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종선-
dc.contributor.author表英姬-
dc.creator表英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5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8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5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스포츠 태도에 관하여 일차적으로 생활체육 참여와 스포츠 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부가하여 직접참여와 간접참여와 스포츠 태도와의 관계를 경험적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서울시내에 거주하고 있는 20세이상 60세 이하의 성인을 조사대상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체육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스포츠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명렬(1977)의 스포츠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설문지, 德永幹雄 등(1985)의 스포츠행동 진단 검사지, 임번장(1986b,1988), 그리고 Snyder 와 Spreitzer(1983)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중 스포츠 태도에 관한 항목과 Kenyon(1968)의 운동태도 검사 설문지 내용의 문항을 기초로 하여 <생활체육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스포츠 태도에 관한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t 검증(t-test), 중분류분석(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 correlation), 그리고 단계별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생활체육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스포츠 태도에 관한 연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환경적요인에서 스포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남자가 여자에 비하여,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긍정적이었다. 또한, 스포츠의 개인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긍정적이었으나, 교육 수준은 스포츠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스포츠의 심리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체육 시설이 있는 주택지역 거주자가 체육 시설이 없는 주택지역 거주자나 아파트 지역 거주자에 비하여 긍정적이었다. 둘째, 생활체육의 직접참여에서는 스포츠의 사회적, 심리적, 개인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생활체육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긍정적이었으며, 특히 스포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생활체육 참여자중 동호인 조직의 참여자가 다른형태의 참여자보다 긍정적이었다. 스포츠의 심리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경쟁 스포츠 참여자에 비하여 병행 스포츠 참여자가, 그리고 생활체육의 참여 빈도가 많을수록 긍정적이었다. 세째, 생활체육의 간접 참여에서는 스포츠의 사회적, 심리적, 개인적 가치에 대한태도가 TV를 통한 스포츠 관람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이었으며, 스포츠의 심리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신문 및 잡지의 스포츠란을 자세히 읽는 사람일수록 긍정적이었다. 또한 스포츠의 개인적 가치에 대한 태도는 경기장 관람이 많은 사람일수록 긍정적이었으나, 타인과의 스포츠 대화는 스포츠 태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long sport participation and the sport attitudes in life-long sport particiants and non-participants.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analyze quantitatively and study the trend of the relationship of the direct participation, indirect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among the adults over twenty years of age in Seoul a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esinged to measure the sport attitude of life-long sport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ttitude by Cho, Meong Reul(1977), the questionnaire on sport behavior by Dokunaga Mikio(德永幹雄;1985), the sport attitude research by Lim, Bun Jang(1986, 1988) and the research on sport attitude by Snyder and Spreltzer(1983), and the questionnaire on sport attitude by Kenyon(1968) were used as refer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ayzed by t-test, multiple classificatiu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that were derived from these methods and process were as follows. 1. The attitude on the social value of sport in the social economic perspective were more positive among men than wonen and were more positive among the younger people. The attitude on the personal value of sport were more positive among the olders, however, and the educated level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sport attitude. The attitude on the psychological value was more positive among the people who have sport facilities in the community area than those who do not. 2. In the perspective of the direct life - long sport participation, the attitude on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 values were more positive among the life - long sport participants than the non participants. Particularly, the attitude on the social value of the sport was more positive among the club activity participants compared to participants who are in other forms of activity. The attitude on the psychological value of the sport were more positive among the parallel sport participants compared to the competitive sport participants, and among those who have more frequent participation. 3. In the perspective of indirect life - long sport participation, the attitude on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 value of the sport were more positive among those who watch sport on TV more freqently. The attitude on the psychological value of the sport were more positive among those who read the sport magazines and newspapers with more interest. Particularily, the attitude on the personal value of the sport were more positive among the people who go to the sport games more frequently. However, sport conversation with others did not have any effect on sport attitud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표목차 = ⅱ 그림목차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변인 및 가설 = 4 1. 변인 = 4 2. 가설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생활체육의 본질 = 7 1. 생활체육의 개념 및 정의 = 7 2. 생활체육의 역할 = 11 B. 생활체육과 스포츠 태도 = 12 1. 태도의 개념 및 정의 = 12 2. 생활체육 참여와 스포츠 태도의 관계 = 14 3. 선행연구 = 18 Ⅲ. 연구방법 = 20 A. 표집 = 20 B. 도구 = 21 C.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 25 1. 조사절차 = 25 2. 자료처리 = 26 Ⅳ. 결과분석 = 27 A.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27 B. 생활체육 직접 참여가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37 C. 생활체육 간접참여가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47 Ⅴ. 논의 및 결론 = 52 1. 논의 = 52 2. 결론 = 58 참고문헌 = 60 ABSTRACT = 64 부록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641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생활체육-
dc.subject스포츠-
dc.subject참여-
dc.subject태도-
dc.subject.ddc700-
dc.title생활체육 참여가 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port Attitude of Life-long Sport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