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한국 신학생들의 선교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Title
한국 신학생들의 선교의식에 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ission Consciousness of the Korean Theological Students in the Perspective of Contemporary Missioogy
Authors
朱美亨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한국 신학생선교의식신학생선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全在玉
Abstract
While expectation to the missionary role of the Korean churches has been increasing which have met two centenial anniversary, confusing reality of the Korean churches which results from the different concepts of mission between evangelical and ecumenical makes the efficient missionary activity difficult. Thus this research, which is intended as a basic work for establishing desirable concept of mission in Korea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mission consciousnes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As the theological students are in a leading position of the Korean churches, an investigation of their mission consciousness can be accepted as a helpful yardstick for measuring now and future of the mission in Korean churches. This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consider the mission consciousness of theological students centering around their theological background and individual patterns of life which have formed the basis and motivation of their conception of mission. For this survey, this researcher selected the subjects of study among the seniors in 7 denominational seminaries and 1 interdenominational university,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his work was carried out for 12 days from 10th April to 21th April, 1987 with the returning rate of 94.7% (42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ut of 452 distributed). Of these 416 questionnaires were actually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reached through analysis of this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ir life patterns classified into personal faithful life, participative extent in activities, self-consciousness and media expos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item according to seminari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in beginning time of their church life and background of Christian faith of their family. This finding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life pattern of the subjects could be used as a helpful standard in measuring the mission consciousness. 2.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ir miss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the areas of missionary activities, mission/evangelism, salvation, dialogue, church, evangelization/social responsibility and mission in Korean churches: (1) Mostly, in areas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the first emphasis was put on the country, and in case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abroad much more importance is given to the evangelization than to th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2) Mission/evangelism is generally accepted as an identical conception or the former was regarded as more wider than the latter. (3) In the view of salvation three different concepts were found: individual salvation, social salvation and salvation which include both of them. (4) Most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ialogue with the other religion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propagation of christian gospel.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urch and the world, but in regarding the growth of the church as an operational object their views were in accord. (6) In their recognition and responsibility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world, they showed a tendency to admit unjust and unpreached reality. (7) The prior tasks which the Korean churches is confronting could be placed in order under the category social responsibility, evangelism and church renewal. The result of the survey enumerated abo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seminaries and life patterns, which confirmed the fact that the mission ; consciousnes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was formed by those factors. The finding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mission in Korea must make away with its divided controversy and be carried out diversely multidimensional mission. Especially, the fact that most of the theological students make clear their position on the concept of mission and nevertheless show positive and open attitude toward motivation and factors which has formed other positions suggested the hopeful future of the mission that is, it can be evaluated as a ground which shows mission in Korea is heading for integritied direction.;선교 2세기를 맞이하는 한국교회의 선교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는 반면, 에큐메니칼측과 복음주의측 사이의 양분된 선교이해의 현실은 한국교회의 효율적 선교활동을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올바른 선교개념 설정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한국 신학생들의 선교의식 파악을 시도하였다. 신학생들은 미래의 교회지도력으로서, 이들의 선교의식을 검토하는 작업은 한국교회 선교의 현재와 미래를 측정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교이해의 근거와 동기가 되는 요인으로서 신학적 배경과 개인의 생활유형을 중심으로 신학생들의 선교의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교단신학교 7개교와 초교파 1개교의 신학과 4학년 학생들을 선정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본 조사는 1987년 4월 10일부터 21일까지 12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배포한 설문지 452부 중 94.7%가 회수되었고, 이 중 실제로 통계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416부였다. 이 조사를 통해 제시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생활유형을 개인신앙생활유형, 활동상황, 자의식, 매체접촉도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교회생활 시작시기와 가족의 기독교 신앙배경을 제외한 각 사항이 학교 및 인구사회학적 속성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생활유형이 선교의식의 측정기준으로 사용될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2. 조사대상자의 선교의식을 선교활동분야, 선교와 전도, 구원, 대화교회, 복음선포와 사회참여, 그리고 한국교회와 선교 등의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각 항목별로 나타난 전반적인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대체로 선교활동지역에 있어서 국내위주의 선교를 지향하고 있었으며, 국외선교는 사회참여활동보다 복음선포사역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선교와 전도를 동일하게 인식하거나, 또는 선교를 전도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3) 구원관에 있어서는 개인구원, 사회구원 그리고 개인과 사회의 구원을 동시적으로 포괄한 세 차원의 이해로 분류되었다. (4) 대부분 종교간 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서는 ‘기독교 복음선포의 거점 마련’을 제시했다. (5) 교회와 세게 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상반된 대립이해의 현상을 보였으나, 교회성장을 선교의 과정적 목표로 이해하는 데에는 일치된 의견을 나타냈다. (6) 현 세계상황에 대한 인식 및 그 책임에 있어서, 복음화되지 않은 현실과 공평하지 않은 현실을 모두 인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7)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로는 사회참여, 복음화, 교호갱신의 세범주로 우선순위를 제시했다. 위에 열거된 조사대상자들의 전체적 경향은 각 학교별, 개인생활유형별로 뚜렷한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한국 신학생들의 선교의식이 그들의 신학적 배경(신학교)과 개인의 생활유형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어 있음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한국교회의 선교가 종래의 양극단적 논란을 지양하고 다양성 속에서 복합적 양태로 수행되어져야할 것을 암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선교이해에 있어서 대부분의 신학생들이 자기 주장을 명백히 하는 반면, 다른 주장을 형성하는 동기, 요소들에 대해 긍정적이고 개방적 자세를 취하고 있는 점은 한국교회 선교의 미래가 통합적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하나의 근거로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