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4 Download: 0

노동쟁의조정제도로서의 중재에 관한 연구

Title
노동쟁의조정제도로서의 중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abor arbitration
Authors
崔禎園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Keywords
노동쟁의조정제도중재Labor Arbitratio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尹禎悦
Abstract
勞動爭譏調聾制度 있어서는 産業平和의 유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목표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산업평화는 당사자간의 정당한 권리와 의사를 존중할 때에만 실현될 수 있는 것이며 산업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勞動爭譏調聾制度가 自主的 解決의 원리에 입각하여 운영되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勞使關係에 있어서 노사간의 이해는 相反되는 것이기 때문에 양당사자간의 입장을 조절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노사 양 당사자간의 입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당사자 스스로의 양보와 협상을 통해 解決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産業平和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양 당사자를 구속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仲裁이다. 다시 말해서 중재는 노사간의 이견이 좁혀지지 못했을때 罷業과 같은 실력행사를 통하여 해결하는 대신 仲裁者의 判定을 통하여 解決하는 방법이다. 그렇지만 勞動仲裁는 그 성격상 罷業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당사자간의 성실한 交涉하려는 유인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仲裁는 제 3 자의 介入을 기본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사자간에 이루어진 交涉과는 상이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중재에 대해서는 각 학자들마다 다양한 주장들이 있지만 궁극적으로 중재가 교섭의 유인을 제공할지 제공하지 않을지는 불확실하고 비용이 드는 중재에 의한 해결과 확실하고 비용이 안드는 交涉에 의해 해결의 비교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결국 어떤 선택을 하는 것은 노사 양 당사자들의 極大化行動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仲裁制度란 노사 양 당사자가 紛爭을 仲裁에 의존하여 해결하게 하는 것보다 당사자들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는 유인을 그 제도 자체내에 가지고 있어서 仲裁가 가능한 制度解決의 수단으로 자주 쓰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중재가 業의 대체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하기 위해서는 중재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필요하며 중재기구에 대한 노사 양측의 신뢰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중재가 적용될때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당사자간의 교섭에 어떠한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Labor arbitration not only reduces strikes and the attendant disruption, but also tends to reduce the incentive for the parties to bargain. The threat of a strike acts as an incentive for the parties to reach a bar-gained settlement and the threat of a arbitration as an incentive for the parties to reach a bargained settlement. Labor arbitration prevents both parties from solving their problem voluntarily. So some argue that arbitration removes "precious freedoms" from the bargainers since the essence of binding arbitration is the imposition of a third party's opinion. In view of this point, arbitration contract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relations, the principle of voluntarism. Of course, it is desirable for bargaining outcomes to be determined by the imposition of a third party's opinion when labor dispute does not resolve by both parties voluntari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solve by the imposition of a third party's opinion when labor dispute does not resolve by both parties voluntarily, peacefully. Arbitration is a judicial proceeding and different in nature from conciliation, mediation, negotiation and fact-finding. Labor arbitration can play a role as a substitute for strikes. The development of labor arbitration generally has followed the development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it has been most successful where collective bargaining has been successful. In Korea, the growth rate of labor dispute has been rising suddenly since 1987. But labor arbitration system is not well constituted. This article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 of labor arbitration and th function of labor arbitration. This study introduces the mosels of arbitraion(Fabor & Katz's model(1979), Bloom's model(1981)) and arbitration systems of America and the other countries. This article purposes several policies for settlement of Korea's labor arbitration system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Korea's arbitration system. This article surveys the analytical investigation of the compatibility of arbitration and collective bargaining by deriving the conditions under which rational bargainers are likely to resolve their dispute voluntarily or resort to arbitr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process of arbitration. The results of this article's model demonstrate that even if the parties have no uncertainty about the arbitrator's award, they will still have an incentive to negotiate as long as their exepected direct costs of arbitration exceed their expected direct costs of negotiation.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 that can be drawn for policymakers from these results is that the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arbitration is likely to subvert and the attenuate collective bargaining when the parties view this mechanism as the least costly alternative for establishing a contract. Especially in situations when the arbitration mechanism replaces the strike as the instrument by which the parties can impose costs of disagreement on each other, it would not be at all surprising to observe a lower incidencd of voluntarily negotiated settl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