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芸閣冊都錄」을 통해본 校書館藏書에 관한 硏究

Title
「芸閣冊都錄」을 통해본 校書館藏書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ooks of the Kyosokwan(校書館) through the 「Ungakchakdorok」
Authors
方孝順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교서관장서운각책도록Ungakchakdorok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봉희
Abstract
朝鮮의 校書館은 서적을 간행, 유통시켜 서적의 대중화를 이루는데 기여했으며, 板木과 活字를 만들어 보관함으로써 圖書館史的으로는 물론, 書誌史, 印刷史에 있어 중요한 기관으로 평가된다. 특히 다른 장서처의 지원을 위해 서적을 收藏하여 朝鮮 時代 圖書館 制度와 書籍政策 연구에 있어서도 그 의미는 깊다. 본 연구는 校書館의 장서점검목록인 「芸閣冊都錄」에 나타난 서적들을 대상으로 서지분석을 시행함으로써 校書館 藏書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다른 장서처들의 書目을 「芸閣冊都錄」과 비교해 봄으로써 장서처로서 校書館이 가지는 특징에 대해 살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芸閣冊都錄」은 純祖 17年(1817) 이후를 즈음해 內閣諸員들에 의해 작성된 일종의 장서점검목록으로 奎章閣本과 國史編纂姿員會本 두 권이 현존한다. 이책은 校書館의 장서관리방식을 그대로 기술한 것으로 382種 6725冊의 서적을 殿講經書秩, 科場秩, 唐板秩, 經書落秩에, 그리고 26種 3265板의 冊板을 冊板都錄에 분류했다. 書誌記述法은 書名과 所藏冊數만을 기술해 간략했으나 기술된 사항은 정확했다. 2. 「芸閣冊都錄」에 수록된 書籍數(種數)는 集部(47.2%), 史部(21.1%), 子部(16.6%), 經部(15%)의 순으로 많은데 특히 文集, 經書, 歷史書가 많다. 藏書量(冊數)은 史部, 經部, 集部, 子部의 순인데, 이는 校書館이 經書와 歷史書 등의 서적을 복본으로 구비해 다른 장서처를 지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3. 대부분이 仁祖 이후에 간행된 것이며, 특히 英祖代의 서적이 가장 많다. 校書館이 奎章閣 外閣으로 편입되면서부터는 書籍收藏 기능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4. 刊行地別로 보면 國內本이 많은데 그중에서도 韓國本이 가장 많다. 韓國本은 文集, 經書諺解書, 政法書, 性理學書 등과 外國語學習書가 많다. 中國本은 性理學書와 歷史書, 文集 등이 많으며, 覆刻本은 性理學書, 歷史書, 兵書 등이 많다. 5. 刊行方式別로 보면 木板本, 活字本, 筆寫本의 순으로 많다. 木板本은 集部에 많고 活字本은 史部에 많다. 活字 중에서는 芸閣印書體字, 戊申字, 顯宗實錄字가 많이 쓰였는데 특히 芸閣印書體宇는 文集을 印出하는데 주로 이용되었다. 6. 校書館의 書籍收藏은 교육용 서적과 문집류와 같은 일반서들이 중심이 된 까닭에 御製·御定書는 그 비율이 낮다. 대신 奉命撰書는 상당량이다. 또 기관편찬물이나 단체저작물보다는 개인저작물이 월등히 많다. 7. 校書館은 江都外奎章閣과 함께 奎章閣의 外閣에 소속되어 奎章閣의 分館역할을 했다. 두 곳 모두 보존도서관적인 성격을 갖는데 校書館이 다른 장서처의 지원이 목적이었던데 비해 江都外奎章閣은 서적의 보존이 목적이었다. 隆文樓는 校書館과 유사한 목적으로 운영되었는데 이곳에선 서적을 納本받아 校書館보다 주제범위가 넓었다.;The Kyosokwan of the Cho-Son dynasty had contributed in popularizing books by printing and distributing them. It also produced Woodenblocks and typesets, and played the role of library. This thesis recogn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ction of Kyosokwan by analyzing the bibliography of the books recorded in the「Ungakchakdorok」: The 「Ungakchakdorok」is the Inventory record of Kyosokwan. And it also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osokwan as a library with a comparison to the 「Ungakchakdorok」with Catalogs of other libraries. Important contents cov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Ungakchakdorok」 is a kind of Inventory record made by the staff of the Inter Kyujanggak(奎章閣內閣) about Soon-Jo(純組) 17th(1817). It classified the books of 382 species 6725 volumes and the woodenblocks of 26 species 3265 blocks into the Confucian classics for the palace examination division(殿講經書秩), the Books for state examination division(科場秩), the Chanes books division(唐板秩), the Confucian classics with missing volumes division(經書落秩), and the Woodenblocks division(冊板都錄) The title and the number of items were the only bibliographic descriptions. 2. In number, the books are arranged as follows : They are collection of the Literature division(集部) (47.2%), the History division(史部) (21.1%), the Master's work division(子部) (16.1%), and the Philosophy division(經部) (15%). The quantity of collections are large in the order of History division, Philosophy division, Literature division and Master's work division. 3. Most of the books were published after the king In-Jo(仁祖) reign. Among those books, there are many books published during the king Young-Jo(英祖) reign. 4. In the publishing area, Domestic books are the most. 5. The methods of publications, varied some method invaded the quantity of books in decreasing order starts with from woodenblocks, the Printed books, and finally Manuscript. Among the types, Ungakinsochecha(芸閣印書體字), Mushincha (戊申字), Hyonchongsilrokcha(顯宗實錄字) were most commonly used. 6. The rate of the valuable books is low, because Kyosokwan collected chiefly the General books such as the Literary works and the Educational books. 7. The Kyosokwan and the Outer Kyujanggak of Kangwha Magistracy(江都外奎章閣) took charge of the branch in Kyujanggak. Both of them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osit library. Kyosokwan aimed to support the books for other libraries, but the Outer of Kyujanggak of Kangwha Magistracy aimed at preservation of books. Yungmunru(隆文樓) had a broader range of subject area, because Yungmunru, a library with a similar to Kyosokwan, was present a specimen co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