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宋裕才 | - |
dc.contributor.author | 金秀娟 | - |
dc.creator | 金秀娟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03:08:33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03:08:33Z | - |
dc.date.issued | 1988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1542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01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24 | -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In doing so, the information inequality assumed to be similar to the social inequality in the capitalist society in terms of unequal distributions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ower. In particular, the socioecnomic status in industrial society may influence on the control over the production, rent, flow,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and thus the existing political and material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can interact to create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 the future society .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has shown that there was information inequality among regions. The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both old and new media have been concentrated in Seoul. When it was spread out to the other regions, big cities including Pusan and "Youngnam" area showed higher degree of the distribution and the utilization rate than "Honam" area. Despite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been occured, inequality among regions could be maintained or deepened as long as the existing regional differences in economy were not solved. Seco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firmed the findings reported in previous literatu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rences among social classes were found in the relative use of new media including computers. That is, the higher the socioeconomic status(high education level, high income, and more prestigious occupation)had the more use and ownership of both old and new media found . Third, both educated and high income groups showed more likely to have information education, especially computer education, than less-educated and low-income groups. Prestigious occupational groups, such as managers, professionals, and other clerical workers have more chance to get computer education than less-prestigious occupational groups. Fourth, it has been argued that individual's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value in terms of the necessary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s. can also affect the information wealth in future. For the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value, respondents with high socioeconomic status have shown higher scores than those with lower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People who were educated, earned high-income, and had relatively prestigious jobs have recognized the high value of the necessary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s. In sum, optimistic viewpoints have argued that the existing social inequality can be reduced along with diffusion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material and political inequality in the industrial society could be interact with create different kinds of social inequality-information inequality-in future.;최근 한국사회에서도 정보화의 물결이 사회의 제반부문에 걸쳐 많은 변화를 야기시킴에 따라 각 분야에서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경험적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사회의 부정적 측면의 하나인 정보불평등문제, 즉 현재 사회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정보활용도에 영향을 미쳐 현재의 빈부격차는 정보화사회에서 정보불평등으로 지속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경험적 조사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통계자료 및 기존 연구분석과 질문지 조사가 병행되었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간 불평등현황에 대한 통계자료 분석결과, 재래식미디어와 뉴미디어의 보급 및 이용이 모두 서울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들의 도입 초기에는 우선적으로 서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서울에서 타지역으로 확산될 때에도 부산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과 (호남권 지역보다는)영남권 지역에서 많은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기존 연구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되는 질문지 조사 결과, 정보이용 정도에 있어서 컴퓨터를 포함한 뉴미디어는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보유도, 이용도가 높았으며, 행정관리직,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 집단이 타직업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세째로 컴퓨터교육에 한정시켜 본 정보교육에 있어서는 컴퓨터의 접촉률이나 소유율이 높은 집단(학력, 소득이 높은 집단, 사무직, 행정관리직종사자 집단)이 교육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로 정보가치인식도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상관없이 정보통신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는데 비해, 이의 이용을 위한 매개체로서의 뉴미디어에 대한 인지도에서는 학력, 소득이 높은 집단과 행정관리직 및 사무직 종사자들이 타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역간 불평등의 경우 현재의 지역간 경제적 격차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지않는 한 정보화가 고도로 진전되어도 지역간 격차는 지속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정보불평등현상의 경우도 현재의 경쟁적 기술개발로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출현주기가 단축되어가는 추세를 감안할 때 첨단기술이 더욱 발전할 정보화사회에서는 이에 대한 이용능력과 비용 등을 갖춘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간의 격차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정보화사회를 자본주의사회의 맥락 안에서 이해하고, 이에 따라 경험적조사를 통해 정보화사회의 불평등현상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 있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중요성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어린이와 가치관 = 7 B. 어린이와 텔레비젼 = 14 C. 텔레비젼과 가치관 = 21 D. 전통적 가치관 = 30 Ⅲ. 연구방법 = 35 A. 기초조사 = 35 1. 조사내용 = 36 2. 조작적 정의 = 41 B. 내용분석 = 44 1. 분석기간 및 분석대상 = 44 2. 분석유목 = 44 가. 만화유형의 분석유목 = 44 나. 가치에 대한 분석유목 = 47 3. 신뢰도 검증 = 48 4. 연구가설 = 48 5.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5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5 A. 공상만화와 비공상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 = 55 1. 공상만화와 비공상만화에 나타난 긍정적 전통 가치 = 55 2. 공상만화와 비공상만화에 나타난 부정적 전통 가치 = 57 3. 공상만화와 비공상만화에 나타난 전통가치의 가치편중방향 = 58 B. 폭력만화와 비폭력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 = 60 1. 폭력만화와 비폭력만화에 나타난 긍정적 전통 가치 = 60 2. 폭력만화와 비폭력만화에 나타난 부정적 전통 가치 = 61 3. 폭력만화와 비폭력만화에 나타난 전통가치의 가치편중방향 = 62 C. 등장일물이 의인화된 만화와 사람인 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 = 64 1. 등장인물이 의인화된 만화와 사람인 만화에 나타난 긍정적 전통 가치 = 64 2. 등장인물이 의인화된 만화와 사람인 만화에 나타난 부정적 전통 가치 = 66 3. 등장인물이 의인화된 만화와 사람인 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의 가치편중 방향 = 67 D. 국내제작만화와 수입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 = 69 1. 국내제작만화와 수입만화에 나타난 긍정적 전통 가치 = 69 2. 국내제작만화와 수입만화에 나타난 부정적 전통 가치 = 70 3. 국내제작만화와 수입만화에 나타난 전통 가치의 가치편중방향 = 71 E. 성별특성에 따른 만화유형에 나타난 전통 가치 = 73 1. 성별특성에 따른 만화유형에 나타난 긍정적 전통 가치 = 73 2. 성별특성에 따른 만화유형에 나타난 부정적 전통 가치 = 74 3. 성별특성에 따른 만화유형에 나타난 전통 가치의 가치편중방향 = 75 F. 전반적인 만화유형에 나타난 전통 가치 = 77 Ⅴ. 요약 및 결론 = 78 A. 연구요약 = 78 B. 결론 = 82 C. 연구의 제한점 = 85 D.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 = 86 참고문헌 = 88 ABSTRACT = 98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3674017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subject | 텔레비젼 | - |
dc.subject | 만화프로그램 | - |
dc.subject | 전통 가치관 | - |
dc.subject | 대중매체 | - |
dc.title | 텔레비젼 만화프로그램에 나타난 전통적 가치관에 관한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TRADITIONAL KOREAN VALUES COMMUNICATED THROUGH TELEVISED CARTOON PROGRAMMINGS | - |
dc.format.page | xi, 100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 |
dc.date.awarded | 1988.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