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오브제(object)에 의한 상징적 이미지 연구

Title
오브제(object)에 의한 상징적 이미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YMBOLIC IMAGE THROUGH OBJECT
Authors
홍영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오브제object상징적 이미지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柳熙永
Abstract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은 모더니즘(Modernism)미술과 비교할 때 상당히 이질적인 것이며, 엄격히 배척은 아니더라도 기존의 모더니즘 미술에 대한 회의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모더니즘의 완벽함에 대한 동경, 순수성, 명료성, 질서를 요구하는데 대한 회의인 것이다. 기실 20세기 초두부터 큐비즘(Cubism), 러시아 구성주의(Constructivism), 바우하우스(Bauhaus)와 데 스틸(De Stijl)등 혁신적 형식 지향적 운동들이 모더니즘의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리고 이러한 주류속에서 영적, 심리학적, 형이상학적 관심사들을 표현하는데 뿌리를 두는 초현실주의(Surre´alisme), 표현주의(Expressionism) 그리고 20세기의 상징주의적 미술(Symbolisme)들이 상대적으로 비현대적이고 덜 중요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또한 후기 색면추상(Post-Colorfield painting)과 미니멀리즘(Minimalism)으로 대변되는 1960년대의 모더니즘은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의 표현주의적인 것, 심정적인 것을 버린 차갑고 몰인격적인 순수주의적 추상이라 하겠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이러한 모더니즘의 한계를 미술자체의 형식에 대한 구속에서 발견하면서 삶의 경험속에 내재하는 총체적 예술의 또다른 형태를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미술을 형식이상의 의미구조로 파악하려는 것이며 폭스(Haward N.Fox)가 말했듯이 '의미에의 의지'^(1)에 관한 미술인 것이다. 새로운 시대적 조류속에서 본인에게 있어서도 의미, 정신의 주제(主題)적 영역이 작품형성의 중요요인이 되고 있으며 그 의미 내포는 상징적으로 묘사되고 표출된다. 이러한 상징에 의한 이미지가 본 연구의 핵심적 논의로서, 내용연구에서는 상징의 개념과 미술사적 전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주된 상징적 대상인 오브제(Object)에 대한 것으로, 현대미술에서 오브제의 실험의 실재성(reality)에 관련된 형식적인 편향에 대한 반론과 그것에서 상실된 상징적 시각의 회복을 말하였다. 이러한 기초적 연구를 바탕으로 오브제에 의해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인 <생명의 의의>를 살펴보고, 생명의 실존적 부조리 상황과 거기서 도출되고 오브제에 대하여 부가적인 이미지인 도자기 이미지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방법연구에서는 오브제에 의한 구체적인 생명적 이미지와 마띠에르(matiere)에 의한 도자기 이미지형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미지에 표현력을 부여하는 바탕작업과 기타 표현방법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품에 대한 표현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품제작 연구를 통해 본인의 작품이 주체의 의식내지 마음과 분리되지 않는 작품으로서 보여지길 바라며, 삶의 총체성을 담은 작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cent Post-Modernism Art is quite different from modernism art and reflects doubts about existing Modernism Art, even though strictly speaking it can not be said to be a repulsion exactly. In other words it is the doubt about Modernism Art which pursuits the completeness and requires purity. clearness and order.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as a matter of fact, revolutionary form-directed movements like Cubism, Russian Constructivism, Bauhouse and De Stijl etc. have been forming in the main stream of Modernism. With this trend Surre'alisme, Realism, Expressionism and 20℃ Symbolism which were based on the soulic, psychological and hyperlogical interests were thought to be out of date and relatively less important. The Modernism of 1960's represented as Post-Colorfield Painting and Minimalism is cold-blooded, unhuman stuff discarding expressionistic element of Abstract expressionism. Finding the limit of the Modernism in the restriction of the form of art itself, Post-modernism tries to seek the another form of total art which lies in the experiences in life. Therefore Post- modernism strides to grasp art as meaningful-structure beyond form, and as N Fox put it, it is Art about 'Willingness to Meaning" In this new trend, thematic domains of meaning and mentality had become important factors in my work forming process and its meaning was depicted and expressed symbolically. With symbolic image like this as essential discussion of my work, I, first of all, reviewed the conception of symbol and its historical art development. Next, I mentioned object, major symbolic object, as a refutation to formality and reality of experiment in modern art. From that, I talked about recovery of lost symbolic view. I couldn't omit to explain the problem of the meaning which is being expressed symbolically by object. On a basis of this basic study, I reviewed the meaning of life, which was intended to be expressd symbolically by object, and I intended to describe, existential absurdity situation of life and the pottery image which is projected from it. As for the research about method, I looked at the concrete life image and pottery image formation through matiere. Also I tried to depict the ground work which makes the image expressive and other ski1ls for expressing methods. Finally, by analyzing my work, I reviewed its expressive achievements. Through this work, I wish my work can be seen as something that doesn't seperate from the mind, and also this can be a chance for me to pursue the work that includes the wholeness of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