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自尊感과 過一般化가 感情에 미치는 影響

Title
自尊感과 過一般化가 感情에 미치는 影響
Other Titles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OVERGENERALIZATION ON NEGATIVE ATTECTS
Authors
최윤정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자존감과일반화감정교육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성
Abstract
This study tested that the effect by feedback, self-esteem and overgenerlization to nagative affect of individuals. That is, the difference has incurred on affect scores of individuals of the failure feedback between the high self-esteem group and the low self-esteem group as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is because identity on the meaning of failure feedback by those who have low self-esteem than those who have high self-esteem and this hypothesis was has acquired support. A total of subjects were 161 college-girls sho have participated to this experiment individually, after one week from the preliminary that was collectively conducted to measure the self-esteem and overgeneralization tendencies. Under this experiment subjects feeling of those individuals who have tested were rated by affect relations test and manual dexterity tes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xperimental desin of 2 x 2 x 2; feedback(success/failure) X self-esteem(high/low) X overgeneralization (high/failure). The results have found by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main effect of feedback in the positive affect scores has shown. 2. In negative affect scores, the main effect of self-esteem and feedback were indicated. 3. The main effects of overgeneralization and feedback and its interaction effect in the negative affect scores were shown. 4.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overgeneralization tendency. 5. The overgeneralization tendency under the failure condition has shown more significantly explanatory than the self-esteem. That is, the overgeneralization tendency had greater influence than the self-esteem in feeling the negative affect more greatly by individuals following failure.;한 개인의 사회적 행동을 결정하는 중심 특성중의 하나인 자존감이 상담 장면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온것은 오래전의 일이다. 본 연구는 피드백, 자존감, 과일반화 경향이 개인의 부정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즉, 높은 자존감집단과 낮은 자존감집단사이에서 실패 피드백에 대한 개인이 감정 점수에 차이가 나는 것은,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이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보다 실패 피드백의 의미를 자신들의 identity의 다른 부분에도 일반화시키는 경향이 크기때문이며, 그러한 과일반화 경향이 자존감에 비해서 개인의 부정감정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증하기위한 연구이다. 이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161명의 여대생으로 이들은 피드백, 과일반화, 자존감을 조합한 8가지 조건에 배정되었다. 피험자들은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을 측정하는 예비검사가 집단적으로 실시된 일주일 후에, 개별적으로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공간지각검사와 수공 능력검사 결과에 대한 피드백은 받은후에 자신의 느낌을 감정 반응 척도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2(피드백)×2(자존감)×2(과일반화 경향)의 실험설계를 바탕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피험자가 응답한 긍정감정점수와 부정감정 점수를 종속변인으로하여, 피드백(성공/실패)×자존감(높다/낮다)×과일반화 경향(높다/낮다)에대한 회귀분석과 요인변량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간의 상관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긍정점수에서 피드백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존감이나 과일반화 경향과는 상관없이 개인은 실패했을때보다 성공했을때에 자신을 더 긍정적으로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부정감정점수에있어, 자존감, 피드백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자존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더 큰 부정감정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성공보다는 실패가 더 부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켰다. 3. 부정감정점수에있어, 과일반화와 피드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과일반화 경향이 높은집단이 과일반화 경향이 낮은집단보다 더 부정감정을 크게 느꼈다. 실패가 성공에 비해서 부정감정을 더 크게 불러 일으켰다. 또한 상호작용 효과는 성공조건에서는 과일반화 경향이 부정감정유발에 영향을 주지 못 했지만, 실패조건에서는 과일반화 경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부정감정을 더 많이 경험한다는것이 밝혀졌다. 4.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 사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실패조건에서는 낮은 자존감집단과 높은 과일반화집단이 유사한 반응을 하고, 높은 자존감집단과 낮은 과일반화집단이 유사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5. 실패조건에서 자존감 보다 과일반화경향이 더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이 실패후에 부정감정을 더 크게 느끼는데에는 자존감보다 과일반화 경향이 더 영향력이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