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대학 도서관 인력활용에 대한 연구

Title
대학 도서관 인력활용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SONNEL UTI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ASK ANALYSIS OF PUBLIC SERVICE DEPARTMENT
Authors
이소연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서관학과
Keywords
대학 도서관인력활용이용자 봉사 부서업무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세익
Abstract
Since library is a labor-intensive organization, its successful management comes to realization through the logical coalitions of those pivotal requisites: the job organization, the job construction, and the appropriate and welltrained personnel. The most important process to be considerable preceding the requisites is the job analysis. Job analysis become a starting point of resolving various problems of personnel and tasks, education, recruitment, employment, placement, promo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ile actual data to accomplish an ideal personnel utilization in Korean libraries.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include the use of related literature and survey throug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Forty-one heads of public service department of large-sized academic libraries around the country and 163 public service librarians of 17 academic libraries in Seoul area have responded and the results of survey are as following: 1. The 85.3% of whole respondents are comprise of librarians(38.5%) and those who have bachelor degree but not majored in library science(25%), library assistants (who are junior college graduates:21.8%). 2. the jobs given to librarians were rather similar to those who have bachelor degree but not majored in library science than library assistants, While those librarians were engaged in professional tasks, those who have bachelor degree but not majored in library science were mainly performing the administrative-managerial tasks. 3. Library assistants were generally supporting librarian and those who have bachelor degree but not majored in library science as sectional chief. So, the working volume was low both in professional and administrative-managerial tasks. 4. The heads of public service department agree to the factual difference of competency between librarian and library assistant. And to testify this, an analysis of the degrees of discretion among the positions were undertaken. A strong correlation was existing between the position grade and degrees of discretion. So, among three categories, evident difference of competence was confirmed. Suggestion for effective personnel utilization based on above observations are as following: Frist, individual libraries must undertaken microscopic job analysis to identify and adjust the actual situation. Second, professional association must lead the macroscopic job analysis process produce more overall and definite results. And it must be dynamic and future-directed. Finally, library today is faced with the necessity of rational management to protect itself from both internal and external pressure and this critical situation can be relieved and improved only through the effective reconstruction of manpower. Also to accomplish and enhance the social value of library more considerable effort must be devoted in the study of personnel utilization.;도서관은 노동집약적 조직이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도서관경영은 합리적인 업무조직에 적절히 훈련된 인력을 연결할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여기서 반드시 선행되어야할 과정이 직무분석이다. 직무분석은 인력-업무간 직무설계에서뿐 아니라 교육·모집·선발·고용·배치·승진·재교육 등 일련의 인력활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인력문제를 직무분석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의 결과, 도서관업무에는 다양한 수준의 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각 업무의 수준에 따른 차등직원배치를 가능케 할 직위분류에 대한 의견에서도 어느정도 일치를 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외국에서 이미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를 실정에 맞게 수용하는 일이 우선과제라 하겠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서관의 특수성에 적합한 인력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에 두어졌다. 연구방법은 관계된 문헌조사와 면담·질문지에 의한 실태조사를 병용하였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직위분류, 그리고 전문·준전문·비전문인력의 역할한계를 다룬 문헌을 조사한 결과와, 직무분석기법을 사용한 인력관리 제 영역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후반부에서 대학도서관 이용자봉사부서의 인력배치와 업무의 분장(分掌) 방식에 대한 실태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사서나 준사서 자격을 소지한 직원이 10명 이상인, 전국의 41개 대학도서관 열람과장과 서울시내 17개 대학도서관 163명의 열람과 직원을 대상으로 수집한 질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사서 ( 38.5% )와 학사학위를 소지하고 단기과정을 통해 정사서자격을 취득한 단기강습사서 ( 25% ), 그리고 준사서 ( 21.8% ) 가 전체응답자의 85.3%를 구성하고 있었다. 2. 정사서는 준사서보다 단기강습사서와 유사한 업무담당유형을 나타냈다. 그러나 정사서가 도서관에 고유한 전문적 업무의 수행율이 높은데 비해, 단기강습사서는 행정·관리업무를 주로 하고 있었다. 3. 준사서는 대체로 부서책임자인 정사서나 단기강습사서를 보조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문적 업무나 행정·관리업무의 수행율이 모두 낮았다. 4. 열람과내에서 우선순위를 설치빈도와 직원배치를 기준으로 분석했을 때, 정기간행물, 참고, 대출부서가 열람과 부서조직의 중심을 이루는 것을 발견했다. 5. 열람과장들은 정사서와 준사서간 능력차이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었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단기강습·준사서간 업무수행에서 요구되는 판단의 자유재량정도를 분석하였다. 주로 담당하는 업무의 발생빈도가 독립적 판단의 요구정도를 결정한다고 보았을 때, 정·단기 강습·준사서 순의 직위서열과 판단의 자유재량정도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3범주 사이에 업무수행의 명백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 수 있었다. 6. 전체 열람과 직원의 이용자봉사 수행율에서, 과거의 참고봉사 부재 상태를 벗어나 상당한 진보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개 업무의 수행수준이 높은데 비해 ,이용자의 질문에 응답하는 시간은 적었고, 또한 열람과 직원이면서 참고실 사서는 아닌 응답자의 이용자봉사에 대한 책임인식은 저조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진보하고 있으나 균형있는 발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7. 모든 대학도서관 열람과에서 평균 38.6명의 학생보조원을 활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원결정·선발의 권한이 도서관에 주어져 있지 않고, 매학기 새로운 사람으로 교체되는 현재의 여건에서는 오히려 훈련업무만이 가중될 우려가 지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도서관에서 그 특수성을 고려하여, 현재를 기점으로 직무수행의 실태를 파악하는 미시적 직무분석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전체 도서관계의 인력문제에 깊이 관여해야할 전문직 학·협회에서는 보편적 결론을 창출하기 위한 거시적 직무분석 연구를 주도해야 한다. 그리고 그 연구는 현재 업무의 정태적 분석이 아니라 발전을 목적으로 한 미래지향적·동태적 분석이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각 수준의 인력에 적합한 교육내용이 규명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급 양성기관은 그 결과에 따라, 결코 동일한 수준에서가 아닌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이미 도서관에 수용된 단기사서와는 관계없이, 현행 단기과정의 존재여부는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그 결과, 단기과정의 폐지로 의견이 일치된다면 도서관학 교육내용에서 현재 단기강습사서의 주역할로 나타난 행정·관리능력의 교육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오늘날의 도서관은 내적·외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한 합리적 경영의 필요성에 직면해 있다. 이 문제는 많은 부분이 인력활용을 통해 해결 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 분야 연구에 대한 보다 비중있는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경영관리의 가장 주요한 자원이 인력자원이라는 것은 변함없는 원칙이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