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心象表現을 위한 色과 面의 調和

Title
心象表現을 위한 色과 面의 調和
Other Titles
HARMONY OF COLOR AND FACET FOR IMAGE PRESENTATION
Authors
李炫定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심상표현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奎鮮
Abstract
객관적인 美의 定義를 내리기가 어렵듯이, 회화에서 績出되는 表現方式들은 전통이나-물론, 전통이 기본이 되어야 하겠으나 - 유행등의 옷을 벗어 던짐으로써 나름대로 美의 基準을 설정해 놓고 있다. 예술은 고정관념에 대항하여 잠재된 感情이나 衝動을 끌어내어, 藝術的 自發性을 회복시켜 놓는다. 이렇듯 예술이란 多元的인 것이어서, 각 개인들마다 표현되는 다양성 위에 우리의 회화세계가 펼쳐지고 번창하는 모순들에 대해 우리는 똑같이 진실을 부여할 줄도 알아야 한다. 예술작품은 그것이 무슨 目的達成을 하는가와는 전혀 상관없이 그 자체로서 자율적으로 內在하는 意味를 갖는다. 특히 20C中半을 전후로, 복잡다양한 사회구조와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회화, 또한 그 수레바퀴의 일부분이 되어 각종 다양한 表現方法을 擇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藝術的 自律性에 발 맞추어, 本人은 기존의 韓國面, 洋面라는 구분을 가능한한 좁히고. "繪面"라는 포괄적인 입장에서 구속받지 않으려는 의지를 나타내려 하였다. 이에 부응하여 一方的인 氷墨 爲主의 경향에서 벗어나 東洋的인 感性과 認識을 발판으로 하면서, 동시에 西洋的인 幾何學線과 부드러운 曲線으로 面이 갖는 질서와 화면의 分割을 통해 화면구성에 密度感과 律動感을 추구하여 내면의 Image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더우기 화면 전체에 분할된 면을 색채대비와 명암의 면적대비로 표현하여, 색을 통한 다양한 분위기 묘사와 공간 속의 리듬감을 가지려했다. 이런 질료를 사용하여 내면에 흐르는 心理的인 告白을 종합화하였다. 本人은 自然이 주는 무수한 소재들 중에서 宇宙空間이 던져주는 신비감과 깊은 사색적 분위기를 全體tone으로 擇했다. 이는 즉, 개인 속의 내적인 등가물을 자연의 탐구에서 抽出하여 色感的이고 親近感 있도록, 幻想的으로 재해석하였으며, 廣大한 宇宙, 無限한 時間이 속에서 살다 가는 人間의 짧은 生과 아직도 캐내지 못한 숨겨진 많은 우주공간의 비밀을 "繪畵"라는 도구를 통해 감지해 보려하였다. 이와 같은 表現을 위하여 本人은 色과 面적 이론을 定立한 印象主義와 Cubism을 그리고 幾何學的 構咸을 지향한 構成主義, 新造形主羲등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동양적 분위기와 調和를 이루도록 노력 하였다.;Expression method of picture can establish the standard of beauty by freeing itself from tradition and fation (of course, tradition should be a basis for it), because it is difficult t o form a clear definition of beauty. Art waken potential emotion and desire against a fixed idea and recover the artistic spontaneity. Because art is pluralistic, artistic world, which is based on the individual variety, can be various and we have to invest every contradition with same truth. Whichever purpose does t h e artistic work achieve, it has its intrinsic meaning. Mid-twentieth's picture has taken various artistic expression method with the complicated social structure and rapidly changing social situation. With this artistic spontaenity, this thesis aims to narrow the existing gap between Korean picture and western picture, and to show the inclusive point of view. So, I tried to get out of the unilateral trend of India ink painting, to make a stepping stone of oriental emotion and recognition, to express the order of fact and the division of canvas through geometric line and slack curve, and to realize internal image by pursuing feelings of density and rhythm. And I wanted to present the divided canvas with color contrast and area comparison of light and shade, and to achieve various descriptions of atmosphere and rhythmical sense of space. This thesis integrated internal psychological feelings by using these materials. Among these materials, I selected the mystery of space and deeply meditative atmosphere as a general tone. I extracted man's internal equivalent material from nature and reinterpreted it as a colorful and familiar thing. I wanted to understand the hidden mystery of space and the meaning of momentary life of man by making use of 'picture'. For this, I did my best to harmonize expressionism which eatablish the theory of color and facet, cubism and oriental atmosphere, standing on the basis of structualism which emphasizes the geoemtrical structure and neo-formativis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