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精神遲滯兒童의 운동놀이 實態에 관한 調査硏究

Title
精神遲滯兒童의 운동놀이 實態에 관한 調査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active plays among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Authors
南卿姬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정신지체아동운동놀이운동능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洪良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 부모들의 운동놀이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지체아동의 운동 놀이에 실태를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지체아동의 운동놀이지도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정신지체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14개 특수학교의 아동 49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아동의 부모에게 응답을 구하였다. 도구로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컴퓨터에 개별입력시킨 다음 SPSS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분석방법은 질문 문항별로 단순빈도 분포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변인간 교차분석을 위한 X^(2)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아동 부모의 운동놀이에 관한 지식 및 중요성 인식에 있어서 올바른 운동놀이의 지식을 가지고 있고 그 중요성 및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있는 부모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정신지체아동 부모의 자녀건강 및 운동놀이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자녀의 건강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진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의사와의 연계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부모의 반응은 높게 나타난 반면 그 실천도에 있어서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3. 부모자신의 운동선호에 따른 자녀의 운동놀이 권유를 비교분석한 결과 운동을 좋아하는 부모가 자녀에게 운동놀이를 더 권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X^(2)=8.0778, P<0.05). 4. 자녀의 운동놀이지도에 있어서 TV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자녀의 운동놀이 지도에 적용시키는 부모의 비교적 적었다. 5. 정신지체아동들은 형제들을 놀이대상으로 주로 집을 중심을 노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옥내에서 하루평균 TV를 ~3시간 이상 시청하는 아동이 84.9%를 나타냈다. 6. 지체아동들의 운동상황에서 사회적 편견을 경험한 아동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64.3%) 이는 아동의 운동놀이 친구수와 놀이 장소, 놀이 대상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7. 캠프나 스포츠교실을 통한 지체아동의 운동놀이 참여기회에서는 대부분의 아동들이 참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휴일에 가족이 함께 야외놀이를 가는 기회가 비교적 높았으며(63.3%) 가족의 체육활동기회에 있어서는 저조하게 나타났다. 8. 지역사회에 지체아동이 놀 수 있는 놀이공간-놀이터-의 실태에 있어서는 53.5%만이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으며, 62.0%는 갖추어져 있는 놀이시설을 이용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간의 놀이시설 구비 여부를 비교한 결과 대도시의 경우 가장 잘 구비되어 있었으며 소도시의 경우 놀이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X^(2)=7.1570, P<0.05). 가정에서의 놀이감 구비 실태는 69.8%가 구비되어 있었고, 생활수준간의 가정에서의 놀이감 구비 여부를 비교한 결과 생활수준이 中인 가정이 下인 가정보다 놀이감 구비가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X^(2)=27.7130. P<0.001). 9. 지체아동의 운동놀이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옥외운동놀이에 있어서는 놀이상대자가 없으며(24.0%), 자녀에게 맞는 놀이기구가 부족하고(20.7%), 놀이장소가 부족하며(16.5%), 사회적 편견이 심한 것으로(15.1%) 나타났다. 옥내운동놀이에 있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놀이감이 부족하고(24.0%), 놀이공간이 부족하며(19.6%), 놀이상대자가 없는 것이(19.0%) 그 문제점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case of active plays of handicapped children, and to identify some problems, in order to improve teaching method of handicapped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s the way of research 491 children from 14special schools in all of the country f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were selected and their parents were requested to answer the sheets. In employed questionaires as the surveying instrument. Collected sheets, were separately inputed into computer than used SPSS for statistical process. Each question was figured simple frequency distribution and percentage and also X^(2)(chi-square) verification for alternative analysis between variable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below : 1.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parents with mentally handicapped chilldren had correct knowledge about active plays and well understook the importance and merits active plays have in education. 2. Although the parents of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reconized the importance of regular health check-ups and cooperation with their medical doctors, but it was seldom realized in practice. 3. Comparing and analyzing parents preference in sports and then recomendations of active plays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were that parents with preference in sports had recommended move positively active plays to their children (X^(2) =8.0778, p<0.05). 4.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parents applied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V, news papers and magazines to guide their childrens active plays. 5.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tended to play at home with their brothers and sisters. 84.9% of children watched TV more than 3 hours a day. 6. Relatively high 64.3 percentage of handicapped children experienced social prejudices in active plays, and this is thought to do have something with the numbers of friends, places to play and thel objects of playing. 7. Most handicapped children seemed not to take part in active plays in sports classes or outdoor camping, but high percentage (63.3) of children had opportunities to go out for outdoor play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holidays. 8. Only 53.3% of local communities had the playing grounds for handicapped children and 62.0% of communities seemed must to exisiting facilities. Comparing the playing facilities between big cities and small cities, big cities had the best facilities and small cities lacked playing facilities (X² = 7.1570, p<0.05). 69.8% of homes possesed playing material, Comparing between living standards, the middleclass families had more playing material than the low class families had (X^(2)=27.7130, p<0.001). 9. The problems of handicapped children for outdoor playing were pointed out to be lack of, playmates(24.0%), proper play equipment(20.7%), play grounds(16.5%) and social prejudice. For indoor plays the lack of variety in play materials(24.0%), play space (19.6%),playmates(19.0%) was shown as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