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집단상담에서 초기와 후기의 피이드백 수용에 관한 연구

Title
집단상담에서 초기와 후기의 피이드백 수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f Acceptance of Feedback in Relation to Order of Feedback Delivery and Member's Self-concept in T-group
Authors
이지숙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집단상담피이드백자아개념전달순서수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찬화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상담과정에서 상담 초기와 후기 각각에 있어 집단원의 자아개념과 피이드백 전달순서의 피이드백 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두 여자고등학교에서 지원한 16명의 여고생으로서, 9명과 7명의 두 집단으로 나뉘었다. 상담 첫 회기에 앞서 자아개념검사와 SCL-90-R의 하위척도인 대인예민성척도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자아개념과 대인예민성에 있어 차이가 없음을 보았다. 두 집단에게는 각각 6회기 동안 감수성 훈련이 실시됐다. 3회와 6회가 끝난 후 두 집단 구성원들은 각각 자신이 속한 집단의 모든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긍정피이드백과 부정피이드백을 한개씩 받도록 했다. 이때 집단I에게는 부정-긍정의 순서로, 집단Ⅱ에게는 긍정-부정의 순서로 피이드백이 전달된다. 한편, 자아개념검사의 TP점수로써 두 집단 구성원들은 자아개념의 상위·하위 수준으로 나눠질 수 있었다. 집단Ⅰ과 집단Ⅱ에서 각각 4명씩, 8명을 상위수준으로, 또 집단Ⅰ과 집단Ⅱ의 나머지 8명을 하위수준으로 간주해서. 이를 자아개념 수준에 따른 피이드백 수용 문제에 대한 변인으로 사용했다. 피이드백에 대한 수용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제까지의 연구에서 일관되게 사용되어온 '정확도(accuracy)·자극도(impact)·호감도(desirability)·도움여부(helpfulness) '4가지 7점척도와 감정척도로서 MAACL 간편형을 번역해 놓은 것을 사용했다. 본 연구의 자료는 t -검증과 F -검증을 통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이 발달해감에 따라 긍정피이드백과 부정피이드백간의 수용의 차는 줄어든다. 2. 집단이 발달해감에 따라 자신의 집단경험은 긍정피이드백을 받았느냐 부정피이드백을 받았느냐에 상관없이 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3. 긍정피이드백 수용의 경우에서는 그 전달순서의 영향을 안 받지만, 부정피이드백 수용에 있어서는 상담초기에 긍정-부정의 순서로 전달될 때 더 많은 수용이 일어난다. 4 . 긍정피이드백 수용의 경우에서는 구성원의 자아개념 수준의 영향을 안 받지만, 부정피이드백 수용에 있어서는 자아개념이 낮은 구성원이 자아개념이 높은 구성원보다 더 많은 수용을 한다.;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out the effect of group member's self-concept and the order of feedback delivery on acceptance of feedback across earlier and later session in the process of group counseling. Subjects for this tudy consisted of group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Sensitivity Training which was carried out in six sessions. A total of 16 subjects were volunteers from two girls high school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ho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Self Concept Test (Jeung, 1965) and the I-S scale of the SCL-90-R. Group members were administrated feedback exercises twice after the third session and the sixth session. The feedback exercise consisted of each member receiv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items for all other members. Subjects of group I were received positive-negative sequence of two feedback items, and subjects of group II were received negative-positive sequence of two feedback items. Recipients rated each feedback item for degree of credibiility, impact, desirability, and helpfulness. And they rated Affect Scale to find out affect state after reception of feedback On the other hand, two group members were divided into two self-concept levels by TP scores of the self-concept scale; high and low,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half of the scores. Two self-concept levels of subjects were used as variables on acceptance of feedback in accordance with level of self-concept. Data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F-tes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Difference between acceptance of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was narrowed down in accordance with group development. 2. Group exercises, irrelevant to the outcome of positive feedback or negative feedback, become increasingly more positive as group progressed. 3. Acceptance of positive feedback was not effected by order of feedback delivery, but negative feedback was more accepted when it is delivered in positive-negative sequence in earlier session. 4. Acceptance of positive feedback was not effected by member's self-concept level, but in acceptance of negative feedback, higher level subjects accepted more easily than lower le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