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중소기업 생산직 기혼여성 노동자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중소기업 생산직 기혼여성 노동자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employed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Authors
김혜장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중소기업생산직기혼여성노동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효재
Abstract
본 논문은 중소기업 생산직에 취업중인 기혼여성노동자들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기혼여성노동이 제조업 생산직의 임금근로자로 편입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적 특징 및 그 이론적 함의를 밝혀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취업증대-특히 법적 보호가 가능한 공식부문에의 취업증대-는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왔다. 우리나라 기혼여성노동자들의 경우 과거 혼인과 성이라는 변수에 의해 비공식부문노동에 거의 한정되던 상태에서 최근에는 공식부문에의 취업증대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서 관심을 끄는 문제는 기혼여성의 임노동화가 실제로 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향상 시켰는가, 또한 이러한 기혼여성 임노동화현상이 가져오는 이론적인 함의는 무엇인가 하는 점등이다. 본 논문은 사례연구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일차적인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소영세기업이 밀집한 성남시 상대원 1동을 조사지로 선정하여 현재 중소기업에 생산직 근로자로 종사중인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일반적인 추상수준에서 논의되던 자본주의 하에서 여성노동을 규정하는 미숙련노동자로서의 자본에의 통합, 자본축적을 위한 산업예비군으로서의 역할수행, 노동시장분할론에서 지칭하는 하위노동시장에로의 편입 등의 요인을 실제 기혼여성의 공식부문 편입과정에서도 밝혀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둘째, 기혼여성 노동의 공식부문에의 취업증대로 인해 기대되던 안정된 고용상태와 법적 보호에 따른 저소득층 기혼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 및 그들의 상황개선을 위한 조직활동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실태분석 결과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그들은 자본주의 하에서 기혼여성노동자들이 공식부문의 고용이 증대되는 현상적인 호조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이전의 무보수 가사노동 및 비공식부문 노동을 통하여 자본축적에 간접적으로 기여한 것에 더하여 이제는 자본-임노동관계의 가장 근저에서 자본축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본 실태조사를 통해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The present study tries to discuss som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a war to explane the overall workers conditions of married Korean Women. The focus of study concerns thos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the formal primary sector in the dualistically structured labour market. The rapid demand of female labours can be one of the distinguished traits in the korean female labour force especially since the turn of 1980's. The collection of data, based on the assumption, was done from those femal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Sung-Nam city, the southern tip of Seoul, using the in-depth interview case-study methods. The matters of concern in this study can be arranged into three sorts as follows. First, contrary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the overall married women workers' status were not improved although the large bulk of married women entered the labour force within a shirt period, in terms of earnings, work-hours, recruitment opportuni-ties provided, and promotions. Second, despite the provisions of workers' legal statuses for acts by Korean Labour bureau, most female workers interviewed are practically excluded from such workers security systems as maternal securi-ties and on delivery leaves. Third, it is also found that the body of most labour unions in the present study do not pay special attention to those married female labours representa-tion of their membership, lack of considerations being and on married female labours. However,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is study contains a couple of limitations. First, conclusions are made based on the rather small sample sizes(26 cases), excluding those workers who are employed in large enterprises (workers' numbers are more than 300 workers). Second, due to the tactical diffi-culties in approaching the single female worker data, this study mainly interviewed those married women, while heavily relying on the existing literatures on the single wor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