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9 Download: 0

영국과 미국의 아동양육보조프로그램의 비교연구

Title
영국과 미국의 아동양육보조프로그램의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Aid Programs for Forstering Child in Great Britain and U.S.A.
Authors
노승희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영국미국아동양육아동양육보조프로그램사회사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숙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mily Allowances' in Great Britain and '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ren (AFDC)' in U.S.A comparatively in order to develope aid program for fostering child in its own home which has not beer in Korea, by refering to documents. Under this objective, the content of this study is de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one is to study what kind of protective methods had been used for poor children from the period of poor Law to the enactment of Family Allowances and AFDC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The second one is to inquire into the differences,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Family Allowances and AFDC from the structural viewpoint of allocation, provision and finance. First, from the historical viewpoint, treatment of poor children had been characterized as working through indenture and at a workhouse and factory. But at the early years of 1900, this treatment came to change gradually as a result of changed concept on the causes of poverty. As the fact that child poverty resulted from the family poverty which resulted from the sociostructural or environmental causes of poverty being recognized, social res-ponsbility was realized and systematic equipments to prevent individual from being poverty came into being. Among these, Family Allowances and AFDC also was put into operation as a program for po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Next, from the structural viewpoint of allocation, provision and finance, Family Allowances and AFDC were examined in detail. At the side of allocation, Family Allowances makes all the second and subsequent children the object of th program, and th parents who are responsible for rearing them can ask benefit as a right. On the other hand, AFDC makes children of needy broken family which is proved by income and asset test the object of the program, and AFDC has recipients feel stigma and unable to ask benefit as a right. Therefore, while universalism is chosen in Family Allowances, selectivism is done in AFDC. At the side of provision, in Family Allowances the amount of benefit is based on the assumed average need and is equal to each recipient fami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ren regardless of its residence. Hence Family Allowances observes horizontal equity Especially because of being subject to income tax, Family Allowances gives more advantage to children of poor family than those of rich one. So Family Allowances also observes vertical equity. On the other hand, in AFDC the amount of benefit is based on the demonstrated need which is the balance of total basic need and countable income by means of income and asset test for each applicant family, and is different between recipient families according to their resources. Hence AFDC observes vertical equity. But because of the different regulations of total basic need between state governments, benefit level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ce where recipient family lives. And AFDC does not observe horizontal equity. Therefore while Family Allowances observes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equity, AFDC observes only vertical equity. At the side of finance, both Family Allowances and AFDC are financed by the general revenue of the government. But there is also differences as follows. While in Family Allowances central government has responsibility for both administration and financial resources of the program, in AFDC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together have responsibility for them. Therefore there is no transfer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governments in Family Allowances. But there are problems by the transfer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governments in AFDC. These structural differences of Family Allowances and AFDC were followed by different results in the degree of objective achievement, social effectiveness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First, degree of objective achievement of the two programs is as follows. Family Allowances solves the problem of adult's work incentive at the side of allocation. On the other hand AFDC solves it at the side of provision. From this difference, while in Family Allowances the rise of benefit level has no effect on the adult's work incentive, in AFDC it makes adult's work incentive weakened. Hence the degree of objective achievement of AFDC is far less than Family Allowances'. Secondly, social effectiveness of the two programs is as follows. While Family Allowances is provided for the recipients as a right without stigma, AFDC is provided for them with stigma and cannot be asked as a right. So, Family Allowances has th strength of maintaining social integration and AFDC has the weakness of putting a social brand on recipients. Thirdly, comparision of the two programs at the point of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is as follows. In Family Allowances, it has simple eligibility conditions and there is no transfer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governments. In AFDC, it has complex eligibility conditions such as income and asset test and there are problems by the transfer of financial resources between governments. Hence, while Family Allowances has the strength of achieving high degree of administrative efficiency, AFDC has the weakness of inefficient administration. From these results, it become clear that Family Allowances in Great Britain has more strengthes than AFDC in U.S.A. Being based on the results abstracted from this thesis, a study on what kind of aid program for fostering child is suitable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for korea must be developed.;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 부재한 아동양육보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이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 영국의 가족수당(Family Allowances)과 미국의 요보호아동이 있는 가족에 대한 부조(Aid to Families with Dependent Childien, AFDC)프로그램을 문헌을 통하여 비교 연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서 본 연구는 첫째, 영국과 미국이 구빈법 시기로부터 빈곤아동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호하여 왔으며 어떠한 근거에서 가족수당과 AFDC를 입법화시키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이 두 프로그램의 대상, 급부, 재정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차이로 인한 장점과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알아 보았다. 먼저 빈곤아동보호방법을 역사적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영국과 미국에서 빈곤아동에 대한 처우는 도제살이, 노역소, 공장에서의 노동으로 점철되어져 왔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와 빈곤원인에 대한 개념이 변화되면서 새로운 양상을 띠기 시작하였다. 즉 아동의 빈곤은 가족의 빈곤에서 비롯되며 가족의 빈곤은 사회구조적 또는 환경적요인에 의해 생겨남이 인식되면서 빈민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함께 빈곤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들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 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가족수당과 AFDC가 실시되게 되었던 것이다. 다음에는 입법화된 영국의 가족수당과 미국의 AFDC를 구조적 측면에서 살펴 보았다. 첫째로 대상면에서 가족수당과 AFDC를 비교해 보면 가족수당은 두 번째이하의 전체 아동에게 실시함으로써 아동양육 책임자인 父母가 권리로서 요구할 수 있게 한 데 비해, AFDC는 소득조사와 자산조사를 통해 욕구가 있는 가족중에서도 편부모가족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자격조건이 엄격하여 수치심을 조성함으로써 권리로서 급부받을 수 없게 하였다. 그러므로 영국의 가족수당에서는 보편주의를 택하고 있는 반면 미국의 AFDC에서는 선별주의를 택하고 있었다. 둘째로 급부면에서 살펴보면 가족수당은 아동의 최소욕구액을 평균한 균일액을 모든 가족에게 자녀수에 따라 똑같이 지급하고 있다. 여기서 이 급부액이 소득세의 대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저소득가족아동에게 유리하도록 수직적 형평을 취하고 있다. 또한 급부수준도 전국을 통하여 같은 출생순위에 있는 아동에게 일정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수평적 형평을 지키고 있다. 반면 AFDC는 주정부 자율로 정한 기준소득과 자산조사, 소득조사에 의해 나타난 가족소득과의 차액을 급부로 지급함으로써 경제상태에 따라 가족별로 급부액에 차이가 나도록 되어 있어서 수직적 형평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주정부마다 기준소득규정이 다르기 때문에 정부간 급부수준 격차가 심하게 나타나 수평적 형평은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국의 가족수당은 수직적 형평, 수평적 형평 모두를 지키고 있었으나 미국의 AFDC에서는 수직적 형평은 지켜지고 있는 반면 수평적 형평은 지켜지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로 재정면에서 보면, 가족수당과 AFDC는 모두 정부의 일반세입에서 프로그램 비용을 충당하고 있다. 그러나 영국에서는 프로그램의 운영책임과 재원책임이 일원화되어 있어서 중앙정부가 단독으로 재원을 조달하고 있는 반면 미국에서는 프로그램의 운영책임과 재원책임이 이원화된 경향을 띠고 있어서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함께 재원을 조달하고 있다. 그러므로 영국의 가족수당에서는 정부간 재원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데 비해 미국의 AFDC에서는 정부간 재원 전달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적인 차이점은 프로그램의 목적실현정도, 사회적 효과(social effectiveness), 운영의 효율 면엣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먼저 프로그램의 목적실현정도를 보면 가족수당은 노동동기의 문제를 대상적 측면에서 해결한 데 비해 AFDC는 급부적 측면에서 해결하려 하였다. 따라서 급부상승이 노동동기의 감소를 가져오는 AFDC는 가족수당에 비해 훨씬 낮은 정도로 빈곤아동보호목적을 수행하게 되었다. 또 사회적 효과면에서 볼 때 가족수당이 권리로써 수치심없이 급부받을 수 있게 한 데 비해 AFDC는 자산조사, 소득조사로 인해 대상자로 하여금 수치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가족수당에서는 사회적 통합을 유지시키는 장점이 나타났고, AFDC 에서는 대상자에게 사회적으로 낙인을 찍는 단점이 나타났다. 운영의 효율 면에서 볼 때 가족수당은 수혜자격심사가 간단하고 정부간 재원전달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운영이 단순화되어 있어 운영의 효율을 기할 수 있는 반면 AFDC는 소득조사, 자산조사로 수혜자격결정에는 장시간이 소요되고, 정부간 재원전달의 문제로 운영이 복잡화되었다는 단점이 나타났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AFDC보다는 가족수당에서 많은 장점들이 나타났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성격의 아동양육보조 프로그램이 적합한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