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상-
dc.contributor.author李聖惠-
dc.creator李聖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8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58-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thean community and Wandering Charismatics. It is Gerd Theissen who has researched very actively about the Wandering Charismatics. He asserts that the local sympathizers gave economical support to the Wandering Charismatics during in A.D. 50 around. The local sympathizers were the local Min Jung who lived in the area of Syria-Palestine. The author, differently from Gerd Theissen,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ndering Charismatics who existed in the interior of Matthean community and their sympathizers. The method for this research will be a kind of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New Testament. The predominant researches of Matthean community has been orientated towards the view that Matthean community was a community consisted of the rich(G.D. Kilpatrick and J.D. Kingsbury), Reviewing the prominent researches in Chaprter Ⅱ, the author found out the following fact : in Matthean community, the poor coexisted with the rich and there were frequent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because of their economically different status(Matt. 5,25-26; 5,40). On the one hand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the Wandering Charismatics were still working in Matthean community(Matt. 7,15-23; 10,40-42). Some people in Matthean community judged negatively the Wandering Charismatics because of the Wandering Charismatics' ravin(Matt. 7,15) and lawlessness(Matt. 7,23). But on the other hand the Wandering Charismatics were positively judged by the Matthean community because they were persecuted due to their missionary work(Matt. 5,10-12; 10,17-18?23a) and they tried to live as Jesus did(Matt. 10,1?7-8a). Matthew, the writer of the Gospel of Matthew, reports the most harsh code of practice for mission trip out of other book of Gospels. The Gospel of Matthew, therefore, shows that the Wandering Charismatics were the people who lived as Min Jung did. It seems that their poor equipment for mission trip played the role to criticize wealth( G. Theissen and W. Stegemann). Matthew even gives the Wandering Charismatics a positive recommendation to protect their hospitality because there were false charismatics(Matt. 10,40-42). There are some evidences that Matthew made an effort to promote a solidarity with the alien, which was the fundamental aim of Jesus movement(Matt. 25,31-46). Matthew wants to support wandering Charismatics continuously because he knows that they are the very same people who try to practice the fundamental aim of Jesus movement. It will be a good example for Min Jung theology of Korea that the purpose of Matthew's report which dealt with the solidarity between the Wandering Charismatics and Min Jung was to remind his community of the fundamental aim of Jesus movement.;본고는 마태공동체와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의 관계성을 규명해보려는 시도이다.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에 대한 연구를 가장 활발히 진행해온 학자는 타이센(Gerd Thissen)이다. 그는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의 활동에 물적토대를 제공한 지역 동조자들(Local Sympathizers)을 AD 50년경 시리아-팔레스틴에 살던 민중들로 규정한다. 이러한 타이센과는 달리, 본고는 마태공동체 내부에 존재했던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과 그들의 동조자들의 관계성에 촛점을 둔다. 본고의 연구방법론은 신약성서에 대한 사회학적 해석방법론이다. 마태공동체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마태공동체를 부유한 공동체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G.D.Kilpatrick, J.D.Kingsbury). Ⅱ장에서 필자는 기존의 가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 : 마태공동체는 부유한 사람들과 가난한 사람들이 공존하면서 빈부의 격차로 인한 대립과 갈등이 잦았던 공동체이다(마 5,25-26 : 5,40). 한편 마태공동체 내에는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이 여전히 활동하고 있었다는 흔적이 있다(마7,15-23 : 10,40-42). 마태공동체 성원들 중 일부는 그들의 <약탈>(마 7,15)과 <무법(a`v o u i´ a)>(마 7,23)때문에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을 부정적으로 평하했다(마 7,15-23). 그러나 다른 한편 그들은 선교활동으로 인해 박해당하는 사람들(마 5,10-12 : 10,17-18·23a), 또한 예수와 동일한 삶을 사는 사람들 (마 10,1·7-8a)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이상 본고 Ⅲ). 마태는 공관복음서들 가운데 가장 혹독한 (族裝規則)(마 10,9-10a)을 보도함으로써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이 민중출신의 민중적 생활 태도를 지닌 사람들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그들의 가난한 여장(族裝)은 富에 대한 비판의 기능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G.Theissen, W. Stegemann). 마태는 거짓 카리스마적 활동가들로 인해 참 카리스마적 활동가들에 대한 환대가 식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극적인 추천장을 제공한다(마 10,40-42). 또한 마태는 예수운동의 근본정신인 소외자들과의 연대성을 촉구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마 25,31-46). 곧, 마태는 예수운동의 근본정신을 자신들의 삶속에서 체현시키던 사람들이 바로 이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이라는 점을 파악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지지를 유지시키고 싶어한다(이상 본고 Ⅳ). 마태가 당대의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과 민중들의 연대를 보도함으로써 자신의 공동체 성원들에게 예수운동의 근본정신을 회상시키는 방식은 오늘날 한국의 민중신학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가. 문제제기 = 1 나. 연구방법 = 4 Ⅱ. 마태복음서 배후의 공동체 = 7 가. 마태공동체의 당면과제 = 7 나. 마태공동체의 환경 = 11 다. 마태공동체의 경제적 수준 = 15 ㄱ. 복음서에 암시된 부유한 측면 = 15 ㄴ. 공동체 내부의 빈부격차 = 18 Ⅲ.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에 대한 마태복음서 내의 상반된 진술들 = 27 가. 부정적 진술 = 29 ㄱ. 카리스마적 선교 활동을 하는 거짓 예언자들 (마7, 15 - 23) = 29 ㄴ. 진복(眞福 )선언의 反카리스마적 분위기 (마5, 3) = 34 나. 긍정적 진술 = 35 ㄱ. 박해당하는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ratics) : 마5, 10 - 12 ; 10, 17 -18·23a = 36 ㄴ. 예수와 동일한 활동을 하는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 : 마10, 1·7-8a; (19,27 - 30) = 41 Ⅳ. 마태공동체와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 사이의 상호관계 = 46 가.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이 마태공동체 내에서 수행한 기능 : <族裝規則> (마10, 9 -10^(a))을 중심으로 = 46 ㄱ. 정치 - 윤리적 '에토스'의 전달자 역할을 했다 보는 입장 = 47 ㄴ. 富에 대한 비판의 기능을 수행했다 보는 입장 = 53 나.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을 후원했던 지역 동조자(local sympathizers) 집단으로서의 마태공동체 : <보상약속> (마10, 40 - 42) 을 중심으로 = 61 Ⅴ. 결론 = 74 참고문헌 = 76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1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마태공동체-
dc.subject순회선교사-
dc.subjectwandering charismatics-
dc.subject.ddc200-
dc.title마태공동체와 순회 선교사들(Wandering charismatics)의 관계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thean Community and Wandering Charismatics-
dc.creator.othernameLee, Sung Hye-
dc.format.pagevi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