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7 Download: 0

정신질환자의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Title
정신질환자의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ate of hospital psychiatric patients
Authors
김문영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정신질환자자기노출정신건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光子
Abstract
오늘날, 복잡해지는 인간관계와 인간의 생활에 따라 정신건강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고, 그로 인해 건강한 성격 적응이나 상담, 또는 정신치료에서의 자기노출은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정신질환자의 자기노출량을 측정하고 정신건강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여 자기노출과 정신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1개의 정신의료원 입원환자 107명이며, 연구도구는 자기노출을 측정하기 위해 Jourard가 작성한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SDQ)를 번안,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정신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 광일과 원 호택이 표준화한 간이정신진단검사 (SCL-90-R)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1986년 9월 15일부터 10월 8일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Program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ent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총자기노출점수와 정신건강상태점수간에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r=0.22), 이러한 관계는 산포도 분석 결과 정신건강상태가 양호한 집단이 자기노출을 적게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둘째, 노출대상에 대한 자기노출량과 정신건강상태점수간에는 다른환자와 의료팀에 대한 자기노출점수와 정신건강상태점수간에 순상관관계를 나타내어 (r=0.29, r=0.34), 정신건강상태가 나쁠수록 다른환자와 의료팀에게 노출을 많이 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셋째, 노출대상에 대한 자기노출량에서는 가족(M=36.63), 친구(M=34.45), 다른환자(M=16.51), 의료팀(M=16.23)간에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족에게 노출을 가장 많이 하였고, 의료팀에 대한 노출이 가장 적었다. 넷째, 노출요인별 자기노출량은 취향(M=19.43), 인격(M=18.85) 신체(M=17.88), 태도(M=17.82), 직업(M=16.93), 금전(M=13.00) 간에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취향에 대한 노출이 가장 많았고, 금전에 대해서 가장 노출을 적게 하였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에는 역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였다. 이와같은 본 연구의 결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건강인 집단에 적용하여 자기노출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연구해 보고, 정신질환자 집단과의 자기노출량을 비교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This study was attempt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atus of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with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udy.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107 hospitalized psychiatric patients who were in the C-psychiatric hospital in Taegu from Sept. 15 to Oct. 8, 1986. To collect necessary dat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tients, and interviews were performed. The measurements tools were Jourarcl's Self- Disclosure Questionnaire to measure self-disclosure level and Kim Kwang-il and Won HO-tack's modified Derogatis' SCL-90-R to measure mental health status. Frequency,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fficient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ose respondents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atus was found in the psychiatric patients (r= 0.22 p=0.01). This result was explained by Scatter diagram that the group of good mental health status were expressed low self-disclosure.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ores of mental health status and self-disclosure to other patients who is same ward with the subject and medical team (r=0.29, r=0.34). 3. Difference among self-disclosure to the subject of self-disclosu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sclosure among family (M=36.63) friend(M=34.45), other patients(M46.51) and medical team(M=16.23) (p<.00l). 4. Difference among the factors of self-disclosur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sclosure among taste(M=19.43), personality (M=18.85), body (M= 17.88), attitude(M=17.82), work (M=16.93), and money (M=13.00) (p<.001). These results supported partially to the precedented studies which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atus. From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tudies could advised. It is necessary to assess correlation between self-disclosure and mental health status with the measurement tools for this study goal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otal self-disclosure, comparing with healthy person and psychiatric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