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8 Download: 0

채묵의 형상성 연구

Title
채묵의 형상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the shape by Chai-Mook (chinese black ink, color)
Authors
朴英珠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채묵형상성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규선
Abstract
A modern character paintings are an expression of purity or individuality. In other words, we can understand that emphasis the independence of painting, expression of self-consciousness and completely forced insistance of individuality. Today, korean arts received an effect of western arts and properly accepted several plastic elements from special color and forms of western. But this is true to emphasis on condition of passive acceptance in disregard of parts of subjective acceptance. Because an acceptance of Western arts always stress a part of acception, so I think traditional style of painting stay away to simply materialistic transmission painting or exist to possibility of modern style of painting. In relation to Korean painting, have with characteristics of material it will overcome the difficult by experimental grope of the first formal such as brush, Korean ink, color. By a point of view, if we expect Korean's Renaissance, it is parts of period of grope for thesis of Korean painting when we think 1980's. Therefore Korean painting will needs forms of expression, the way of thinking and materials or Korean style of plural esthetic. It is possible through rebuild of a black and white drawing, a method of color painting mingle expression of color ink, unbalanced forms of expression and real expression many-sided or pluralistic expression etc. We will find the possibility of new named Korean painting by pluralistic Renaissance of art as stated above. Therefore, this essay described the general tendency of color ink by the existing stabe of color ink and be most approachable method of Korean plastic style. In a concrete a method of research, First,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a concept and a source of color ink, Second, we treat the acceptance of color ink from modern Korean painting as experimental grope of color painting and rebuild of a black and white drawing, Third, it is explained about the art of plastic world of artists based or color ink Fourth, 1 grasp the side of contents to the meaning of concept of appearance from my own productions. And introduced color ink to method of expression. Therefore, I will develop my self-control and power of expression widely whey make my production in future by taking this opportunity throughout this research not as result of completion by Korean painting studies. I will fix a straight a view of the art in the end by reflected on my manufactured attitudes.;現代繪畵의 性格은 繪畵의 純粹性 確立이나 個性的 表現, 다시말해서 自我意識의 表出과 個性의 주장을 철저히 밀고나가 繪畵의 獨立性을 보다 강조한데서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한 화가의 作品이 어느 한 時點 한 時代의 類型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思潮와 연관되어지고 그 내용 또한 완전히 realistic한 것으로 부터 완전히 비대상적인 것에 이르기 까지 광범위한 造形領域이 包含되어 있다고 한다. 오늘날 우리미술도 西歐의 지대한 影響을 받아 왔을 뿐만 아니라 西歐의 독특한 色彩와 形態에서 오는 여러 造形的 要所를 적절하게 수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西歐美術의 受容은 항상 문제의 受容的 側面만 강조한 나머지 主觀的인 受容에의 側面을 무시한 채 彼動的 受容의 狀態만을 강조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側面에서 볼때 오늘의 韓國畵가 어떻게 現代的 造形으로서 살아 남을 수 있을 것인가? 또한 새로운 韓國的 固有性을 가진 表現樣式의 方法的 의도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떠한 藝術形態로 展開되어 갈 것인가 라는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아울러 繪畵에서의 表現形式의 탐구는 繪畵樣式을 탄생시키기 때문에 樣式이 곧 繪畵이며 精神이라고 할 수 있다. 「表現하기 위해 外物을 選擇하고 그것을 組織化 한것에 성공한 만큼 繪畵는 表現的으로 되는것」이며 「그림이란 Canvas나 色이 아니라 우리자신의 把握으로 이루어 지는것」이기 때문에 作品上에 나타난 일정한 形式이나 色, 空間形態가 뜻하는 바, 그것이 선택되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를 이해하고서야 비로소 미적가치가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本人은 傳統的 繪畵樣式인 韓國畵가 단순히 유물적인 傳承繪畵로 머물것이냐 아니면 現代에 살고있는 繪畵樣式으로 存在할 수 있을 것이냐 라는 문제를 한국화가 지니는 媒材的 特性과의 연관에서, 1차적 形式인 붓, 먹, 色의 實驗的 모색으로 克服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80년대를 韓國畵 定立의 摸索期라는 側面에서 볼 때 한국의 르네상스(Renaissance)를 기대한다면 表現樣式, 사고방법, 재료적인 면 내지 韓國的인 美學의 多元化가 必要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水墨운동, 彩色畵 方法, 彩墨의 混用表現, 非形象的인 表現, 寫實的이거나 寫意的인 表現등 多角的이고 多元化된 表現을 통해서만이 可能하다고 볼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의 美術運動이 多元化되므로써 우리는 새로 命名된 한국화의 可能性을 점쳐 볼 수 있겠다. 이에 本 論文에서는 가장 韓國的인 造形意式에 接近하는 方式으로 彩墨의 전반적인 傾向을 槪括的으로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硏究方法으로 첫째, 彩墨의 槪念 및 沿源에 대해서 살펴보고, 둘째 現代 韓國畵에서의 彩墨의 受容을 水墨운동과 彩色畵의 實驗的 摸索으로 보았으며, 세째로 本人 作品에서의 내용적 側面을 形과 象의 양의성의 槪念으로 把握하고 그에따른 方法的인 面으로 彩墨을 表現方式으로 도입하였다. 따라서 本 硏究를 통해서 完成된 하나의 "結果"로서가 아니라 "過程"을 硏究함으로써 이를 契機로 앞으로의 本人의 作品을 製作함에 있어서 보다 폭 넓은 自律性과 表現力을 기르고 本人의 製作態度를 反省해 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올바른 繪畵觀을 定立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