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8 Download: 0

시각 전달 매체에 의한 어린이 그림 표현력 개선연구

Title
시각 전달 매체에 의한 어린이 그림 표현력 개선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for developing abilities to expression in children's picture through the visual communication media
Authors
洪姬淑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시각 전달 매체그림 표현력국민학교 3학년표현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백태호
Abstract
For quite a time, the expression in children's art was accepted automatic result of children's growth. Therefore, the study of art education has not been systematic and resonable development and it is in a first step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y. The art education is not automatic result of children's growth but it must be carried out with scientific and concrete teching method. It is expressed with mixed shematic expression and realistic expression to children of 8-10 age, a consideration of this study, as the stage of children's art development changes, from shematic stage (symbolism) to realistic stage. Necessity of art education's systematic and concrete curricula model is requirement because of the visual perception is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stage which are essentially structure for the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analizes and estimates the advance of children's power of expression through exercise with a curricula model that is suited to the purpose of lesson. The study of method is following : The elementary factors of the study are Bibliography, Curricula Model, Slide Film, Picture of Reference and Picture of Children. It analizes and estimates the same object to children with the homework before exercise and the picture of a result of exercise. The exercise established with the four kind of the curricula model, carried out through two classes of the third grade of primary school in country by twice, and the same object was carried out by the same war in a city. In these exercise, the analysis standard of picture was suitable to the purpose of lesson, and was carried out a viewpoint table of estimation as 5-stages by researcher. Through the comparative and relative estimation by professor.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result of analysis. 1. There is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a model because of the experimental picture generate a score of more than the non-experimental picture. 2.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expressional ability between boys and girls totaly with the experimental picture and the non-experimental picture. 3. The curricula model acted without sexual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study, researcher is sorry that the use of a lesson purpose of curricula model was not sufficient and the overall element of the formative sense was not widely to treat. In the future, researcher expect to be much more effective art education with the variable curricula model and the active development of visual communication media that was requested for an art lesson. Researcher hopes that curricula model and visual communication media of this study is a little practical help to art education.;어린이 그림 표현은 한동안 어린이 성숙의 자동적 결과로서 받아들여졌었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연구는 체계적이며 합리적인 발전을 가져오지 못한 채 다른 학문에 비해 초보단계를 벗어나지 못한 실정이다. 미술교육은 어린이 성숙의 자동적 결과가 아닌 과학적이며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따라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8-10세의 어린이는 아동화 발달 단계 과정이 圖式期(象徵期)에서 寫實期로 변화하는 과도기의 시기로서 도식적 표현과 사실적 표현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視知覺이 발달하고 사물에 대한 본질적인 構造를 이해하려는 단계이므로 미술교육의 체계적이며 구체적인 수업 모델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목표에 적합한 수업 모델로 실험수업을 하여 어린이의 표현능력이 얼마큼 향상하였는가를 분석·평가하였다. 연구방법에서 기본도구는 문헌, 수업모델 , 슬라이드 필림, 예화, 학생의 작품이다. 작품은 실험대상 어린이에게 동일한 제재를 실험수업 前의 숙제물과 실험수업 後의 그림으로하여 함께 비교·상대평가 하였으며, 실험수업은 수업모델을 4개로 설정하여, 군소재 국민학교 3학년의 2개 학급에 2번에 걸쳐 실시하였고, 동일한 제재들을 소도시 국민학교 3학년의 2개 학급에 2번에 걸쳐 실시하였다. 이와같이 실험한 그림의 분석기준은 학습목표에 맞추어 연구자가 직접 "評價觀點表"를 5단계로 작성하였고, 지도교수에게 의뢰하여 비교 상대평가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비실험작품에 비해 실험작품의 점수가 높게 나왔으므로 실험수업 모델의 학습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2. 실험작품과 비실험작품에서 나타난 남·여학생의 표현능력 차이는 없다고 본다. 3. 실험수업모델이 성별에 관계없이 작용하였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수업 모델의 학습목표를 다른 表現 媒體인 조소·디자인 영역 등에 활용하지 못한 점과 조형감각의 전반적인 요소를 폭넓게 다루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하며, 앞으로 다양한 수업모델과 미술수업에 필요한 시각 전달 매체의 적극적인 개발로 보다 효과적인 미술수업이 실현 되기를 원하며, 본 연구의 수업 모델과 시각 전달 매체가 국민학교 미술교육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