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고위험 임부에서 태아 생체학적 계수에 의한 산전 태아 건강상태 평가

Title
고위험 임부에서 태아 생체학적 계수에 의한 산전 태아 건강상태 평가
Other Titles
Antepartum Fetal Assessment Based on Fetal Biophysical Profile Scoring in High Risk Pregnancies
Authors
이미원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고위험임부태아 생체학건강상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鐘一
Abstract
The biophysical profile(fetal breathing movement, fetal movement, fetal tone, fetal heart rate reactivity and amniotic fluid volume) is one of the fetal assessment and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false negative and positive rates. A prospective study of antepartum fetal assessment based on fetal biophysics profile scoring in 100 high risk pregnancies from Sept. 1, 1988 to March 30, 1989 was perfo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ases of the biophysical score more than 8, 6 and less than 4 were 89 (85.8%), 11 (10.5%), and 4(3.7%) among 104 cases (including 4 cases of twin) respectively. 2. The most common single abnormal variable was the absence of fetal breathing movements and the least single abnormal variable was the absence of fetal tone. 3. The incidence of 1-minute Apgar score less than 4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75% in biophysical score less than 4 when compared to that of 2.2% in biophysical score more than 8. 4. The incidence of 1 minute Apgar score less than 4 was predicted by 50% in cases of the absent of fetal tone 5. The incidence of 5-minute Apgar score less than 4 was increased to 50% in biophysical score less than 4 when compared to that of 1.1% in biophysical score more than 8. 6. The incidence of 5-minute Apgar score less than 4 was predicted by 33.3% in cases of the absence of fetal tone. 7. The comparison of predictive values between the nonstress test and biophysical profile score in relationship to low 5-minute Apgar score were determined. The sensitivity (66.6%)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40%) with biophysical profile scor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value of 22.3% and 10% in nonstress test. 8. There were two perinatal deaths in study group and both of them were the biophysical score less than 4. 9. The perinatal morbidity rates were 7.9% in biophysical score more than 8 and 27.3% in biophysical score 6. 10. The predictors of low Apgar scores (≤ 6) at 1-minute and 5-minute were the absent of fetal tone. The predictors of perinatal death, small gestational age and meconium in labor were the absent of fetal tone, decreased amniotic fluid volume, nonreactive nonstress test, respectively.;산전 태아의 건강상태를 정확히 예측하여 이를 치료 결정에 이용하므로써 주산기 사망률 및 이환률과 신생아의 신경적인 합병증을 예방할 수가 있다. 현재 산전 태아의 건강상태 평가방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비수축검사는 위양성률이 높아 정상태아는 잘 예측하나 태아상태가 나쁜 것에 대한 예측은 결여되어 있다. 최근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 생체활동을 관찰하여 얻어진 생체학적 계수로 위양성률을 감소시키고, 태아 건강상태를 정확히 예측한다는 많은 임상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위험 임부 100례를 대상으로 비수축검사와 초음파를 이용하여 얻어진 생체학적 계수 및 각 인자와 임신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4례 (쌍생아 4례포함)중 정상 태아로 판정되는 생체학적 계수 8점이상이 89례(85.8%)였으며, 6점이 11례(10.5%), 고위험 태아로 예측되는 4점이하가 4례(3.7%)였다. 2. 비정상적인 생체학적 인자는 태아 호흡운동이 없는 경우가 23.1 %로 가장 많았고, 태아 긴장도가 이완된 경우는 5.8%로 가장 적었다. 3. 생체학적 계수와 1분 Apgar점수와의 관계를 보면, 생체학적 계수가 8이상일때 Apgar점수가 4이하인 경우는 2.2%인데 비해, 계수가 4이하인 경우는 75%로 태아곤란증은 생체학적 계수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4. 각 생체학적 인자와 1분 Apgar점수와의 관계를 보면, 태아 호흡운동 및 태아 운동이 없는 경우, Apgar점수 4이하인 경우는 각각 20.8%, 23.5%인데 비하여 태아 긴장도가 이완된 경우엔 50%로 태아 긴장도가 태아상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5. 생체학적 계수와 5분 Apgar점수와의 관계를 보면, 생체학적 계수가 8이상인 경우 Apgar점수 4이하는 1.1%인데 비하여 생체학적 계수 4이하인 경우는 50%였다. 6. 각 생체학적 인자와 5분 Apgar점수와의 관계를 보면 비수축 검사가 비반응성일때 Apgar점수 4이하는 10%인데 비하여 태아 긴장도가 이완된 경우엔 33.3%로 태아 긴장도가 태아상태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7. 5분 Apgar점수에 의한 비수축 검사 및 생체학적 계수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치, 음성 예측치 및 정확도에 대한 비교를 보면, 민감도는 비수축 검사의 22.2%에 비해 생체학적 계수가 66.6%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 양성 예측치도 비수축 검사의 10%에 비해 생체학적 계수가 40%로 높았다. 특이도는 비수축 검사의 81.1%에 비해 생체학적 계수가 90.5%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고, 음성 예측치도 비수축 검사의 91.7%에 비해 생체학적 계수가 96.6 %로 약간 높았다. 8. 생체학적 계수와 주산기 사망과의 관계는 주산기 사망 2례가 생체학적 계수 4점이하였으며, 주산기 사망의 원인은 저산소증 및 Torch 감염이었다. 9. 생체학적 계수와 주산기 이환과의 관계는 생체학적 계수가 8이상인 경우 7.9%였고, 계수가 6인 경우는 27.3%였다. 10. 5분 Apgar점수 및 주산기 사망은 태아 긴장도가 이완된 경우 각각 50%, 33.3%로 예측할 수 있었고, 양수 양이 감소된 경우에는 27.8%로 자궁내 성장지연을 예측하였으며, 비수축 검사가 비반응성일 때는 25 %로 진통중 태변 착색을 예측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