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용숙-
dc.contributor.author박혜정-
dc.creator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4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5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403-
dc.description.abstractCe me´moire a pour object l'e´tude de la proprie´te´ de l'imparfait dans le cadre de la the´orie d'e´noniation. La raison de choix "imparfait" comme l'objet de cet e´tude est suivante. L'e´nonciation qui fait la fonction de la langue pourvu d'um acte individuel est classe´ par deux parties d'e´nonciation: l'e´nonciation de re´cit historique et de discours. Le syste´me de l'indicatif franc,ais est divise´ en deux parties d'e´nonciation. Cependant, i'imparfait est commun aux deux parties. Donc, il est ne´cessaire d'expliquer pourquoi l'imparfait est inse´re´ dans le discours et le recit, a` la fois. L'imparfait comporte l'accompli re´trospectif et l'accomplissenent perspectif. Ce fait a une image que la portion de dure´e re´volue s'oppose a` celle pas encore. A cause de l'accomplissement perspectif, l'imparfait a la proprie´te´ imperfectif. Dans le re´cit, l'imparfait imperfactif a le ro^le de arrie`re-plan qui prend les e´ve´nements exprime´s par le fasse´ simple perfectif qui est en relief. Et, quand l'imparfait se combine avec les verbes transitionnels, il se rapproche de perfectivite´ et il a le me^me ro¨le de passe´ simple qui fait progresse´ le re´cit. Dans le discours, l'imparfait a la valeur temporelle et modale. Avec la valeur temporelle, il s'oppose au passe´ compose´ perfectif. A la diffe´rence des temps passe´s dissemblables, l'imparfait qui a la valeur modale, a les usages spe´ciales dans le discours : politesse, hypocoristique et pre´ludique de l'imparfait. Par conse´quenccce, on peut dire la raison de coexistence de l'imparfait dans le discours et re´cit base sur l'imperfectivite´. Le passe´ simple et le passe´ complse´, les temps passe´ de re´cit et de discous ont le perfectivite´. Mais tous les proce`s ne peuvent pas s'exprimer au perfectivite´. Il faut la forme imperfective qui est suppe´mentaire aspectuellement. Donc, l'imparfait est inse´re´ dans le discours et le re´cit.;본 연구의 목적은 언술행위이론에 입각해서 반과거의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으로 반과거를 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화자가 자기 자신을 위해 랑그를 동원하는 언술행위는 두 개의 언술행위 유형인 담화와 이야기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불어의 직설법시제 체계는 두 언술행위 유형에의해 두 개의 상호보충적 체계로 나누어지는데 반과거는 이 두체계에 공통으로 포함된다. 그러므로 담화와 이야기에 반과거가 동시에 포함될 수 있는 이유를 밝혀볼 필요가 있다. 반과거 형태는 회고적 수행과 예측적 수행으로 구성된다. 반과거로 표현된 사실은 이미 경과된 지속의 부분과 아직 경과되지 않은 부분이 대립되는 영상을 갖는다. 예측적 수행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과거 형태는 비완주성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야기에서 반과거는 단순과거에 의해 표현된 사건을 부각시켜주는 배경의 역할을 한다. 또한 단순과거보다 후행인 지표점을 제공해주는 시간을 나타내는 보어와 그리고 전이동사와 결합하여 완주성에 접근해서 이야기를 진전시켜 주어 단순과거와 같은 역활을 한다. 담화에서 반과거는 시제적 가치와 양태적 가치를 갖는다. 시제적 가치를 띠는 반과거는 복합과거의 완주성과 대립한다. 다른 과거 시제와 달리 양태적 가치를 갖는 반과거는 담화 안에서 특별한 용법을 갖는다. 이 연구에서 담화와 이야기에 반과거가 공존하는 이유를 비완주성에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담화와 이야기의 과거시제인 복합과거, 단순과거는 완주성을 갖는다. 그런데 모든 사행을 다 완주성으로만 나타낼 수는 없다. 상적으로 상호보충적인 비완주적 형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비완주성을 띤 반과거가 담화와 이야기 두 곳에 더 필요하게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점 제기 = 1 B. 연구대상과 연구범위 = 4 Ⅱ. 언술행위의 두 유형 : 담화, 이야기 = 6 A. 언술행위의 정의 = 6 B. 담화, 이야기의 구별 = 8 1. 인칭 = 12 2. 시간적 지시소 (de´ictique temporel) = 13 3. 공간적 지시소 (de´ictique spatial) = 19 4. 구어체와 문어체 = 23 Ⅲ. 반과거의 특징 = 29 A. 비완주성 (imperfactivite´) = 32 B. 동시성 (simultane´ite´) = 37 C. 비현실성 (irre´l) = 39 Ⅳ. 이야기에서의 반과거 = 42 A. 배경(arrie´re-plan)으로서의 반과거 = 44 B. 완주성으로의 접근 = 48 Ⅴ. 담화에서의 반과거 = 54 A. 과거속의 현재 = 56 B. 선행성 (ante´riorite´) = 60 C. 양태적 용법. = 66 Ⅵ. 결론 = 70 참고문헌 = 73 Re´sume´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28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언술행위-
dc.subject반과거-
dc.subject불어-
dc.subject불문학-
dc.subject.ddc800-
dc.title언술행위 유형에 따른 반과거의 특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ne e´tude sur la the´orie de l'imparfait-
dc.creator.othernamePark, Hae-Jung-
dc.format.pagev,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불어불문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불어불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