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6 Download: 0

전라 방언의 '아니' 에 의한 부정문 연구

Title
전라 방언의 '아니' 에 의한 부정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ni' Negative Sentences of a Cholla Dialect : Particula on a Wando dialect
Authors
김미숙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전라방언부정문아니완도지역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현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system of negative mood by the negative morpheme 'ani(아니)' which appears in a regional dialect of Wando as a subordinate of Cholla dialect and to reveal the characters of the '-ki(기)' which appears in complex sentence negative of the dialect and the '-ji(지)' in negative mood synonymy. This simplex sentence negative and the complex sentence negative of the dialect have two different deep structures. This can be found in chapter 1. In chapter 2, the simplex sentence negative is regarded as a constituent negative and the complex sentence negative as a sentence negative. In the complex sentence negative of this dialect, it is common that (nominalizer) '-ki' emits before an auxiliary particle '-do(도)', and it is found that a matrix sentence predicate '-ha(하)' is used an anaphor that substitutes for a complement sentence. Next, the simplex sentence negative in speech is used to describe objectively a fact, while the complex sentence negative is used to depict the fact emphatically to which a speaker expected somthing particular but did not gain anything. Finally in speech, a sentence constituent in the simplex sentence negative is negated by focusing, and a complement sentence in the complex sentence is negated by presupposition. In chapter 3, we can clasify the negation in the dialect to three types of simplex sentence negation, complex sentence negation and negativelexical negation. And then as a variant of the simplex sentence, there is an another negation form resulting from emphasizi repeatedly verb or verb phras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yntactic structure of the complex sentence negative from negating by negative lexical negation. In the case of interrogative sentences, if they have descended tone, these are confirmative-interrogative sentence. in which speaker seeks to get hearer's agreement or confirmation. In this sentence, negative morpheme 'ani' lose the meaning of negation because if takes confirmation under the affimative condition. In chapter 4, in this thesis presents some of the characters of '-ki' in complex sentence regative of the dialect: 1) it is restricted to insert tence-aspect morpheme, 2) restricted by equi-subject, 3) free from connecting case particle with auxiliary particle, and 4) pseudo-cleft sentence transformation is possible. This reveals that '-ki' is a noun phrase complimentizer, and this equals to '-ji' negation mood synonymy. therfore, this study infers many things in comparison to the theory that '-ki' is regarded as an allomorph of '-ji' and to many other theories of negative mood in modern korean language.;본 연구는 전라 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서의 완도 방언에 나타나는 부정소 '아니 '에 의한 부정법의 체계를 세워 보고, 본 방언의 복문부정에 나타나는 '-기'를 공통어 복문부정에 나타나는 '-지'와 관련지어 그 특성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1 장에서는 본 방언의 단문부정과 복문부정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심층 구조를 갖고 있음을 보였다. 2 장에서는 단문부정을 성분 부정으로, 복문부정을 문 부정으로 보는 입장에 따라, 단문부정은 그 부정의 범위가 문장의 한 성분에 국한되는데 반해, 복문부정은 부정의 대상이 보문이라는 점에서 문 부정으로 보았다. 그리고 여기서 본 방언의 복문부정은 보조사 '-도 앞에서 '-기 '를 생략시킨 형식이 오히려 더 보편적이라는 것과 복문부정의 모문서술어인 '하'는 보문을 대리하는 대용어라는 것을 알았다. 한편, 담화상에서 단문부정은 어떤 사실에 대한 화자의 객관적 인식 상태를 진술할 때 주로 쓰이는 반면, 복문부정은 그 사실에 대해 특별히 새롭게 인식했거나 기대한 바가 있었을 때 그것이 어긋났음에 대해 강조하여 부정할 때 쓰인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담화상에서 단문부정은 초점에 의해 문장의 한 성분이 부정되며, 복문부정은 전제에 의해서 보문이 부정되어짐을 보았다. 3 장에서는 부정어 유형에는 단문부정, 복문부정, 부정 어휘에 의한 부정의 세 가지 형식이 있는데, 단문부정의 한 변이형으로 동사나 동사구를 반복하여 강조해서 부정하는 형식이 있다는 것과, 부정어휘에 의한 부정이 복문부정의 통사 구조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한편, 이들이 의문문일 때 문미 억양이 하강조이면 청자의 동의나 확인을 구하는 확인의문문이 되어 부정소 '아니'가 부정의 의미를 잃게 되는데, 그것은 비록 표면구조가 부정문이라 하더라도 긍정적 상황을 전제하고, 그것에 대한 확인을 구하는 의문문의 형식을 띈 긍정문이기 때문임을 알았다. 4 장에서는 본 방언의 복문부정에 나타나는 '-기'가 (가) 시상형태소의 삽입제약을 받는다는 것, (나) 동일주어제약을 받는다는 것, (다) 격조사와 보조사와의 결합이 자유롭다는 것, (라) 의사분열문화가 가능하다는 것 등에서 명사구 보문소임을 알았고 이러한 특성들이 공통어 부정법의 '-지'에도 있음을 알았다. 따라서 본고는 본 방언의 부정법이 현대 국어의 부정법 논의에서 '-지'를 '-기'의 이형태로 보는 설을 비롯하여 각기 다른 주장들이 있음에 비추어 볼 때 많은 것들을 시사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