인공유산에 대한 추상적, 단편적인 접근을 벗어나 구체적인 성(sexuality)의 영역과 관련하여 새롭게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과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던, 그리고 때로는 왜곡되어온 경험을 여성의 입을 통해 여성의 입장에서 드러냈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하나의 커다란 집단적 힘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인 왜곡되지 않은 공통의 경험세계를 조금이나마 드러낸 데에 실천적 의미가 있다.;This is a study about induced abortion experienced by married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ose the situations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going through the experience and their perception of the experience. Despite the fact that one half of married woman in Korea has experienced induced abrotion, the existing discussions and research remain either as to serve for the purpose of population control or surrey of the phemonena, lamely excluding the real experiences of women who directly undergo the trying proc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eminist perspective that what women experience and how women feel ought to be brought into light and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re not only valid but also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The perspective also leads us to be aware of the interactions of population planning policy of the state, male centered sexuality, patriarchal family and the control of women's sexuality which influence women's situations. In-depth interview methods are used for the cue study: the interviewees range between twenties and fifties who all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opulation planning policy during varing degree their pregnancy, births and induced abor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arried women experience induced abortion in a complex situation of male centered culture of sexuality, patriarchal son-preference, small family ideal, economic status, and the woman's health. The general pattern of sexual behaviour that men initiate sexual intercourse, women bear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contraception, and contraceptive methods desisted predominantly for female use which often cause medical problems all contribute to the difficulties and failure of contraception. Also the ideal of small family and the indoctrination of the ideal by the population policies push women to solve the problem of unwanted pregnancy by the means of induced abortion. However, the resilient ideal of son-preference in Korean patriarchy is in conflict with the small family ideal, from which birth of son wins over the latter. There is a strong tendency of going through induced abortion after a son is secured, or lately, in case of no son, amniocentesis is used for the decision of abortion. In this process of complex interaction of small family ideal, asymmetrical responsibility in contraception, and maintenance of patrilineage make it difficult for a woman to maintain her autonomous stance or guard for her interests. Secondly. women the operation as oppressive, dehumanising and debilitating experience and angered by such experience but they tend to take it for granted as a part of their destiny as a lot of women having internalised gender stereotypes imposed by society. However, induced abortion offers a relief for their already hard life, and in many cases "feeling guilt", which has been suggested by many previous studies as their general reaction, is not an adequate description of their feelings after their experience of abortion. Thirdly, the experience of induced abortion reinforces the negative perception of sexual intercourse due to the fear of pregnancy. Having intercourse is usually accompanied by the fear of pregnancy and this makes women reject it altogether or compells them to devise some ways to refuse it. Therefore, after the experience the demand for contraception increases and the husband is requested to take over the responsibility of contraception more often than before. However, the high failure rate of temporary contraceptive methods, the husband's rejection of vasectomy, and the strong inducement of population policy result women to go through permanent sterilization This study attempts a new approach towards the area of sexuality overcoming the abstract and fragmented approaches exiting literative. Making the invisible experience visible, and inaudible vices heard itself is a contribution in correcting the n far distorted woman experiences. Revealing the common world of women's experience without distortion is a precondtion for preparing a collective power and in this lies the meaning of this study as a feminist pract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