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아동의 정보 인지량과 내외통제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의 정보 인지량과 내외통제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on relation between children's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the volume of recognized information
Authors
李琡漢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아동정보 인지량내외통제성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정보처리이론에 있어서는 정보는 전달과 메시지이며 개인은 정보처리자로서 규정된다. 정보는 인간의 인지과정을 통하여 내면화. 정교화 된다. 그런데 제한된 인지능력을 초과하는 정보의 기억체제 안으로의 유입은 의미의 정교화 과정을 방해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이 누적되는 경우 개인의 인지체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가 대량정보의 사호란 관점에서 정보가 인지발달과정 중에 있는 아동들의 인지와 성격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현대사회는 대량의 정보가 생산되어 유통되는 정보화 사회이다.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의 수용능력을 넘어서는 이질적인 다량의 정보로 인하여. 개인은 그것을 조직적으로 처리하는데 있어서 한계를 느끼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성인의 경우에 있어서는 정보의 조직적인 선별처리가 가능하지만, 아동들은 이를 조직적으로 선별하지 못하고 무조건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정보의 양이 많고 그 질도 상이한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들에 비하여 발달과정에 있어서 다른 양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보의 양과 질은 아동의 인지 또는 성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사회환경에 따라 아동들이 어느 정도의 정보를 인지하고 있는지 측정하였으며, 성격의 한 측정방법인 내외통제 척도를 이용하여 사회환경에 따른 내외통제성의 차이를 밝혀 아동들의 성격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기초로 정보인지량과 내외통제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정보량이 아동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국민학교 4학년 아동들로 지역과 사회계층에 따라 3개 지역에서 1개교 1학급 씩으로 선정했으며. 검사도구로는 정은주. 손 진훈(1981)의 학생용 내외통제척도와 연구자가 구성한 접촉 정보량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의 지역에 따른 내외통제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아동들의 지역에 따른 정보인지량에는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서울 도심지역과 시골. 서울 도심지역과 변두리지역사이의 차이였는데, 이것은 결국 사회계층에 따라 정보인지량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 인구의 수와 정보인지량과의 관계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시골에서는 정보인지량 점수가 높은 아동일수록 더 내적 통제경향을 보였으나. 서울 도심지역에서는 정보인지량 점수가 높은 아이일수록 더 외적 통제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특히 생활정보에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정보의 양아 많은 지역과 적은 지역에서는, 아동의 정보인지량과 내외통제성과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Modern society is the society in which a great deal of information is produced and delivered. Under this circumstances, adults can discriminate and organize the adequate information out of their needs but children are apt to accept it without any criticism. From that viewpoint this study is made to find out how much the information which children contact influences on the children's cognition and formation of personality. The main emphasis of this study was examin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1. Do children show difference in internal-external control in terms of their living areas? 2. How much do children recognize the information exposed to them?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volumes of recognized information in terms of social strata to which children belongs? 2) Are the numbers of population with whom children get in touch in direct proportion to the information volumes? 3. Is ther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IEC and the volume of recognized information? In this study, the objects consist of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chosen randomly in lural area, surround- ing area of Seoul, and core area of Seoul. In classifying areas, the social strata, population, and the volume of information children recognized are considered. IEC was examined by the Internal-External Scale made by Eun- Joo Chung and Jin-Hoon Son (.1981), translated and revised from Nowicki and Strickland's scale. To measure the volume of information, The Volume of Receivable Information Scale made by research worker pertinent to this study, wasused. Under the five level of scale, the questionaire is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extbooks, T.V, publications, and conditions of living. All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the Multiple Range Test by Duncan procedure was applied at the level of P=0.5. And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IEC and the volume of recognized information research worker verified the significant degree of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EC in terms of their living area (means social strata). 2. For the volumes of recognized information, it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classes of children. Those differences were found out between the lural area and core area of Seoul, and between the surrounding area of Seoul and the core area of Seoul. That means the volume of information varies in terms of the social strata.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and the volume of recognized information, the former doesn't affect the latter. 3. In the relation of information volume and IEC, it showed evide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or the children in lural area, the larger guantity of information volume they have, the more internally cotrolled tendency they showed. On the contrary, for the children in core area of Seoul, children in comparably higer score in information volume showed more externally controlled tendency. And above differences were evident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for the conditions of liv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