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도시와 농촌의 집단게임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도시와 농촌의 집단게임 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s of Group Games in Urban and Rural Area
Authors
정현숙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도시농촌집단게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spects of group games in urban and rural area based on the theory that group games in itself has an important educational value. The group games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according to kamii's categories of group games. The study contains four questions : 1. Does the aspects of group games have differences in urban and rural area? 2. Does the aspects of group games have differences by sex and age? 3. What tools are used for group games? 4. What are the intellectual values of traditional group games? For this study, urban and rural areas were chosen to see it there are differences in group games. The urban area, the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apartment and the single house in Seoul city. Rural area is chosen Icheum in Kyeonggi province (Another name is the village of the Um Family).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 1. There are differences among apartment, the single house, and rural area on the aspect of group games. Namely, more group games and the traditional games could be identify in rural area. However children in the single house had more and various kinds of games than apartment, and rural area than the single house. 2. According to their age, group games differed remarkably in some traditional group games. Judging from the aspects of group games by age, the younger had simple method and rules and the elder had complicate and technical methods and rules. 3. Tools used for the game were mostly natural things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BaseBall, Dodge Ball, Foot Ball games played by children more in urban area. 3. The intellectual values in traditional group games are described in the main context.;본 연구는 집단게임 자체가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이론적 근거 하에 현재 우리 나라의 도시와 농촌에서 행해지고 있는 집단게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수집된 집단게임과 전통적 집단게임을 Kamii의 집단게임 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인지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개의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집단게임의 양상은 도시(아파트와 단독주택지역)와 농촌 지역간에 차이가 있는가? 2. 집단게임의 양상은 어린이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집단게임의 양상에 따라 사용되는 도구는 어떠한가? 4. 우리나라 전통적 집단게임의 인지적 가치는 무엇인가? 조사대상지역은 주거지역에 따라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는 다시 아파트와 단독주택지역으로 구분하였다. 농촌은 경기도 이천군 도립리(일명 엄씨마을)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연구자가 약40일 동안 각 지역을 수시로 순회하면서 현장관찰 및 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amii의 집단게임의 분류기준을 근거로 하여 인지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집단게임이 도시의 아파트지역, 단독주택지역, 농촌지역 등 각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즉 도시의 아파트지역보다는 단독주택지역이, 도시의 단독주택지역보다는 농촌지역이 집단게임 및 전통적 집단게임의 종류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특히 농촌은 도시 어린이들의 놀이 종류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을 뿐 아니라 아직까지도 다양한 전통적 집단게임이 계승되고 있었다. 2. 집단게임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몇몇 전통적 집단게임에서는 뚜렷이 나타났지만, 요즈음 행해지고 있는 대부분의 집단게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집단게임의 양상은 비교적 연령이 낮은 어린이들의 집단게임 일수록 게임의 방법 및 규칙이 단순하였다. 반면 연령이 높은 어린이의 집단게임 일수록 게임의 방법 및 규칙이 복잡해지고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3. 집단게임의 양상에 따른 도구의 사용은 도시와 농촌 구별없이 대부분 자연물에 속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야구」 「피구」 「고무줄놀이 」등에 필요한 도구를 농촌에서는 구할 수 없었으므로 이런 형태의 게임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4. 각 전통적 집단게임에 대한 인지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1) 목적물 맞추기 게임은 「공간개념」 「원인과 결과의 인식」 「수개념」 「힘과 속도와의 관계」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준다. (2) 경기(Race)는 「행동의 원인과 결과와의 관계」 「탈중심화」 「공간개념」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준다. (3) 쫓기게임은 「탈중심화」 「기억력 신장」 「공간개념」 「언어 발달」등에 도움을 준다. (4) 숨기기게임은 「탈중심화」 「시간, 공간, 속도의 개념」 「언어 발달」등에 도움을 준다. (5) 알아맞추기 게임은 「탈중심화」 「언어발달의 촉진」 「사물에 명칭 붙이기」등의 기회를 제공한다. (6) 언어적 지시게임은 전통적 게임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7) 판(그림)을 이용한 게임은 「공간개념」 「도형 익히기」 「탈 중심화」 「언어발달」 「힘의 속성」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