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4 Download: 0

산욕기 초기 어머니와 신생아의 결속을 중심한 모 신생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Title
산욕기 초기 어머니와 신생아의 결속을 중심한 모 신생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THER-NEWBORN INTERACTION THAT THE BONDING OF MOTHER & NEWBORN IN THE EARLY POST PARTUM PERIOD
Authors
이미선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산욕기어머니신생아모 신생아상호작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하영수
Abstract
산욕기 초기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결속을 중심으로 한 신생아 돌보기 활동은 모·신생아 상호작용 및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모·신생아 상호 작용은 산욕기 초기, 특히 분만 직후가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만 직후부터 퇴원시까지 즉 분만 직후, 산후 1일째, 산후 2일째, 산후 3일째까지 모·신생아 상호 작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1986년 9월 15일부터 1986년 10월 10일까지 서울 시내 M병원, S병원, C병원에서 정상 신생아를 분만한 건강한 산모 60명을 대상으로 Stainton(1981)의 모·신생아 상호 작용(Mother-Infant Interaction)을 사정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며 직접 관찰법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X^(2)_ test, ANOVA test,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분만 후,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모·신생아 상호 작용이 증가하였다. (산후 1일째 : r=0.0762, p=0.0000, 산후 2일째 : r=0.6293 p=0.0000, 산후 3일째 : r=0.4535, p=0.0000) 2. 분만 횟수가 증가될수록 산후 3일째 모·신생아 상호 작용이 증가하였다. (r=0.2481. p=0.028) 3. 대상 어머니의 연령, 교육정도, 종교, 직업, 임신 횟수, 인공유산 횟수, 결혼기간, 임신 희망여부,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대한 지각과 모·신생아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P>0.05) 즉, 산욕기 초기 어머니의 신생아에 대한 결속을 중심한 모·신생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간호중재가 고려된다.;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the bonding of the mother to the newborn that is, the new born care has effect on the mother-new bon interaction,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child.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s the most important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mmediate delivery specially. In this paper,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is presented from the immediate delivery to the discharge, that is from immediate delivery and postpartum 1st day and postpartum 2nd day, to postpartum 3rd da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60 healthy pregnant women who delivered normal new born by direct observation with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assessment tool proposed by Stainton (1981) from the period of 15 September to 10 October 1986 at M, C, and S-Hospital in the Seoul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use of on hundredth percentage, X^(2)-test, ANOVA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1)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was increased as the time in passed after delivery. (postpartum 1st day: r=.7062, p=.0000, postpartum 2nd day, r=.6293, p=.0000, postpartum 3rd day r=.4535,p=.0000). 2)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of postpartum third day was increased as the more partly.(r=.2481, p=.028) 3) There wasn't any special relation between the age, the education, the religion, the occupation, the number of pregnant, the number of abortion, the period of the marriage, the with of the pregnancy, the mother role & mother-newborn interaction. To improve the mother-infant interaction that in the early (p .05) postpartum period, the bonding of the mother to the new-born baby, the nursing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factor which have effect on it i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