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하위 사무직 여성 노동자의 상태에 관한 일 연구

Title
하위 사무직 여성 노동자의 상태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ditions of lower level clerical women workers
Authors
이방윤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하위사무직여성노동자상태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White collar labor unions were widely organized in the Korean labor movement in the mid 1980's. This change has brought about the need for empirical research about white collar workers. The approch of this thesis is started from this point.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be bases to elucidate class position of lower level clerical women workers. The approach to this thesis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elephone operators, bank cashiers and typists to find out their positions in their organization, their working conditions, feature of their work, and control system of their work. The analysi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 lower level clerical woman worker belongs to a low position in an organization and finds it impossible to be promoted to a manager and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salary level between a lower level clerical woman worker and a manufacturing woman worker. Second, lower clerical woman work is kind of simple and routine work so it doesn't require an individual worker to have experience, knowledge, ability, skill and other things, etc. This fact is proven again by evidence that it takes very little time to understand what the work is. Third, the deskilled feature of lower clerical woman work reveals the countable possibility of work and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nsity of work. A lower level clerical woman worker work with high intensity and a working in such intensity brings about many kinds of occupational diseases. Fourth, the control methods of lower level clerical women workers reveal things ver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or size of organizations. Many different control methods were used with complexity. Fifth, I can find an example that a lower level clerical woman worker thinks that she is a laborer and she shows an active attitude about labor unions and labor movement. So I can bring up the reguirement of systematic study about her subjective conscious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try to show empirically the condition of the lower level clerical women workers which has not been shown in the existing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 limit of this thesis is that it could not generalize all lower level workers through these workers cited in this thesis.;지난 80년대 중반 한국 노동운동의 중요한 변화는 화이트칼라 노동조합의 광범위한 조직이다. 이러한 변화는 화이트칼라 노동자에 관한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본 연구의 초보적인 문제의식은 여기서 부터 시작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화이트칼라 노동자중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의 객관적 상태를 경험적으로 밝힘으로써 그들의 계급적 위치를 규명하는데 토대가 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구체화 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 특히 전화조작원, 은행출납원, 타자원을 대상으로 그들의 조직내 위치, 노동 조건, 노동 성격, 노동 통제 방식을 살펴 보았다. 사례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는 조직안에서 하위직급에 속하며 관리직으로의 승진이 불가능 하고 임금수준에 있어서도 생산직 노동자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다. 둘째, 하위사무직 노동은 단순·반복적 노동으로서 개별노동자의 경험, 지식, 재능, 숙련등의 제 자질이 요구되지 않는다. 세째, 하위사무직 노동의 탈숙련적 성격은 업무의 양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동 강도의 강화현상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다.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들은 높은 강도로 노동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높은 강도의 노동은 각종 직업병을 유발한다. 네째,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의 노동 통제 방식은 업무의 특성이나 규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러가지 방식이 복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들은 자신을 노동자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노동조합이나 노동운동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주는 예도 발견할 수 있어 앞으로 이들 의식문제의 본격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존의 연구들이 결여하고 있는 하위사무직 여성노동자의 상태를 경험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과 기존의 하위사무직 노동자의 의식에 관한 논의에 대하여 본격적 연구를 통한 재확인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있다. 반면에 본 논문의 한계는 제한된 직종의 사례연구로서 하위사무직 전체로의 일반화가 불가능 하다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