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5 Download: 0

다윗왕위계승사화의 기본층 연구

Title
다윗왕위계승사화의 기본층 연구
Authors
이선혜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다윗왕위계승기독교기본층 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숙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an old narrator's perspective on the sovereignty of King David who opened a new era in Israel history, in particular in terms of religion, society, politics and culture. The thesis also examines David's succession by reviewing David's succession as illustrated in Ⅱ Samuel 6-20 and I Kings 1-2. Bible reports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solved when Solomon, the son of Bathseba became the successor among many sons. There exist man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is process of Solomon's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narrative of David's Succession. This thesis reviews the narrators and their intentions in recording different writing and investigates how different writings could arise from the same incident. We found that unidentical interpretation already existed at that time and various evaluations on David Kingdom have been made to date. Chapter Ⅱ of this thesis reviews Ⅰ Kings 1-2 which illustrates Solomon on negative perspectives and reveals that Solomon's succession was regarded as illegal to the narrator of David's succession. Chapter Ⅱ also indicates the narrater did not state this writing to assert Solomon's succession was made by Jahwe. Also, story of Bathseba, birth of Solomon and Thamar story reported in Ⅱ Samuel 11-13 show both an antagonistic perspective on David and his Kingdom and an affirmative and positive one on Jahwe' s involvement in them. While observing these different attitudes of narratives on David, we tried to select out their intentions and redactional work. In Chapter Ⅲ, we clarified through the observation at Ⅱ Samuel 7 that the phrases promising David's permanent existence were the edition of Dtr. We also argued against Rost and von Rad's point of views who say that narrative of King David succession can be interpreted in a positive and theological way since the author of the narrative believed David to be the selected servant of Jahwe. On the other hand, we clarified that there were some efforts to edit King David and his followers in a favorable way and his opponents in an unfavorable way in Ⅱ samuel 14-20. This edition was theological work of Dtr. through this thesis the original old King David's succession narrative was not the religious description with theological character, but the history record described with the political interest and critical attitude against King David and his Kingdom. In Chapter Ⅳ, it is stated that the anti-David reports stemmed from the prophet group of North Kingdom who connected the tradition of nomadic era and the judge era were very critical against the David Kingdom who took the absolute power. Also, we revealed the editors who did theological work in King David succession narrative were the early Deuteronomists. They interpreted Israel's disaster theologically before the fall of Juda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heir hope and expectation with David Kingdom. They did edition work in pro-David perspective hoping reconstruction of David Kingdom. By doing so, this thesis confirmed there were different intentions and editors in different reports existing together in King David's succession narrative. Although original King David succession narrative was critically reported against David's Kingdom, there followed glorification on David and theological work on David's Kingdom in Bible. This thesis clarified through theological evaluation on David and his Kingdom that David's Kingdom became dynasty selected by God in Israel which received hope and expectation of Israel.;본 논문은 사무엘하 6-20 ; 열왕기상1-2에 서술되어 있는 다윗왕위계승사화를 고찰함으로써 이스라엘 역사에서 종교·사회·정치·문화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다윗의 통치와 그의 사후 누가 그의 계승자가 되었는가에 대해 보도하는 설화자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했다. 다윗의 왕위계승 문제는 다윗의 많은 아들들 중에서 밧세바가 낳은 솔로몬이 그의 계승자가 됨으로써 해결되었다. 우리는 현재의 다윗왕위계승사화 안에서 솔로몬의 왕위 즉위에까지 이르는 과정들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가지고 보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사건에 대한 서로 다른 보도가 어떻게 생겨났으며 각기 다른 보도의 설화자와 그들의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다윗과 그의 왕가에 대해 그 당시에도 이미 일치되지 않은 해석이 존재했음을 드러내고, 다윗과 그의 왕국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현재까지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검토했다. Ⅱ장에서는 우선 솔로몬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서술된 열왕기상1-2장을 분석함으로써 옛 다윗왕위계승사화의 설화자에게는 솔로몬의 계승이 비합법적인 것으로 보였으며, 설화자가 이 솔로몬의 계승을 야훼에 의한 것이었다고 말하기 위해 이 보도를 진술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혔다. 그리고 사무엘하11-13장에 보도되고 있는 밧세바설화와 솔로몬의 출생 보도, 다말설화 등을 통하여 다윗과 그의 왕가에 대해 매우 적대적으로 보는 시각과, 한편으로는 그들에 대한 야훼의 관여와 사랑이라는 표현 아래 매우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있었음을 고찰했다. 이와같이 다윗왕가에 대해 서로 다른 태도를 가진 설화자들이 있음을 주목하면서 그들의 의도와 편집층을 가려내고자 했다. Ⅲ장에서는 우선 사무엘하7장의 본석을 통하여 다윗왕가의 영원한 존립을 약속하는 구절이 신명기역사가의 편집이었음을 밝혀냈다. 그럼으로써 다윗왕위계승사화의 저자가 다윗을 야훼의 선택한 종으로 보았기 때문에 전체 다윗왕위계승사화가 다윗왕가에 대해 긍정적이며 신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Rost와 von Rad의 견해를 반박했다. 한편, '압살롭반란설화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사무엘하 14-20장에는 다윗왕가와 그의 동조자들에게는 우호적으로, 다윗왕가와 그의 적들에 대해서는 매우' 불리하게 개작한 첨가자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개작은 신명기역사가의 신학적 작업이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원래의 옛 다윗왕위계승사화는 처음부터 신학적 성격을 지닌 종교적 서술이 아니라 오히려 다윗과 그의 왕가에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정치적인 관심아래 서술된 역사기록이었음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반다윗왕가적 경향을 지닌 보도는 솔로몬 사후에 유목시대와 사사시대의 전통을 잇는 북왕국의 예언자 그룹에서 나온 것으로서, 그들은 절대 권력을 지닌 다윗왕가를 비판하며 고발하고 있음을 보았다. 또한 다윗왕위계승사화에서 신학적인 작업을 한 편집자는 초기 신명기역사가임을 밝혔다. 그들은 유다왕국이 멸망하기 직전에 이스라엘의 재앙을 신학적으로 해석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희망과 기대를 다윗왕조와 결부시켰다. 이들이 다윗왕조의 재건을 바라면서 친다윗왕가적 개작을 했던 것이다. 이로써 현재의 다윗왕위계승사화 안에 나란히 존재하고 있는 서로 다른 경향의 보도에서 각각의 의도와 편집자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원래의 다윗왕위계승사화가 다윗왕가에 대한 비판적 보도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윗 개인에 대한 영광화와 다윗왕국에 대한 신학적 작업이 계속되었음을 성서에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다윗과 다윗왕국에 대한 신학적 평가를 통해 다윗왕국은 이스라엘에서 하나님에 의해 선택받은 왕조로 되었으며 이스라엘의 희망과 기대를 받았던 왕국으로 부각되었음을 이 논문을 통해 논증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