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한글지각 집단화에 있어서의 받침지각

Title
한글지각 집단화에 있어서의 받침지각
Other Titles
(The) Final Consonant Perception in the Perceptual Grouping of Korean Letters
Authors
이영숙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한글지각 집단화받침지각한글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본 연구는 자음·모음·자음 세 요소로 구성되는 한글 글자가 갖는 지각적 집단화의 성질을, 자음 변별 수행시 나타난 현상을 통하여 밝혀 보고자 하였다. Pomerantz와 Schwaitzberg(1975)는 두 요소로 집단화가 잘 되는 형태에 한 요소를 더 첨가하면, 전체형태 우월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한글 글자 중에는 한 자음 낱자와 한 모음 낱자의 두 요소로 구성된 글자도 많지만, 자음·모음·자음·낱자의 세 요소로 구성된 글자도 많다. 이 영애(1984)는 그의 실험 Ⅰ에서, 자음·모음 두 요소로 이루어진 한글 글자의 집단화가 잘됨을 밝혔고, 그의 실험 Ⅲ과 장 은주(1985)는 초성·중성·종성의 세 요소로 구성된 한글 글자에서 종성 변별이 전체 형태 열등 효과를 가짐을 밝혔다.즉, 두 요소에 한 자음을 더 첨가한 세 요소로 구성된 글자에서, 그 제 3요소인 종성을 지각하는 것이, 그 낱자가 단독으로 제시되었을 때보다 더 느려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기이판단 과제를 사용한 두 실험을 통하여 그 현상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제시되고 있는 네 글자의 초성과 중성 즉, 맥락이 유사할 경우, 목표 자극의 변별이 늦었으며, 맥락이 다를 경우, 단독으로 제시된 경우만큼 변별 수행이 빨랐다. 또한 초성과 중성에 주의가 편중되어, 받침 지각이 느려진다는 가정하에, 받침에 주의 집중을 하도록 유도하자 전체 형태 열등 효과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낱자들의 집단화에 의한 출현속성이, 한글 글자의 종성 변별시 나타나는 전체 형태 열등 효과의 주원인으로, 동일 맥락이 동일한 출현 속성을 생성함으로 받침 변별을 억제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구성 성분에 대한 편중된 주의력도 그에 영향을 끼침을 보여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inal consonant perception of Korean Geulja. Pomerantz found that the emergent features, which appeared when components formed a group, either promoted of inhibited components discrimination. Garner studied abou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of components using selective attention task. Pomerantz and Schwaitzberg found that grouping could be reduced or eliminated by the introduction of a third element into the stimulus field. On the basis of their studies, Lee, Young Ai (1984) and Chang, Eun Ju (1985) studied the organization of Korean Geulja composed of three elements, cvc. And they found that third element discrimination, that if the final consonant discrimination in context condition is slower than in isolation condition. In this study, I examined what caused such a configural inferiority effect through two experi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hen the features of the context were same in the four Geulju, the target discrimination in context condition was slower than in isolation condition. So, when the context features of the target and the other consonants were different, the configural inferiority effect decreased. And when the attention was given to the final consonant, the inferiority effect decreas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hindrance of the final consonant discrimination (configural inferiourity effect) in Korean Geulija composed of cvc is due to the parallel inhibition of the emergent feature, and the possibility of selective attention to the components influences this effec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