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3 Download: 0

자기노출과 불안과의 관계

Title
자기노출과 불안과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AND AMONG SELECTED NURSES AND PATIENTS ON MEASURES OF STATE ANXIETY, TRAIT ANXIETY AND SELF-DISCLOSURE
Authors
김옥현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자기노출불안간호원환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입원환자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새로운 환경에서의 역할, 질병, 예후등으로 인하여 불안감을 가지고 있으며, 간호원은 신체적 간호이외에 환자의 긴장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심리적 지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심리적 지지는 공감, 온정, 존중을 바탕으로 서로간의 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대화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간호원과 환자 사이의 신뢰도를 나타내 줄 수 있는 자기노출 정도를 측정하고 불안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밝히어 간호원의 상담적 간호행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원과 환자의 자기노출과 상태불안, 기질불안이 어느 정도이며, 일반적 특성과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자기노출과 불안과의 관계는 어떠한지 확인해 보는데 있다. 대상자는 9개의 대학부속병원에 근무하는 196명의 간호원(내과: 54 외과: 56 정신과: 44 중환자실: 42 )과 7개 대학부속병원에 5일이상 입원하고 있는 133명의 환자(내과: 55 , 외과: 49, 정신과: 29 )이다. 연구도구는 자기노출을 측정하기 위하여 Jourard가 작성한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 SDQ)를 번안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Spielberger가 제작한 State-Trait Anxiety Iventory (STAI)를 김 정택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1985년 9월 5일부터 10월 7일까지 32일간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t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원의 자기노출 수준은 친구에게는 "구체적으로 자세히 이야기 한다"로 나타났고,동료간호원과 배우자에게는 "피상적인 대화를 한다"로 나타났으며 의사와 환자에게는 "전혀 이야기하지 않는다"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취미·태도, 신체, 성격, 금전의 6가지 요인중 취미와 태도에 대한 노출이 높았고, 신체, 성격, 금전에 대한 노출이 낮았다. 간호원의 상태불안과 기질불안은 한국여성의 평균 불안점수와 일치하였고, 상태불안은 근무부서, 경력, 연령에 따라 기질불안은 교육정도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노출과 불안과의 관계에서는 불안이 높을수록 자기노출을 적게 하는 역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환자의 자기노출 수준은 배우자와 친구에게는 "일반적인 대화를 한다"로 나타났고, 다른 환자, 의사와 간호원에게는 "전혀 이야기하지 않는다"로 나타났다. 또한 요인별로는 취미와 신체에 대한 노출이 높았고, 금전에 대한 노출이 낮았다. 환자의 상태불안과 기질불안은 한국남녀 평균 불안점수와 일치하였고, 상태불안은 종교, 입원일수, 병명인식유무에 따라, 기질불안은 입원부서와 입원일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노출과 불안과의 관계에서는 상태불안이 높을수록 내과환자와 입원일수가 5 - 10일된 환자는 간호원에게 자기노출을 많이 하고, 46세이상 환자는 다른 환자에게 자기노출을 많이 하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불안정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에게 자기노출을 적게 하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 가족단위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보여 주고 있다. 세째, 입원 당시부터 퇴원할 때까지 24시간 동안 접촉하고 있는 간호원과 환자의 상호 자기노출 정도가 다른 대상집단 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간호원이 교육적, 상담적, 지도자로서의 역할보다는 기술적 간호행위에 더 주력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임상간호원은 환자의 자기노출을 돕기 위한 간호원의 상담자적 역할에 강조를 두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Patients who were in the hospital have anxiety for their role under new surroundings, diseases, and the prestimate for themselves. Also Nurses think that it's very important to support patients for their mental state to lessen theire tension and anx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and relationships among the self-disclosure,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pielberger's Stata-Trait Anxiety Inventory (STAI) to measure state anxiety level and trait anxiety level and Jourard's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to measure self-disclosure level. The data was collected in the dates from Sep. 5 to Oct.7 during 32 days. To collect the necessary dat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nurses and patients, and interviews were performed.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e of percentag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Nurse's degree of Self-Disclosure and State-Trait Anxiety. order from high to low: friend (M=40.83), comrade Nurse (M=26.20), spouse (M=25.13), doctor (M=6.19), patient (M=5.63). The mean scores of state anxiety level and trait anxiety level were 43.71, 44.07. Among six areas (work, attitudes and opinions, taste and interest, money, personality and body), taste and interest, and attitudes and opinions are the highest, body, personality and money are the lowest. There are all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sclosure level. Medical unit nurse are the highest self-disclosure for patient and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Psychiatric unit nurse are the highest self-disclosure for doctor and are significant difference. Nurse group of lower age and nursing experience for patient and comrade nurse, higher group for doctor are the highest self-disclosure and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isclosure level and anxiety level according to married and unmarried, religious, position don't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2. Patient's degree of Self-Disclosure and State-Trait Anxiety. Order from high to low: spouse (M=38.05), friend (M=35.85), comrade patient (M=13.22), doctor (M=12.22), nurses (M=10.77). The mean scores of state anxiety level and trait anxiety level were 41.96, 44.85. Among six area, taste and interest, and body are the highest, money is the lowest. Psychiatric unit patient showed the highest self-disclosure for nurse and doctor and anxiety than medical and surgical unit patient. In the self-disclosure level and anxiety level according to sex, married and unmarried, religious, age, education level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3. Nurs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anxiety and self-disclosure to comrade nurses and doctors. Patien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ir trait anxiety and self-disclosure to spouse. There is slight but preliminary evidence that anxiety responses to stress have a negative effect on nurse's and patient's levels of self-disclosure. Through the above results, low reciprocal self-disclosure occure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could be under taken; 1) An investigation into the factors which facilitate self-disclosur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n the clinical setting. 2) Need to Nurse's education theraputic self-disclosure to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