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점포 디스프레이를 위한 조명에 관한 연구

Title
점포 디스프레이를 위한 조명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ighting for display
Authors
羅仁惠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점포 디스프레이조명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순혁
Abstract
이 연구는 점포 디스프레이에 있어 조명의 역할을 재인식하고 이와 관련되는 기초적인 이론(조명의 역사적 발달 과정, 조명과 심리와의 관계, 조명과 색채와의 관계, 조명기구의 종류와 특성, 공업규격이 정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규)을 토대로 국내의 명동가를 중심으로한 패션계의 조명 실태를 조사 분석(면적의 분석, 사용등에 의한 분석, 조도에 의한 분석, 조명기구와 배치 방법에 의한 분석, 색채 계획에 의한 분석)하여 그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크게 다음의 2가지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첫째 : 디스프레이에 있어 조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고조도의 스포트 라이트나 네온관을 이용한 공간의 자유로운 곡선 조명, 필터 사용에 의한 칼라 라이팅의 시도 등은 주목할만 하였으나 그 표현력이나 계획면에서 비계획적이고 소극적인 공간 할애로 그 기능을 충분히 살리지못한 것이 아쉬운 점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경영자의 장기적인 투자와 계획가의 조명 이론에 기초한 여러 가지 방법의 과감한 연출 방법의 시도 등으로 개선되어질 수 있다고 본다. 둘째 : 디스프레이에 있어 조명기구의 선정과 그 응용 방법에 있어 필요 이상의 스포트 라이트 사용은 점포 전체를 포인트 없는 산만한 분위기를 연출하게 되므로 의도적인 스포트 라이트이 사용으로 주제성을 갖는 생동감 있는 조명이 요구되며 각종 조명 기구는 그 특성마다 재질감, 입체감, 광택감, 색채가 보이는 방식 등이 모두 다르므로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적합한 조명기구의 선택이 중요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기 까지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 있어서 미흡한 점이나 좀더 살펴보아야 할 요소가 많음을 인정하는 바이나 단지 후일까지 계속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하나의 기본적인 과제로 삼으면서 이 논문이 앞으로 디스프레이를 위한 조명 계획에 작은 도움이 될 것을 바라는 마음 간전하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take another look at the role of lighting and to analyze (analyzing the are a, the utilizing, the illumination, the lighting fixtures and the method of arrangement and planning the coloring) the real picture of lighting in the fashion world focusing on the are a of 'Myeong Dong' based on basic theories of lighting (i.e., The historical developmental process of Lighting, the correlations of lighting with psychology and with coloring, the special quality and the sorts of lighting and the several regulations in industrial standard.) Also based on this, the problems and the reform mearsure are to be presented and as following two conclusions have been drawn. First, the spacial free curvilinear lighting wing the neon pipe and spot light of high illumination and implementing the color lighting through using the filter are worth noticing in display. But it has left something something to be desired that the aspect of expression and planning aren't intentional and it's function isn't made the best use of due to the passive placement of space. Therefore I think that these problems can be improved by manager's long-term investment and planner's diverse and resolute implementation of produc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lighting. Second, in choosing the lighting fixtures and the method of application, the more spotlight than it needs has come to have the shops produce the distract and pointless sorroundings. So, the active Lighting which has main theme is to be needed. And it is very important to choose the lighting fixtures to fit the expressing intention because lighting fixtures of all sorts have other qualities of the material, the cubic effect, the polish and the method of shedding light on color according to each sort. In the process of coming to above mentioned conclusions in this study, I acknowledge there are many problems to be more examined and to be desired. But I sincerely hope that this study should be helpful for the lighting plan for display hereafter based on these problems which have been brought about in the middle of inquring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