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우울 성향 대학생에 대한 자기통제 기법의 효과

Title
우울 성향 대학생에 대한 자기통제 기법의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ibility of self-control techiqu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ve tendency : utilizing multiple time series as the evaluating tool
Authors
이연수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우울성향대학생자기통제중다시간계열설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찬화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more systematic and intensive research methods in counseling. For this purpose, "Multiple Time Series Design" was used. The second purpose was to evaluate the effectibility of "Self-Control" techniqu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epressive tendency. This could then serve as a primary basis to design and provide more effective counseling methods for depressants. In shor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whole counseling process from single subjects, rather than from the commonly practiced "Pre-Post" or "Group" comparisons. For the above mentioned purposes,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1) After counseling, will there be significant changes in the number of positive self-reward and negative self-reward (punishment) ? 2) After counseling, will there be significant mood changes? 3) After counseling, will the level of positive activities change significantly over a single day period? 4) After counseling, will the MMPI and SCL-90-R scores change significantly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factors for consideration? Out of 17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exhibited advertisement column and 80 students who attended an "adolescent psychology" lecture at the university,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MMPI and SCL-90-R scores. The result of the tests (MMPI and SCL-90-R) for the three subjects was as follows: 1) the depression releted scales (Hs, D, Hy, Sc) appeared moderate to moderately high (T score: 60-70); 2) the T scores of maniac scale (Ma) were below 40; and 3) the T scores of other scores were below 60. Subjects went through about 7 sessions of counseling, in addition to the initial intake, over a 4 week period. During this period, they kept a daily behavioral diary. They then graphed the daily average mood level, the daily positive activities' level, the daily positive reward level and the daily negative reward (punishment) level. During the full counseling process, the actual intervention (treatment) by the counselor was initiated at a different point for each subject. The baseline period was 3 days for subject 1, 6 days for subject 2 and 14 days for subject 3. Upon completion of the final session, each subject was then tested, for the second time, by MMPI and SCL-90-R. The graphic data were analyzed visually and statistically utilizing the time series analysis design. In visual analysis, there were slightly increasing trends for all subjects in the number of positive rewards, with only subject 2 registering a slight decreasing trend in the number of negative rewards. In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er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changes. However, when analyzed from a total perspective of the full counseling process including visual analysis, pre-post test results, and the subjects' evaluations of the counseling process, it can still be concluded that Self-Control Technique helped subject 2 and subject 3 in decreasing the level of their depression. Although the full analysis of the counseling process did indicate positive effects on the depressants, it is also the opinion of this researcher that, from this study alone,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Self-Control Technique is effective for all depressive clients. In order for a more conclusive evaluation of the Self-Control Techniques' effectibility, longer baseline periods are needed as well as an increased number of actual observation points. In the final conclusion,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is present study nonetheless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Unlike most other studies, it applied methods, in dealing with both the actual treatment of depressants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counseling process itself, not commonly practiced by previous researchers.;본 논문은 먼저 상담에 더욱 체계적이고 엄밀한 연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중다시간계열 (Multiple time series)이 사용되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우울성향의 대학생들을 더욱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상담방법을 발견하기 위해, 그 기초적인 역할로서 우울성향 대학생에 대한 자기통제 기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우울한 피험자들에 대한 자기통제 기법을, 전-후 비교나 집단 비교가 아니라 단일 피험자에게서 얻어진 상담의 전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제기되었다. 1 . 상담 후 피험자가 스스로에게 사용한 긍정적인 보상의 수와 부정적인 보상의 수(처벌의 수)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는가? 2 . 상담 후 기분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는가? 3 . 상담 후 매일 발생하는 긍정적인 활동의 수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는가 ? 4. 보조적인 방법으로서 MMPI와 SCL - 90 -R에서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는가 ? 본 연구의 피험자는 게시된 광고문을 보고 찾아온 17명의 학생들과 본교 청년심리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 중 80명에게, MMP I와 SCL- 90 -R을 실시하여 선정되었다. 선정된 피험자는 3명이었고 이들의 검사결과에서 우울과 상관된 척도들(Hs,D,Hy, Pd,Si )은 중간 정도의 상승을 보였다( T점수가 60 ∼ 70점 사이 ) . 또한 경조증 척도( Ma ) 의 T점수는 40점 이하였으며, 나머지 척도의 T점수들은 60점 미만이었다. 상담은 4주동안 첫 면접을 제외하고 약 7회 정도 실시되었다. 첫 면접 후 부터 피험자들에게 매일마다 취침 전에 행동일지를 작성하게 함으로서, 매일의 평균기분과 긍정적인 활동의 수, 그리고 긍정적-부정적인 자기보상의 수를 그래프로 기록 하게 하였다. 상담 과정에서 실제 개입 (처치 )은 세 피험자 각각에 따라 체계적으로 다른시점에서 시작되었다. 피험자1의 baseline기간은 3일이었고, 피험자2는 6일, 피험자3은 14일이었다. 상담이 끝난 후, 다시 한번 MMPI와 SCL - 90 -R검사를 실시했다. 매일의 긍정적-부정적인 자기보상의 수, 평균기분, 긍정적인 활동의 수를 기록한 그래프는 시각적으로 분석되고 또 Time Series Analysis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분석에서는, 세 피험자가 모두 긍정적인 보상의 수에서 약간의 상승 경향을 보였고, 부정적인 보상의 수에서는 피험자2만이 약간의 감소 경향을 보였다. 평균기분과 긍정적인 활동의 수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통계적 분석을 통해서는 모든 자료에서 의미가 발견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시각적 분석과, MMPI와 SCL -90-R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그리고 피험자들의 진술을 종합해 볼 때, 피험자2와 3은 자기통제기법에 의해 도움을 얻을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결과로서 우울한 피험자에 대한 자기통제기법의 효과가 제시되기는 하였으나, 이 결과만으로 자기통제기법의 효율성을 확신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보다 명백하게 자기통제기법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연장된 상담기간과 더 많은 관찰점들이 수집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 대한 최종적인 결론을 내리자면, 본 연구는 우울성향 내담자를 다루는 하나의 방법과 상담 과정을 더욱 엄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