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찬화-
dc.contributor.author李揆美-
dc.creator李揆美-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0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주장훈련 구성요소로서의 행동시연의 가치를 확인하고 피이드백의 치료효과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한 피이드백은 녹음자료에 의한 자기 피이드백과 구성원상호간에 주고 받는 피이드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치료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있다. 피험자는 지원자 중 Rathus Assertiveness Schedule (RAS)를 통해 선정한 32명의 여대생이다. 이들은 훈련조건I ( 이론적 근거 및 지시+행동시인)에 8명, 훈련조건Ⅱ(이론적 근거 및 지시+행동시연+피이드백 ) 에 8명, 훈련조건Ⅲ(이론적 근거 및 지시 ), 통제조건에 8명씩 배정되었다. 조건Ⅰ, 조건Ⅱ의 피험자들은 5주동안 60-90분씩 5회의 훈련을 받았고, 조건Ⅲ은 2주동안 2회의 강의를 들었으며 통제조건은 아무 훈련도 받지 않았다. 이들의 훈련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RAS와 Spielberger의 불안척도 중 상태불안검사 및 특성불안검사를 훈련 전과 5주후 (사후검사), 8주후 (추수검사)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료의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는 각 조건내에서의 훈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조건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F검증을 사용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주장척도상의 변화를 보면 조건 Ⅰ,Ⅱ에서 유의한 훈련효과가 나타났으나 사후검사에서 조건간의 차이는 없었다. 기초선(사전검사)으로부터의 차이는 조건Ⅱ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추수검사에서도 조건Ⅱ만 그 효과를 유지하고 있었다. 2 . 상태불안척도상의 변화에 의하면 조건I만이 훈련효과가 나타났고 그 효과는 추수검사까지 지속되고 있었다. 3 . 특성불안척도상으로는 어느 훈련조건도 의미있는 훈련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 주장훈련에 있어서 행동시연의 치료적 가치를 확인하게 되었으며 피이드백이 훈련효과나 지속성에 중요한 변인임이 입증되었다. 2 . 이론적 배경 및 지시+행동시연의 방법으로 주장훈련을 실시하여 상태불안 감소의 효과를 획득할 수 있으나 피이드백 요소는 훈련상황을 평가상황으로 인지하게 함으로써 상태불안감소의 효과를 가져을 수 없었다. 3 . 이론적 배경 및 지시 만으로는 유의한 효과를 가져올 수 없으나 행동시연이나 피이드백의 인지적 기초로서 작용하였다. 4 .이상의 행동적 방법만으로는 특성 불안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후속연구에서는 피험자의 개인적 변인과 훈련요소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도 의의있는 일이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value of behavior rehearsal and to prov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feedback in group assertion training. Feedbacks which operated on this study were group member feedback and self feedback by audiotape. Therefore, intervention of therapist was minimized. The subjects were 32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screened on the basis of their scores of RAS (Rathus Assertiveness Schedule) from volunteers. They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training condition, with 8 subjects in each group: (Ⅰ) rationale and instructions + behavior rehearsal without feedback, (Ⅱ) rationale and instructions + behavior rehearsal with feedback, (Ⅲ) rationale and instructions alone, (Ⅳ) waiting list control. The subjects of Ⅰ, Ⅱ received five 60-90 minute sessions for 5 weeks, and Ⅲ, two sessions for 2 weeks, and the waiting list controls, no specific training. For evaluating the training effect of each condition, RAS, State-anxiety test and Trait-anxiety test of Spielberger's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were employed before training (pre-test), 5 weeks after (post-test) and 8 week after (follow-up test).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metho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ata from RAS indicated that training condition Ⅰ, and Ⅱ wer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assertiveness than Ⅲ and Ⅳ. Although there was a lack of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Ⅰ and Ⅱ, more great differences emerged between Ⅱ and base line (pre test) and the training effect was maintained on only Ⅱ in follow-up test. 2. A significant reduction of state-anxiety was found for only condition Ⅰ, and training gain was maintained until the follow-up evaluation period. 3. No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the measure of trait-anxiety was found for each condi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1. The value of behavior rehearsal was confirmed, and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feedback as a component of assertion training was proved. 2. The condition I that included rationale and instructions + behavior rehearsal obtained significantly the decrease in state-anxiety, but the condition Ⅱ that added feedback did not. From this result, it can be infered a fast that subjects recognized the feedback as the appraisal. 3. Rationale and instructions alone failed to enhance the effects, but it were provided as cognitive basis for behavior rehearsal and feedback. 4. The techniques stated above did reveal no significant training effect in reduction of trait-anxiety. The results of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further studies, and it is needed to study the interactions between subjects variables and components of trai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2 A. 주장행동과 주장훈련 = 2 B. 주장훈련의 활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3 C. 주장훈련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4 Ⅲ. 연구방법 = 9 A. 피험자 = 9 B. 측정도구 = 9 1. 주장척도 = 9 2. 불안척도 = 10 C. 실험절차 = 11 D. 훈련자료 = 11 E. 훈련조건 = 12 1. 조건Ⅰ = 12 2. 조건Ⅱ = 13 3. 조건Ⅲ = 13 4. 조건Ⅳ = 14 F. 자료처리 = 14 Ⅳ. 결과 = 15 A. 주장척도상의 변화 = 17 B. 불안척도상의 변화 = 21 1. 상태불안척도 = 21 2. 특성불안척도 = 23 Ⅴ. 논의 = 25 참고문헌 = 28 부록 = 37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97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집단주장훈련-
dc.subject피이드백-
dc.subjectFEEDBACK-
dc.subjectGROUP ASSERTION TRAINING-
dc.title집단주장훈련에 있어서 피이드백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 OF FEEDBACK IN GROUP ASSERTION TRAINING-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