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8 Download: 0

朴木月詩의 美的距離 硏究

Title
朴木月詩의 美的距離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AESTHETIC DISTANCE IN PARK MOK-WORL'S POETRY
Authors
金容嬉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박목월미적거리국어국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賢子
Abstract
The poet's attitude toward the object and the reader is closely related to 'Aesthetic Distance'. The poet stylizes emotions in the process of artistic formalization, and controls the distance in the meeting of object and consciousness. Therefore 'aesthetic distanc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artistic experience : the aesthetic experience. This thesis analyses Park Mok-Worl's poems with the theme of 'Aesthetic Distance'. On the basis of my believing that the poet's consciousness which shows various poetic variations can be evid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distance' to reveal the attitude toward the object and the reader. In chapter Ⅰ, I surveyed the precedent researches on the poems of Park Mok-worl and the problems of those researches, and studied the 'distance' in the poem which is related with the conception of distance in aesthetics through the interrelated system of point of view, narration, and images. In chapter Ⅱ, I dealt with the poet's representation of overdistancing reader on the surface of the text by focusing on the process of personae's speech act. First of all, Park Mok-Worl's view poems, regarded as overdistancing world, leads the reader from overdistance to underdistance by moving personae's point of view. And the reader's optical absorption shows the implied reader's movement within the text. Second, this reader transforms through appearance of auditory sign which is incarnated as actual voice in the text. The hidden implied reader becomes phenomenological audience throught the speech and revealed to the surface. At this time the reader is the being who is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meaning as a structure of the text itself. Third, another characteristic part in the usage of language which derives reader's psychology is to put a noun at the end of line. This noun gives the reader over-distancing time by pause, and plays a role in expanding infinitely the image in the psychological space of the reader by stopping the time rhythmically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the reader's movement is also condition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variations of the poems. The voice of poetic personae in the poet starts from the poetic tension which comes from the gap of double-self. And the features of divided self between ego and super ego are revealed through the actual dramatic dialogue in the text and appear in the form of irony of the world, paradox, and allegory. The voice of the dramatized personae leads the reader to the dramatic situation, and the reader becomes the dramatic audience in the text. The way to transform the implied reader and personal into the phenomenological beings is the means to lead the text to the animate distancing consciousness. In Chapter Ⅲ, I studied the contact and the separation of sensuous perspective representation through the distance-variation of the image which comes out in the process of the reflection of the poet's consciousness in things. The function of distance which controls various senses is related to the poetic imagination, and represents dynamic distance-consciousness with which we dealt in chapter II. The poet gazes at things in circulor shapes through the optical operation. 'Eye, stone, a drop of water 'express circular space to which infinite space is condensed, and 'egg, seed, fruit' shows circular time which eternal time is condensed to and reified; The'poet expresses his will to contact with the world through being circulated himself by gazing at and contacting with the circular object. The movement of the imagination which is condensed to circular form manifests the dynamics of the circle, condensation and diffusion. In the world of touch, the dynamic distance-consciousness of contact and separation is expressed through t h e sense of the wet and the dry. And it is suggested in dynamic by which the wet and the dry material continuously change. Through the distance-consciousness, the movement of dynamic world of senses in which the excessive wet seeks for the distance of the division from the dry, and the thirst in the excessive dry, vice-versa, seeks for the wet is seen. Seen from above, the poet transforms the text into not fixed system of meaning but dynamic system of meaning by the movement of aesthetic distance. The device of the various poetic distance controls overdistancing and underdistancing of the reader, and reveals the meaning of the poem by showing the dynamics of things through the image of variation.;시인이 세계와 독자를 바라보는 태도는 곧 `미적 거리`의 문제와 결부된다. 시인은 예술적 형상화의 과정에서 감정을 양식화하고 사물과 의식의 만남에서 거리를 조정한다. 때문에 미적 경험이라는 예술적 경험을 위해 `미적 거리`는 필연적 조건이 된다. 本 論文은 이러한 미적 거리의 문제를 중심으로 朴木月 詩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시적 變容을 보여 주는 詩人의 의식은 독자와 세계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는 '미적 거리'의 분석을 통하여 확연히 밝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근거로 하여 Ⅰ章에서는 朴木月 詩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연구에서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보고, 美學에서의 거리 개념과 연관된 시에서의 거리 문제를 시점과 화법, 이미지와의 관련체계에서 살펴 보았다. Ⅱ章에서는 화자의 言述行爲 과정을 중심으로 시인이 관조의 독자를 텍스트 표면에 직접화시키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우선, 관조의 세계로 여겨져 온 朴木月의 景觀詩는 화자의 축소되는 시점 이동을 통해 독자를 관조의 거리에서 개입의 거리로 이끌고 있다는 점이다. 즉 독자의 시각적 몰입은 텍스트 내에서 함축적 독자의 움직임을 보여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독자는 텍스트에 직접적인 음성으로 육화된 聽覺記號의 환기를 통해 변화하게 된다. 숨겨진 함축적 독자는 發話를 통해 현상적 청자가 되며 텍스트에 표면화된다. 이 때 독자는 텍스트 자체의 構造體로서 그 의미작용에 관여하는 존재임을 알 수 있다. 독자의 심리를 이끌어 내는 또다른 특징적인 일면은 言語用法에 있어서 行未의 獨立體言을 설정하고 있다는 점이다. 行未의 獨立體言은 그 休止로 인하여 관조의 시간을 벌게 하고, 讀書行爲 過程에서 리듬적으로 시간을 정지시켜, 독자의 심리공간에 그 이미지를 무한히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으로 독자의 움직임은 朴木月 詩의 話法的 變樣에 따라서 또한 조건지워진다. 시인에게서 詩的 話者의 목소리는 이중적 自我의 간극 사이에 생기는 시적 긴장에서 출발한다. 일상적 자아와 超脫的 自我사이에서 분열된 자아의 양상은 텍스트에 직접적인 극적 대화로 표면화되면서 세계에 대한 아이러니와 역설, 우화적인 양상으로 실체화되어 나타난다. 극화된 話者의 목소리는 독자를 극적 상황으로 인도하며, 독자는 텍스트 속의 극적 청자가 된다. 함축적 독자와 화자를 현상적 인물로 이끄는 방식은 텍스트를 生動的인 거리의 세계로 인도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Ⅲ章에서는 詩人意識이 事物에 투영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이미지의 距離變換을 통해 接觸과 分離의 感覺的 遠近法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감각을 조정하는 距離의 작용은 詩的 想像力의 문제로서, Ⅱ章에서 보이던 動的인 距離意識을 재현하고 있다. 시인은 視覺作用에 의해 사물을 圖環으로 응시한다. '눈(目), 돌, 물방울'은 무한의 공간이 응축되어진 圖環의 공간을 나타내며, '알, 씨앗, 열매'는 영원의 시간이 응결되어 事物化된 圓環의 시간을 보여준다. 시인은 圓環의 사물을 바라보고 접촉함으로써 자신이 圓環化되어 버리는, 세계와의 접촉 의지를 드러낸다. 圓環으로 응축되어 들어가는 상상력의 움직임은 응축과 확산이라는 圓環의 力動性을 동시에 표상한다. 觸感의 세계에서는, 물기와 건기의 촉감을 통해 접촉과 분리의 이동하는 거리의식을 표명한다. 그것은 물기와 건기의 質料가 끓임없이 변화해 가는 動性으로 제시된다. 물기의 지나친 접촉은 건기의 분리되는 거리를 추구해 가며, 또 지나친 건기에서의 목마름은 다시 역행하여 물기를 추구해 가는 力動的인 감각세계의 움직임을 거리의식으로 나타낸다. 이상에서 詩人은 미적 거리의 운동성을 통해, 텍스트를 고정된 의미체계가 아니라 力動的인 의미체계로 바꾼다. 다양한 시적 거리의 장치는 독자의 관조와 개입을 조정하고 변환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사물의 力動性을 보여줌으로써 시의 의미를 顯在化시키고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