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필화-
dc.contributor.author김미주-
dc.creator김미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5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3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19-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제조업 생산직 노동시장에서의 특정직종에의 여성편중현상과 그 직종에서의 여성의 저임금의 원인을 노동과정을 통해 밝히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예비조사로서, 여성편중현상이 두드러진 부산과 안양에 소재한 두 기업에 대한 자본측의 면접과 작업장 관찰을 통해 밝힌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즉, 남성에 비해 여성의 저임금의 원인은 상대적인 기술(skill)의 부족 때문이라는 것이었지만,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개념은 남.녀 실제 노동차이에서 온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 또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숙련/미숙련 (skilled/unskilled)노동의 구분의 근거와 그 평가에 대해 문제제기 하고 숙련의 개념을 재규정하여 여성의 숙련수준을 검토하여 숙련노동임을 확인하고 또한 여성노동을 숙련노동으로 보이지 않게 하는 기제(mechanism)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에 소재한 소기업에서의 작업장 참여관찰과 면접을 통해 사례연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노동은 숙련노동으로 규정될 수 있는 작업지식과 통제능력을 갖고 있었고, 남녀노동을 비교해 보아도 남성보다 여성의 숙련이 낮게 평가되어야 할 합리적인 근거는 없었다. 그러나 여성은 숙련노동자로 간주되지 않는데 이는 다음의 요인들에 의해서이다. 첫째, 사회적. 관습적으로 숙련/미숙련 노동으로 규정하는 작업에 자본과 작업자는 남성/여성 노동에 대한 각각 다른 이념적 가정을 가지고 노동력을 수요하고 공급하여 작업장에 배치되는데 이 두 요인의 결합으로 여성은 미숙련노동으로 규정된다. 둘째, 여성노동은 숙련노동으로 규정될 수 있는 작업지식과 자기직업에 대한 통제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남성위주의 평가체계에 의해 이러한 지식을 여성의 특성으로 평가될 뿐이다. 남성과 고용주의 이해에 의해 이러한 관계는 유지되고 있다. 세째, 그리고 여성은 자기가 가지는 작업지식의 정도에 따라 자기 작업에 대한 통제력을 갖고 있으나, 남성과 다른 작업배정과 관련하여 그리고 남성이 여성을 통제하는 사회적 관계에 의해 이러한 통제력을 상대적으로 적게 행사할 수 밖에 없다. 넷째,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작업지식, 그리고 노동시장의 상황,-노동력 부족등- 에 의해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자본에 대한 보이지 않는 힘은 암묵적으로 인정되고 있어 교섭력에 작용하기도 하지만 첫째, 둘째, 세째의 요인과 관련하여, 더군다나 여성을 가족과 관련시키는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에 의해 자본에 대한 적극적 교섭력으로 충분히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rasp the phenomena of women labor's concentrated on a particular occupation and the factors/reasons of low wages of women workers in the labor market of manufacturing industry. In doing so, as a preliminary survey, interviewing to the employers (the capital)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o two selected factories employing concentrically women laborers in Pusan and Ohnyang are firstly prackic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mmon characteristics could be indicated: i.e. the women's low wages commpared with male counterparts' were generally recognized by the lack of skill of women workers, but the concept of such skill was not, it is found, accrued from the actual differences of work between male and female. Therefore the grounds of division between skilled labor and unskilled labor as tell as their evaluation are questioned in this paper. Furthermore, the author tries to reconceptualize this concept of skilled labor and make clear the mechanism which has regarded women's labor as unskilled labor.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the methods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to a workshop of a small enterprise in the City of Taegu, south-eastern part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s labor is defined as an unskilled one owing to intertwining two factors: One is labor has been customari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society, "skilled" and "unskilled", and the other is the capital (the employers) has employed and allotted labor force with different assumptions (sexist bias) to male and female labors. Socond, although women laborers have working knowledge which can be recognized as. skilled one, under the present evaluation system highly male-centered, such knowledge is only considered as a feminine quality. Furthermore, under circumstance the mechanism of this relations is maintaining, for the sex in charge of such kind of work is women, women's work is defined as an unskilled one. Third, women can have the power of control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of work, but in connection with their working allotment/post different from men and by the social relations which men rule women, the women's power of control has to be restricted and reduced. Fourth, by women workers' working knowledge, the situation of labor market and the lack of labor force, the invisible power of women laborers ,to the capital gives them a better bargaining power. However, the afore-mentioned factors from First to Third and, in addition, the ideology of seual division of labor connected women with family prevent women from conducting their bargaining power posi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머리말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방법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노동과정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8 1. 인적 자본이론과 노동시장론 = 8 2. 노동과정과 성별분업 = 12 B. 숙련 (skill)의 제정의에 의한 분석률 = 17 Ⅲ. 사례결과 및 분석 = 28 A. Y 모직의 노동조직 = 28 1. 채용방식 = 30 2. 생산조직과 위계 = 31 3. 생산공정별 직업배정과 인적 특성 = 33 4. 소결 = 43 B. 여성노동자의 숙련수준 = 46 1. 정경 = 48 2. 통경 = 56 3. 제직 = 62 4. 소결 = 71 C. 여성숙련의 비가시화 기재 = 71 D. 노동자의 자본에 대한 교섭력 = 95 Ⅳ. 요약 및 결론 = 105 부록 = 111 1. 예비조사 개관 = 111 2. 작업지시서 = 124 3. 작업일지 = 125 4. 직기의 기구 및 각부 명칭 = 126 참고문헌 = 128 Abstract =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036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임금불평등-
dc.subject성별임금격차-
dc.subject임금격차-
dc.subject노동과정-
dc.subject.ddc300-
dc.title노동과정을 통해 본 성별 임금격차 요인에 관한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섬유제조업에서의 숙련수준 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 factors of sex wage differentials through labor process : centering on the analysis of skill level in the textile manufacturing-
dc.creator.othernameKim, Mi-Jhu-
dc.format.pagev, 13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