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춘란-
dc.contributor.author申倖先-
dc.creator申倖先-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4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9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94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ill attempt to re-examine the theory of 'Working-Class Culture' originated with Herbert George Gutman( 1928- 1985) who represents the new trends of American labor history. Since 1914, the mainstream of American labor history was formed by the institutional economists, centering around John R. Commons. They mainly laid stress on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of labor unions, and disregarded the significance of the other workers who did not join the unions. However, ever since 1960's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workers as the subjects of the American labor history became influential in the academic world. It was an establishment of a new social history of the workers ; a new labor history with H.G. Gutman as the central figure. Gutman noticed, above all, that the workers got the spirit of independence, a product of their own subculture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So, they could cope effectively with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industrial capitalists. It was important for Gutman that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albeit there were not a nation-wide labor union at all, the workers were concious of what their own 'Common working class' was about. The next point in Gutman's theory of working-class culture was that the local elite group in small industrial community, who had regarded the industrial capitalists as the 'reformists' that destroyed the established social order, and the workers banded together against the industrial capitalists. Based on these notions, Gutman reaffirmed the presence and the role of the workers whose ways of life, consciousness, and the value system were different from the others. If must be pointed out that his idea is new because it is the history of the general workers rather than elitist history of the workers. And his newness of labor history is further enhanced by his methodology, because he regarded the general workers as the subjects of labor history. The facts that Gutman ignored the activities of the workers after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and that he stressed too much on the general workers' value system and consciousness, brought out various criticisms from old school of labor historians. But despite of these weaknesses of Gutman's research, it still remains very significant that he emphasized the general workers as the subject of the labor history, which throw new light upo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early industrial age and the general labor history of America.;美國에서의 노동사 연구는 1차대전 이후 거의 半世紀동안 커먼즈(John R. Commons)를 중심으로 하는 制度經濟學者들의 배타적인 영역으로 存在하여 왔다. 이들은 주로 勞動組合組織의 발전이라는 制度的인 側面을 강조한 나머지, 노동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일반노동자들의 社會的 存在와 意識에는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에 反하여, 1960 年代 이후에 勞動史의 연구대상은 勞動組合과 熟練勞動者가 아니라 일반적인 모든 노동자가 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인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른바 노동자의 社會史라는 것으로서, 新勞動史의 움직임이 그것이다. 허버트 굿트맨 (Herbert Gutman)은 이와같은 新勞動史 硏究의 대표적인 학자라 할 수 있다. 本 論文의 目的은 미국의 新勞動史를 대표하는 학자인 허버트 굿트맨(Herbert George Gutman, 1928∼1985)의 '勞動者 文化'說에 대하여 考察하고자 하는 것이다. 굿트맨이 주장하는 바는 첫째로 미국 산업화 초기의 노동자들이 傳統에 기반을 둔 고유의 下位文化를 토대로 하여 전국적인 勞動組合이 不在한 狀態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업화와 산업자본가에 主體的으로 對應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根源的인 힘은 ' 공통된 勞動者 階級 '이라는 인식이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大都市와는 달리 地方에서는 산업자본가들을 社會秩序를 파괴하는 '革新者'로 간주하였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지방의 엘리트층과 노동자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산업자본가가 쉽게 그들의 세력을 腐蝕할 수 없었다는점이다. 이와같이 굿트맨은 일반 노동자들의 생활, 가치와 의식을 중심으로 하여 미국 노동사속에서 이들의 存在와 役割을 確認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결국 '엘리트 중심적인 역사'가 아니라 '일반 노동자들의 역사'로서 아래로부터의 역사의 관점이고 종래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면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새롭다. 즉, 일반노동자들을 歷史의 主體로 설정함으로써 노동사의 방법론상에 있어서 革新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그는 産業化 初期의 勞動階級形成에 대하여서만 서술하고 있을뿐, 그 이후에 노동계급이 실제로 어떻게 활동을 하였는지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반노동자 대중의 가치와 의식에 지나치게 관심을 가짐으로써 노동자와 그들의 문화를 오히려 사실과 동떨어지게 부각시킬 危險性을 가지고 있다. 이와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의 새로운 硏究方法論은 역사의 주제를 변화시키고 사회사 연구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本稿에서는 이와같은 굿트맨의 연구를 소개함으로써 미국 산업화 초기의 시대상을 보다 잘 把握하고, 동시에 美國 勞動史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Ⅰ. 序論 = 1 Ⅱ. 굿트맨의 勞動者文化說 = 9 Ⅲ. 굿트맨의 美國 勞動階級形成에 대한 인식 = 22 1. 인식배경 = 22 2. 1870 년대 파업 = 26 3. 지역사회와 노동자와의 관계 = 37 Ⅳ. 굿트맨의 勞勳者文化說에 대한 批判 = 46 Ⅴ. 結論 = 53 參考文獻 = 56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115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굿트맨-
dc.subjectGutman-
dc.subject노동자문화-
dc.subject파업-
dc.subject.ddc900-
dc.title허버트 G. 굿트맨(Herbert G. Gutman)의 "노동자문화"설에 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870년대 파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Herbert George Gutman's theory of working - class culture-
dc.format.pageiii,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