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인간 융모 성선 자극 홀몬 투여가 인간 난자의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인간 융모 성선 자극 홀몬 투여가 인간 난자의 체외 수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THE TIMING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ON IN VITRO FERTILIZATION
Authors
金香美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인간 융모 성선 자극 홀몬난자체외 수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복희
Abstract
Correct timing of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administration in induced cycles for in vitro fertilization is of crucial importance to oocyte maturation and normal luteal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hCG timing on follicular development, oocyte matura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Ovulation was induced in 93 patients with normal menstrual cycles by follicle stimulating hormone(FSH) / human menopausal gonadotropin(hMG) / hCG protocol. In 70 women, 10,000 lU hCG was administered 28-30 hours after the last hMe injection and in 23 women, 50-54 hours after the last hMG injection (hCG administration time was determined by the size of leading follicle and serum Estradiol level). 1. On the day of hCG administration, in 28-30 hours interval group, serum Estradiol level was 831.561=374.59 pg/ml and the number of large follicles(> 12 mm) was 4.561±2.56 follicles/patient 50-54 hours interval group, serum Estradiol level was 1,811.60±1,232.80 pg/ml and the number of large follicle was 6.651:3.38 follicles/pati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 in serum Estradiol (P>0.05) but the numbers of large follic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50-54 hours interval group than in 28-30 hours interval group(P(0.05). 2. In 28-30 hours interval group, the total number of aspirated follicles was 296, which was 6.40±3.15 follicles/patient and the percentage of preovulatory oocytes was 96.6%, which was 4.00±12.44 follicles/patient. In 50-54 hours interval group, the total number of aspirated follicles was 118, which was 8.43±3.55 follicles/patient and the percentage of preovulatory oocyte was 100%.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3. The fertilization rate was 44.0% in 28-30 hours interval group and 46.6% in 50-54 hours interva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It was concluded that the long interval was not necessary in the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So, the timing of the hCG administration was determined by the size of leading follicle and serum estradiol level.;난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의 자궁내 이식의 성공은 다수의 수정 가능한 성숙된 난자를 채취하는데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최근 다양한 과배란 유도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난자의 최종적인 성숙을 위해서는 인간의 융모 성선 자극 호르몬(hCG)의 적절한 투여, 즉 hCG 투여까지의 기간의 장단과 투여용량 등이 관계된다는 많은 보고가 있다. 저자는 1988년 3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병원 산부인과에 불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FSH와 hMG로 과배란 유도할 때 hMG 투여 후 hCG 투여까지의 시간 28-30 시간 70명과 50-54 시간 23명을 대상으로 hCG 투여 시기에 따른 획득된 난자의 성숙도 및 수정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1. hMG 투여 28-30 시간 후 hCG 투여 시 E_(2)는 831.56±374.59 pg/ml 이었고, 12mm 이상 난포의 수는 4.56±2.56이었으며, hMG투여 50-54 시간 후 hCG 투여군에서는 E_(2)가 1,811.60±1,232.80 pg/ml이었고, 12mm 이상 난포의 수는 6.65±3.38이었다. 혈청 E_(2)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난포의 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hMG 투여 28-30 시간 후 hCG 투여군에서는 환자당 6.40±3.15 개 난포를 흡인하였고 확인된 총난자수는 296 개였고 그 중 배란 직전의 성숙된 난자는 284개(96.6%)로 환자당 4.00±2.44 개였다. hMG 투여 50-54 시간 후 hCG 투여군에서는 환자당 8.43±3.55개 난포를 흡인하였고 확인된 총난자수는 1l8 개로 모두 배란 직전의 성숙된 난자였고 환자당 5.13±3.25 개였다. 양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3. hMG 28-30 시간 후 hCG 투여 군은 난할률이 44.0% 였고 hMG 투여 50-54 시간 후 hCG 투여 군은 46.6%를 보여 양 군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이 연구 결과 체외수정의 과배란 유도시에 hMG-hCG 투여시각의 장단에 따라서 채집된 난자의 수, 성숙도 및 난할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hCG 투여시각은 투여 중단할 때나 중단한 후 초음파 촬영에 의한 우성 난포 크기의 변화 및 혈청 E_(2) 농도의 변화를 종합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 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