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기웅-
dc.contributor.author吳美林-
dc.creator吳美林-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3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6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rousal combined with hedonic tone on motor performance in a lab situation. For this purpose, three hypotheses were set up as follows; 1)Arousal and performance relationship presents inverted U shape. 2)The degree of hedonic tone level affects performance differentially. 3)The arousal effect on performance varies as a function of hedonic tone.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18 femal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were given 30 trials of stimulus detection task to auditory signal under 2×3(arousal and hedonic tone)within-subject design. RT of task performance were mesured in msec by IBM-XT computer. Means and SDs of six measures were calculated and then were subjected to the 2×3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 1. Task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ffering degree of arousal, i.e., in an inverted-U fashion. 2. Task performance was also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kinds of hedonic tone; that is, performance was better in hedonic tone of pleasure. 3. There was non-significant effect between arousal/hedonic tone on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formance efficiency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gree of arousal level and of hedonic tone level, but arousal/hedonic tone didn't have interaction effect on task performance.;이 연구의 목적은 인간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인 동기(motivation)의 본질을 설명하는 개념으로서 추종되는 각성(arousal)과 쾌락색조(hedonic tone)가 운동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결과와 문헌섭렵을 근거로 하여 독립변인의 조건으로서 여섯 가지 각기 다른 각성과 쾌락색조 조건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반응시간(reaction time;RT)을 설정하여 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1) 각성수준과 운동수행 결과는 역U형 관계를 나타낸다. 2) 쾌락색조가 유쾌수준에 가까울수록 운동수행 결과는 향상된다. 3) 각성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쾌락색조에 따라 변화한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 18명을 대상으로 3×2(각성×쾌락색조) 피험자내 설계하에서 청각신호에 대한 자극탐지과제(stimulus detection task)를 이용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각 조건 당 30회씩 시행을 하였고 그 수행결과를 기록하여 각각 측정치의 평균을 산출하여 이를 근거로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성수준의 정도에 따른 운동수행 결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각성수준과 운동수행 결과는 역U형 관계를 나타내었다. 2. 쾌락색조수준에 따른 운동수행 결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쾌락색조가 유쾌수준일 때 불쾌수준의 경우보다 훨씬 운동수행 결과가 양호하였다 3. 각기 다르게 결합된 각성과 쾌락색조에 따른 운동수행 결과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각성과 쾌락색조는 상호작용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성과 쾌락색조가 각각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나, 그 효과는 독립적인 것을 제시해 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1 Ⅰ. 서론 = 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동기 = 7 1. 동기의 개념 = 7 2. 동기이론 = 8 a. 욕구이론 (drive theory) = 8 b. 성취동기이론 (achievement motivation theory) = 11 c. 귀인이론 (attribution theory) = 13 d. 적정수준이론 (optimal level theory) = 15 e. 역전이론 (reversal theory) = 22 (1) 역전이론의 개념 = 22 (2) 역전이론과 운동수행 = 24 B. 가설 = 30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대상 = 32 B. 실험기재 및 과제 = 32 C. 실험설계 = 33 D. 실험절차 = 34 Ⅳ. 결과 = 36 Ⅴ. 논의 및 결론 = 39 참고문헌 = 42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62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각성-
dc.subject쾌락색조-
dc.subject운동수행-
dc.subject.ddc700-
dc.title각성과 쾌락색조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rousal combined with hedonic tone on motor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Oh, Mi-Rim-
dc.format.pageiv, 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