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이현숙-
dc.creator이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5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6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1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sa to examine the effect of variablity in practice structure an learning open skill, thus empirically testing Schmidt's schema theory(1975). The superiority of variabile practice to constant practic was predicted on the basi of Schnidt's schema theory along with previous investigations in learning motor skills. Forty-five right-hande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a total of 120 practice trials as well as 30 transfer trials en a coincident timing task on a computer(IBM-AT). Reponse timing error measured in msec were analyzed in terms of absolute errors(AE), constant error(CE), and variable error(VE) with Two-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 The results revealed that : 1. There was a significant practice condition effect in AE and VE 2. A significant trial effect was observed in all three error measures in both practice and transfer phases 3. A trial practice condition interaction was also significant in all three error measure only in practice stage 4. There was no significant condition effect in all three error measures in transfer tes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ractice structure affected performance in practice phase but not in transfer stage, which is in negation of the previous findings.;이 연구의 목적은 개방기술(open skill)을 습득하는데 연습계획(practice schedule)을 다양하게 하여 시행했을때, 연습의 다양성 효과를 제시하는 Schmidt(1975)의 도식이론의 예언에 적중하는가를 검증하고 그 결과로 맥락적 효과와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와 문헌섭렵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1) 연습기간 중 다양한 연습계획을 전이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2) 연습기간 동안 각 집단간 과제연습은 차이가 있다. 3) 오류의 빈도는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대학교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속도가 다른 불빛자국이 기준선에 도착하면 가능한 한 빠르게 각 속도에 상응하는 반응버턴을 누르는 공생적 타이밍과제를 이용하여 반응시간(rection time:RT)과 오류반응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연습단계에서 120회, 전이단계에서 30회 총 150회의 시행을 하였다. 이 수행결과를 기록하여 각 수행에 대한 절대오차(absolute error:AE), 항상오차(constant error:CE), 가변오차(variable error:VE)를 산출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한 후 이를 근거로 연습단계와 전이단계에 대해 변량분석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습기간중 다양한 연습계획을 전이수행에 영향을 주었다. 즉, 무작위 연습계획조건은 전이수행에서 가장 나은 수행을 보였다. 2. 연습기간동안의 연습스케쥴이 다른 각 집단간 과제연습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연습계획을 다르게 하여 시행한 집단간의 학습정도는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3. 오류의 빈도는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즉, 연습단계에서 오류를 가장 많이 경험한 집단이 전이단계에서 가장 나은 수행을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운동학습 = 6 1. 기술(skill)과 운동학습 = 6 2. Gentile의 모델 (Gentils's Model) = 7 3. 지각과 운동학습 = 7 4. 시각과 운동학습 = 8 5. 오류와 운동 학습 = 9 B. 운동기술의 연습조건 = 10 1. 연습의 다양성 (variability in practice) = 10 2. 도식이론 (schema theory) = 12 3. 맥락 효과 (context effects) = 13 C. 가설 = 14 Ⅲ. 연구 방법 = 16 A. 피험자 = 16 B. 실험과제 및 실험기재 = 16 C. 실험조건 및 절차 = 17 D. 측정 및 분석 = 19 Ⅳ. 결과 = 20 Ⅴ. 논의 및 결론 = 32 참고문헌 = 36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8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연습조건-
dc.subject구조-
dc.subject개방기술-
dc.subject학습-
dc.subject.ddc700-
dc.title연습조건의 구조가 개방기술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tructure in Practice Condition on Learning an Open skill-
dc.creator.othernameLee, Hyun Sook-
dc.format.pageiv,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