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7 Download: 0

보조사 {도} 에 대한 연구

Title
보조사 {도} 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limiter {to}
Authors
김정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보조사문법국어국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현실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보조사 {도}와는 달리 어미구성체로 다루어진 '-어/아도', '-이라도', '-더라도', '-ㄹ지라도'에서 '도'를 분석하고, 이 '도'와 보조사{도}가 부사어화라는 통사적 기능과 '역동', '양보,대립', '감탄,강조'의 화용적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보조사{도}를 재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그동안 어미구성체로 다루어 온 '-어/아도' 등의 형태소 재분석을 통해 보조사{도}와 동일한 의미와 기능을 보이는 '도'를 볼 수 있었다. 종래에 어미구성체에서 {도}의 선행어미 '-어/아' 등을 접속어미로 본 것과 달리 시상형태소와의 결합 가능성을 토대로 종결어미('-어/아'는 부정법의 종결어미로,'-라'는[+의도]의 종결어미)로 보았다. {도}의 분석이 비문을 형성한다는 이유로 분석하지 않은 것이 {도}의 분석상 절대적 기준이 될 수 없음을 증명하였다. 보조사 {도}의 대치형이 있다는 사실은 선행어미를 종결어미로 봄에 따라 어미구성체로부터 보조사 {도}를 분석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분석한 보조사{도}가 기존의 보조사{도}와 함께 통사적으로 부사어를 형성함을 보았다. 이는 보조사{도}가 체언의 속격, 공동격(일부)과 용언의 관형형어미, 그 피수식어가 용언이 아닌 부사에 분포 할 수 없다는 사실로 증명되었다. 한편 체언 아래에서 주격, 목적격, 보격은 필수삭제한 후에, 부사격은 삭제와 관계없이 분포할 수 있으며, 용언의 명사형, 부사형어미와 연결어미, 종결어미에 분포할 수 있고, 부사의 경우 동사수식 부사나 파생부사에 결합할 수 있다는 것도 보조사{도}의 부사어화 기능을 뒷받침해 준다. 보조사{도}의 부사어화 기능은 {도} 피접어가 문장안에서 문부사와 같은 위치상의 자유를 갖는다는 점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보조사{도}의 화용적 의미를 중심으로 통사적 제약 현상과의 연관성을 살펴 보았다. 기본의미 '역동'은 {도} 피접어의 자매항을 전제로 가정할 수 있어야, '양보,대립' 은 전제에서 벗어난 상반, 대립된 문맥이나 화자의 태도가 나타나야 가능한 의미이며, '감탄,강조'는 명제문에 대한 감탄의 태도를 화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만 가능한 의미이다. 따라서 전제로서 자매항이 예측될 수 없으면 '역동'이, 문맥이나 화맥에서 상반, 대립된 의미관계가 설정되지 않으면 '양보,대립'이, 감탄의 양태성과 호응하지 못하는 양태성의 요소가 오면 '감탄,강조'가 보조사{도}의 의미로 구현될 수 없으므로 통사적으로 비문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본고는 보조사{도}는 체언, 용언, 부사 등 다양한 분포적 특징과 함께 부사어화 기능으로 후행술어를 한정하며, '역동'을 기본의미로 하여 '양보,대립'과 '감탄,강조'의 화용적 파생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을 밝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points. First, it is to analyze 'to' in '-a/ato', '-irato', '-tarato', '-ilcirato' which are regarded as ending clusters, and second, to clarify that the anlayzed 'to' has the syntactic function of adverbializing and pragmatic meanings of 'similarity', 'concession, contrast', 'exclamation, emphasis', with delimiter {to}. Chapter Ⅱ indicates that the morphemes of ending clusters '-a/ato', '-irato', '-tarato', '-ilcirato' can be reanalyzed because the pre-elements of 'to' ('-a/a', '-ra') are not connective endings but final endings. By the way, sentences which have morpheme 'to' become ungrammatical sentences when morpheme 'to' is analyzed in the sentences. But it cannot prevent morpheme 'to' from analyzing in ending clusters because it is caused by not morpheme 'to' but its pre-elements '-a/a', '-ra'. So it considers the morpheme 'to' in the ending clusters as delimiter {to}. Chapter Ⅲ indicates that this analyzed 'to' and delimiter {to} have adverbializing function syntactically. The first reason is that delimiter {to} cannot be distributed in genitive, commitertive of case markers and the ending of modifying nouns, also in adverbs that modify nouns or other adverbs.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pre-elements of delimiter {to} have the same distributions to sentencial adverbs. Chapter Ⅳ considers the relevance between pragmatic meanings and syntactic constraints of delimiter {to}. First, delimiter {to} indicates 'similarity' as the basic meaning when its pre-elements has other sister elements as the presuppositions which the sentence expresses. And it indicates 'concession, contrast' as the first derivational meaning when the relation of its preceding clauses and following clauses is opposite, or when the speaker has the opposite attitude about sentences. Finally it indicates 'exclamation, emphasis' as the second derivational meaning when the speaker has the exclamatory attitude about sentences.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delimiter {to} has various distributions, the syntactic function which it adverbializes its pre-elements wherever it is distributed, and the pragmatic meanings which are 'similarity', 'concession, contrast', 'exclamation, emphasi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