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한국 대학개방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대학개방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Korean University Extension
Authors
이숙원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한국대학개방교육계속교육프로그램성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명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개방교육의 필요와 제 기능을 토대로 하여 한국 대학개방교육의 실태를 분석적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개방교육의 발생과정, 필요성, 제 기능 등은 국내외의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였고, 한국 대학개방교육의 실태는 대학개방교육기관을 세가지로 유형화(대학주도형, 대학-지역사회협동형, 정부 및 기업위탁형)한 후, 각 유형별로 기관을 선정하여 그 기관의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한국 대학개방교육의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개방교육 프로그램은 일방적으로 교양·시민교육 위주로 개설되고 있다. 직업교육만을 목적으로 계획된 소수기관이외는 직업교육분야가 미흡하며, 대부분 지역사회개발 및 봉사교육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편이다. 둘째, 대학개방교육이 다양한 교육대상에게 대중화·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세째, 조직 및 기구가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학의 전체교육체제 중 부수적인 기능 수준에 머물고 있다. 네째, 강의는 주로 대학교수들이 시간제로 담당하고 있으며, 대학개방교육 분야의 전문가 내지 전공자가 전담교원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다. 다섯째, 성인학습자들에게 대학의 시설·설비의 이용이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지 않다. 여섯째, 대부분 체계적인 평가절차가 계획되고 있지 않으며, 교육결과에 대해 프로그램별로 수료증을 수여하고 있으나, 정규대학의 학점·학위과정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일곱째,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기간, 시간이 다양하지만, 주로 주간과정이며, 계절제·주말과정 등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교육장소도 대부분 대학내(on-campus)로 제한되고 있다. 여덟째, 수료후의 추후지도를 통한 계속교육체제가 확립되어 있지않다. 이상의 실태를 종합해 보면, 한국의 대학개방교육은 교육내용, 교육대상, 운영체제면에서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고 있다. 대학개방교육은 단순히 대학의 시설이나 교육과정의 개방, 양적확대만으로 현실화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대학은 개방교육이 실제로 가능하도록 특히 성인학습자들에게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대학개방체제로 질적 전환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according to the need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extension. The outbreak is process, needs and functions of korean university extension was analyzed by the literature in and out korea. And the case study for three types of korean university extension (university-leading type, university-community cooperation type and type of commitment to government and enterprise) is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is generally accomplished in focus of the cultural and citizenship education. The vocational education is insufficient except professional institu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service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is not active. 2.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is not popularized and universalized for all various learners. 3. The Organization and structure of korean university extension is not systematized.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has only sub-function of whol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4. University professors are in charge of lectures for korean university extension as a part time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has not professionals and experts as full-time staffs. 5. The availability of university facilities and equipments is not wholly open to adult-learners. 6. Systematic evaluation procedure is not scheduled. The course of korean university extension is not recognized same as a academic degree and credit of universities. But korean university extension gives the credit of completion of a program. 7.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has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ime schedules according to kinds of program. But daytime course, weekend course and vocational course are mainly not activated. Places for korean university extension i s limited on campus. 8. The continuous educational system is not undertaken so that later-on guidance after completion of university extension course is not arranged.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has spreaded since 1980's but educational content, subject and managing system are stayed in premature stage. The korean university extension is difficult to actualize only as quantative spread and opening facilities and educational curriculum. Therefore, qualitative turnover to actual university education will be tried as to actualize university extension education and supply easy way of approach for all adult-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