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김성림-
dc.creator김성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80-
dc.description.abstract급격한 과학문명의 발달로 현대 산업화 사회는 사회구조의 변화와 함께 현대인의 정신적 갈등을 가져와 이에 따른 심각한 인간 소외 현상을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속에서 정신 질환에 이환된 환자 수는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정신 질환에 대한 전통적인 치료방법은 정신요법 약물요법과 활동요법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활동요법은 독서, 그림, 음악, 오락 등을 통한 치료적인 환경조성의 집단 활동요법으로써 개인의 행동 문제를 공동 사회를 통하여 치료적 분위기가 되도록 관리하는 개념으로 현대에 오면서 점차 중요한 치료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신 질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아개념이 빈곤하고 타인을 받아 들이기가 힘들며 대인관계를 원활히 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 적응에 실패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신과 사회사업의 목적은 정신질환자가 개인으로써 또는 집단의 일원으로서 보다 조화있는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가능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데 있다. Magaret T Bread(1978)는 정신 질환자의 사회적 기능이 활동요법과 연관성이 있으며 이들이 성공적으로 사회 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음악을 이용한 활동요법은 정신 질환의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인간의 문화적 사회적 발전과 함께 전개된 음악의 범 우주적인 인간 현상을 통하여 육체적 정신적으로 병든 사람들의 인격적인 통합과 사회적 정서적 기능의 회화를 예방하고 재활시킴으로써 이들의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하여 유익하게 사용되어지도록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요법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시행하여 정신 질환자의 입원생활 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 분석함으로써 정신 질환자가 개인으로서 또는 집단의 일원으로서 보다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발달시키고 조화있는 대인관계를 이루며 사회에 나아가 생산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으며 나아가 정신과 사회사업 분야에서 활동요법으써의 체계적인 음악요법을 제안하는 데에 부차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1989년 9월 28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 시내 1개 대학부속 병원 신경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20명을 실험에의 참여정도에 따라 상위집단 10명, 하위집단 10명으로 구분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일에 4회씩, 1회 45분으로 3주간 모두 12회에 걸쳐 음악요법을 시행하였고 실험 전 후 1주일간 실험군의 입원생활 적응능력을 측정하였다. 사용한 도구는 정서적인 내용의 주제와 함께 Altshuler의 수준전법(level attack) 이론에 입각하여 선행연구와 문헌을 중심으로 편집한 음악과 영국의 Bristol Industrial Therapy Organization에서 사용하고 있는 사회적응능력표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로 분석하였다. 나아가 연구 대상의 음악요법을 통한 입원생활적응능력의 향상 정도를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별로 사례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실험전에 비하여 입원생활 적응능력이 향상되었다(P<0.05). 2. 실험군의 입원생활 적응능력 향상에 대한 평균 차이를 13개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인 행동, 병실 일에 대한 태도, 감정 표현, 작업에 대한 태도, 퇴원에 대한 태도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음악요법을 받은 실험군은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입원생활 적응능력의 향상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P<0.1). 4. 실험군 중 하위집단에 대한 상위집단의 입원생활 적응능력 향상에 대한 평균 차이를 13개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자기 일상 생활, 타 환자와의 관계, 병실내에서의 사회활동, 메너리즘 정도, 작업수행 정도의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5. 실험 집단의 음악요법을 통한 입원생활 적응능력의 향상 정도를 평균 점수를 가지고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사례 분석한 결과 성별 분포에서는 남자가, 연령별 분포에서는 16-25세 사이가, 학력 분포에서는 고졸 학력에서, 경제 정도에서는 중상에서, 입원 횟수에서는 4회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향상 정도를 보였고, 진단명에서는 전체적으로 정동 장애에서 높은 향상 정도를 보였는데 성별과 관련해서는 남자의 경우에는 정신 분열증에서, 여자의 경우에는 정동 장애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향상 정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검토하여 볼 때 체계적인 음악요법은 정신 질환자의 입원생활적응능력 향상으로 이들의 사회 기능에 상당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음악요법을 이용한 정신과 사회사업적 개입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하여 그 효과를 반복 연구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This study attempts to produce some better quality of Social Work method as well as to make the role of Social Work much more firmly and to extend the category of it more variously, through making use of the music therapy which can be probably more positive method of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psychiatric inpati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on psychiatric inpatients' adoptive ability of hdspitalization. The reseracher carried out single group experimental design as a social work intervention method for psychiatric patient. The reserach was done at the neuropsychiatric ward of a hospital attached to a university in Seoul from September 28th to October 31th, 1989; 20 patients of there were participated for it being divided as two groups, that is a 10 number of primary group and the rest number of secondary groups; and the music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12 times for three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wo experimental group as the then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respectively the change in adoptive ability of hospitalization as item of both groups was measured for a week. For the investigation the music compiled upon base of 'level attack' method and social adoptive ability list Bristol Industrial Therapy Organization' wa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T-test by means of SPSS program. So analisis the case by experimental result as general c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can be abstracted like these: 1. music therapy has a great influence on changing psychiatric inpatients; adoptive ability of hospitalization was supported, considering that the gap of measured numerical values of thos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as more big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undergone systematic music therapy(p=0.048). 2. music therapy' adoptive ability of hospitalization' was supported considering that the gap of measured numerical values of those between before and after experiment was more bigger in the primary experimental group which undergone systematic music therapy than in the secondary experimental group which undergone systematic music therapy(p=0.061). 3. The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by social adoptive ability as item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a great influence ; male in sex, 16 - 25 years old in age, high school graduating in educational level, two times in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major affective disorder in name of diagnosis, and male patient of schzophrenic disoder, female patient of major affective disoder in relate the sex. Consequently in accordance with the facts like above, I think systematic therapy gives to much effects on changing psychiatrical inpatients adoptive ability of hospitalization for the better, and on the decrease of symptom and the recovery. From this aspect I hereby propose that further researches for the effects or values widely and repeatedly by means of long-term performance of music therapy of social work intervention should be follow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음악 요법의 정의 = 6 B. 음악 요법의 목적 = 6 C. 음악 요법의 발전 과정 = 7 D. 음악 요법의 효과 = 10 E. 음악 요법의 방법 및 적용 = 15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의 설계 = 21 B. 연구 대상 = 21 C. 연구 도구 = 22 D. 연구 진행 절차 = 24 E. 자료의 분석 = 25 F. 연구의 한계 = 25 Ⅳ. 음악요법 프로그램의 실시 개요 = 26 A. 음악요법 프로그램의 목적 = 26 B. 음악요법 프로그램의 계획 = 26 C. 음악요법 프로그램의 실시 = 27 Ⅴ. 연구 결과의 분석 및 고찰 = 44 A.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 44 B. 음악요법의 효과 분석 = 47 C. 사례 연구 = 50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3 부록 = 66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950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질환자-
dc.subject음악 요법-
dc.subjectMusic Therapy-
dc.title정신질환자의 입원생활 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음악 요법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Systematic Music Therapy on Psychiatric Inpatients' Adoptive Ability of hospitalizatin-
dc.creator.othernameKim, Seong Rim-
dc.format.pagex,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