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Title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Korean Woman's Liberation Movement under U.S. Military Government(1945-1948)
Authors
문경란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미군정기한국여성여성 운동Woman's Liberation Movemen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효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of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1945-1948)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its in connection with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of those days. This study originate from this problem-consciousness in mind. The materials on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this period are rarely existed. The study of women's movement during U.S. militaty Government is requisite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women's movement of the day in Korea, because the basic structure of con-temporary society in Korean was formed at that time. Considering the above problem, this thesis is mainly focused on discussing women's collective movement both left-wing and right-wing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through analyses on structures, ideas, activities and the ultimate cause of feu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When the tradition of women's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women's social positio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are discussed as a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period, the aim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is to root out the remaing vestigat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emancipate all Korean people including Korean women from any type of colonialism. In the organization of groups, there is clear and obvious difference between left-wing and right-wing in women's Liberation move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tical line between left-wing and right-wing. All-Nation Women's League(ANWL), the left-wing group, was organized with all sorts and conditions of the females massese for a basis by some people who have participated in socialist movement/Socialist women's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is group aims at women's complet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emancipation. On the other hand, the right-wing groups including Patriotic Womens' Association for the Acceleration of Korean Indeperdence was organized by the people who have pro-Japanese experiences. These groups aimed at the rise in women's social status. But both of women's party fulfilled their function just as affiliated associations of male-centered political organization and failed to obtain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Next, the activities of women's organizations, their troubles, and relations with U.S. military government are examined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movement,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In spite of possibility of forming the United Front in the beginning of movement right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intensive feud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tical line in the problem of U.S. military occupation and trusteeship, and the split as a result of it are found out. Thereafter, the right-wing women's organization expande its power and influence under the patronage of U.S. military government and mainly worked in attending lectures on Hangul or refinement. Also some women participated in male-centered political movement on behalf of women. As compared with this, ANWL became weakened by the opressive policy against the left-wing of u.s. military government, for it spreaded its activity from women's problem of their own to political movement. ANWL became an underground organization and finally disappeared about the time of establishing the Korean government. Therefore, only the tradition of right-wing women's organization was succeeded to women's movement after that time. Lastly, it should be added that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some respects-not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between north of the 38th parallel and South.;본 논문은 미군정기동안 남한에서의 여성운동의 전개과정을 이 당시 사회적, 정치적 상황과 관련시켜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시기 동안 한국여성운동의 성격을 규명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이 시기 한국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하다는 점이다. 둘째, 여성해방 이념의 부재, 국가권력 기구와의 유착, 대중과 유리된 여류명사 중심의 조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던 1950-70년대 한국여성운동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운동의 모태가 되었던 해방 3년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갈 필요가 있으리라는 점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고는 먼저 이시기 여성단체의 이념과 조직, 그리고 활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여성운동의 구체적인 모습을 재구성해보고, 좌우익 이념간의 갈등, 여성운동과 국가권력 기구와의 관계, 여성운동의 조직 방식 등에 촛점을 두어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일제하부터 전개된 여성운동의 전통과 경험은 해방이후 좌우로 분열되어 전개되는 여성단체운동의 이념과 활동내용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각 진영 지도 인물들의 일제하에서의 경력은 해방직후 정세와 운동에 대한 그들의 비젼및 행동반경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당시 한국사회의 주요과제는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고 자주적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일로써 여성운동의 과제 또한 일제잔재를 청산하고 여성의 완전한 해방을 담보한 자주적 민족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단체의 결성면에 있어서는 해방 직후 결성된 건국부녀동맹은 여성운동에 있어서 좌우연합전선 결성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었으나 미군의 진주와 함께 우익 진영 여성들이 탈퇴함으로서 이후 남한의 여성단체는 이념과 활동에 있어서 격심한 갈등을 겪고 좌우익 진영으로 확연히 구분되었다. 좌익여성단체였던 조선부녀총동맹은 조선공산당의 외곽단체로서 일제하 사회주의 운동 및 사회주의 여성운동에 참가하였던 인물들이 중심이 되어 있었다. 이들은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완전해방을 목표로 하였다. 한편 독립촉성애국부인회를 비롯한 우익여성단체들은 일제하 기독교 여성운동의 경험과 일제말기 친일경력이 있던 인물로서 구성되어 여성의 지위향상을 목표로 했다. 우익여성단체들은 정치적으로 이승만과 한민당을 비롯한 우익 정치세력을 지지 추종하는 노선을 견지했다. 다음 좌우익 여성단체의 활동과 대립관계, 미군정과의 관계를 시기별, 이슈별로 나누어 고찰해 본 결과 조선부녀총동맹은 좌익진영이 전개하는 각종 정치집회에 참여함과 동시에 선전계몽활동, 독자적인 대중집회, 공사창제 폐지운동, 원호활동 쌀요구 투쟁등의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단체는 점차 정치운동에 주력함으로서 미군정의 가중되는 탄압으로 그 세력이 약화되어 갔다. 이에 비해 우익여성운동단체들은 우익진영이 개최한 각종 집회에 여성대표로 참여하며 그외 여성의 자아향상, 지능계발을 위한 계몽활동, 공사창제 폐지운동 등을 전개했다. 해방과 함께 새로운 외세로 진주한 미군정이라는 국가권력과 여성단체와의 관계는 우익진영에의 후원과 좌익단체의 탄압으로 요약될 수 있다. 미군정은 우익진영과는 부녀국을 통해 보다 긴밀한 관계를 맺어가면서 우익여성단체의 활동을 음양으로 지원했음이 밝혀졌다. 반면 좌익여성단체는 미군정에 의해 탄압을 받아 그 역량이 축소되었다. 단정수립의 과정에서 조선부녀총동맹은 이를 반대하였지만 이미 이시기는 조직적인 역량이 약화된 시기였으므로 그활동은 미약했다. 이에 비해 우익진영여성단체들은 단정을 적극 지지하며 이를 위한 5.10선거에 여성들을 대거 참여시키기 위한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했다. 분단의 고착화 과정과 함께 좌익여성단체는 소멸되고 우익여성 단체는 독점적인 지위를 향유하면서 이후 여성단체의 성격을 결정지우는데 압도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된것 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료의 정리와 소개에 치중한 나머지 이 시기 여성운동의 특성을 깊이있게 분석하지 못하였으며, 좌우익 여성운동을 북한과의 연계 속에서 추구하지 못함으로써 서로간에 미친 영향, 상호 역관계 등을 분석하지 못한 점을 한계로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