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화-
dc.contributor.author김명자-
dc.creator김명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0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0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육기관의 질 및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마산, 창원 지역의 24개 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질을 평정하고, 그 유치원에 재직중인 교사 139명에게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개 유치원을 먼저 「상」 「중」 「하」로 분류한 후, 「중」집단을 제외시키고 질점수가 높은 30%의 「상」집단 교사 41명과 질점수가 낮은 30%의 「하」집단 교사 45명 등 총 8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유아교육기관의 질을 평정하기 위한 관찰은 3주 동안 유치원 교육활동시간인 오전 9시부터 12시 30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는 유치원 방문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PC^(+)를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에 의한 F검증을 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라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전체점수간에는 「상」집단과 「하」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직무자체와 교육에의 지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상」집단의 교사들이 「하」집단의 교사보다 직무자체와 교육에의 지원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보수, 업무량, 인간관계, 감독방식, 사회적인 인정에서는 「상」집단과 「하」집단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연령에 의한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 없었고, 학력의 경우는 보수에 대해서만, 그리고 경력의 경우는 업무량에 대해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학급수의 경우는 보수, 인간관계, 직무만족도 전체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Does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have influence on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2. How is the quality of institutions interrelated with the sub-variables of the job satisfaction? 3. Is the job satisfaction of the teachers influenced by their general backgrounds besides the institutional quality?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stitutions, the present study randomly selected 24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area of Masan and Changwon. The inform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was obta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139 teachers of the same kindergartens. The sampled 24 kindergartens were evaluated first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 the "high", "mid", and "low" groups, where the high group is the upper 30% and the low group is the lower 30% in quality. In the analysis of the job satisfaction the mid 40% group teachers were not included, thus the number of the subjects analyzed being 86, 41 from the high group, 45 from the low group. The qualities of institutions were evaluated after observing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ree weeks. According to the questions, the data was analyzed the F-test by the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obtained by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interrelation of the institutional quality and the degree of total job satisfac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high group and the low group. 2. In the interrelation of the institutional quality and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a sligh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ub-variables. The satisfaction of the high group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the low group teachers in the sub-variables of "job itself" and "educational suppor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sub-variables such as "payment", "amount of work", "human relation", "ways of supervision", "social recognition". 3. No significant interrelations are found between the teacher's "age" and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But th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proved to have some influence on the "payment", and the teacher's "experience" on the "amount of work". And the teacher's "the number of class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sub-variables such as "payment", "human relation", "the degree of total job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교육기관의 질적 요인 = 6 B. 교사의 직무만족도 = 19 C.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교사와의 관계 = 27 Ⅲ. 연구방법 = 34 A. 연구대상 = 34 B. 측정도구 = 37 C. 연구절차 = 38 D. 자료처리 = 40 Ⅳ. 결과 및 해석 = 41 A.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지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41 B.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의 관계 = 43 C.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 44 Ⅴ. 논의 및 결론 = 52 A. 논의 = 52 B. 결론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57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001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기관-
dc.subject유치원 교사-
dc.subject직무만족도-
dc.subject.ddc300-
dc.title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quality of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Myoung Ja-
dc.format.pagevi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