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정신박약아가 있는 가족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에 대한 연구

Title
정신박약아가 있는 가족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MILY FUNCTION AND SUPPORTING IN THE FAMILY WITH A MENTALLY RELATED CHILD
Authors
박종숙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정신박약아가족가족기능가족지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하영수
Abstract
Nowadays with the help of medical development the number of the physically-or mentally-handicapped children who live together with other family members is increasing. These children are one of the factors which threaten the normal function of a family, the basic unit of social system, and especially a mentally-retarded child who needs family nursing and supporting through life often causes a long-term tention bringing about the paralysis of the normal function of a family. The study is focused on the presentation of the preparatory data for effective family-centered nursing for a mentally-retarded child to help them to adjust and rehabilitate by finding out the functioning and supporting in a family with a mentally-retarded chil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support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he parents of 168 mentally-retarded children at the full age of seven to seventeen whose I.Q. varied from 31 to 78 and who attended a special school for mentally-retarded children or the special classes of ten primary schools in the city of chongju.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prepared to suit the purpose of the study referring to Press and Satlerwhite's Family Functioning Index, Olson et al's Family Strengths, Shaefer and Bell's Parent Attitude Research Inventory. The period for data collecting was from July 1st to july 25th, 1987 by family visit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the family functioning scores(index score range: 1-5) was 3.04(S.D: 0.574). This means that the family functioning level of a family with a mentally-retarded child was intermediate. On the whole the functioning level of affectionate desire-satisfaction was high, while the socioeconomic function level was low. 2. The mean of the family supporting scores was 2.77(S.D: 0.490). This means that the functioning level of family member's supporting was somewhat below the middle. And the index score of mother's supporting was higher than that of father's (mother: 3.11, father:2.41).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supporting(r=0.5482, p=0.0001). This means that family functioning went together with family supporting. 4.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ing, the family functioning of the group which consisted of fathers who were educated more was better than that of the group of fathers who were educated bess(F=4.42, P=0.0077). The group of the families with a more monthly income functioned better than that of the families with a less monthly income. (F=7.48, P=0.0077) 5. The family functioning was better in the subject group of younger children than that of older children(F=3.91, P=O.0219). 6.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supporting the group of more educated parents showed better family functioning than that of less educated parents(Father: F=10.16, P=0.000l, Mother: F=8.16, P=0.0001). The group of the families with a more monthly income showed higher level of family supporting than that of the families with a less monthly income (F=8.70, P=0.0001). In sex a male child received more family suppoting than a female child(t=4.15, P=0.069). Children with a lower I.Q. received more family supporting than children with a comparatively higher I.Q.(F=4.36, P=0.0057). 7.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ortant preestimative factors influencing family functioning were marital satisfaction, parent's care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course in life, and the sex of the children, and also showed that these factors had 43.2 % of preestimative competency. 8. This study showed that the important preestimative factors influencing family supporting were the monthly income of a family, parent's care about their children's future course in life, the educational grade of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the sex of children, and their I.Q. and also showed that these factors had 38.2% of preestimative competency.;오늘날 의과학 기술의 발달로 육체적 및 정신적인 기능장애로 만성적인 건강문제를 지닌 아동들이 생존하여 그들의 가족과 함께 살아가는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아동은 사회체제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체계적 기능을 위협하는 요인중에 하나이며, 특히 일생을 통한 가족이나 주위환경의 돌봄과 간호를 필요로 하는 정신박약아는 가족의 장기적인 긴장상태를 유발시키고 정상적인 가정의 기능을 저해하기도 한다. 이에 정신박약아를 가진 가족의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가족지지와 가족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정신박약아의 적응이나 재활을 돕는데 있어 가족의 지지정도를 확인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내 1개 특수학교와 10개 일반국민학교 특수반에 재학중인 지능지수가 31~78사이에 속하는 만 7세에서 17세까지 정신박약아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1987 7월 1일부터 7월 25일까지 25일동안 가정방문을 통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목적에 적합한 Pless와 Satterwhite의 가족기능 측정도구와 Olson외 2인의 가족강도 질문지, Scheafer와 Bell의 P.A.R.I(Parent Attitude Research Inventory)중에서 가족적응과 부모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선행연구자에 의해 문헌에 보고된 바 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Duncan Multiple Rang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족기능 정도는 평균점수 3.03, 표준편차 0.574로 정신박약아 가족의 가족기능은 보통 정도를 나타냈다. 그러나 가족기능중 부부간 대화용이도 (평균:3.68), 자녀들간의 화목정도(평 균:3.65) 등의 가족의 애정적 욕구충족의 기능은 양호한 편이었으나, 가정생활 수준의 만족도 (평균:2.56), 부부간의 의견차이가 있다. (평균:2.22) 등의 가족의 사회 경제적기능은 잘 못하는 편이었다. 또한 가족지지 정도는 평균점수 2.77, 표준편차 0.490으로 정신박약아 가족의 가족지지는 보통이하 정도로 낮았다. 그러나 가족지지중 어머니로 부터 대상아에 대한 신체적지지는 아버지보다 더 많은 편이었고 (어머니 평균:3.11, 아버지평균:2.41), 가족의 가정충실정도 (평균:3.60), 가족간의 털어놓고 사는 친밀정도(평균:3.39), 가족이 모여 TV를 보는 화목정도 (평균:4.04), 이웃가족과 친밀감 정도 (평균:3.88)등의 가족의 애정적 결속의 지지는 좋은 편이었으나 , 가족에 같은 종류의 걱정이 발생 (평균:2.91), 가족간의 많은 갈등이 있다 (평균:2.22). 부부만의 여가를 갖는 여유가 없다 (평균:1.78)등의 가족의 사회 경제적 지지는 잘 못하는 편이었다. 2. 대상아의 가족지지 정도의 요인별과 가족 기능 정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4082, P=0.0001). 따라서 가족강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좋았고 (r=3.8180, P=0.0001), 가족적응이 좋을수록 가족기능이 좋았으며 (r=·50425, P=0.0001), 부모의 지지정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r=·43366, P=0.0001). 3. 일반적인 특성과 가족기능과의 관계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더 좋은 가족기능을 보였으며 (F:4.12, P=0.0077), 가족의 월수입이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가족기능이 더 높은 수준이었으며 (F=7.48, P=0.0001), 대상아의 성별은 남아가 여아보다 가족기능이 더 좋았고 (T:1.65, P=0.0998), 대상아의 년령이 낮은 경우 높은 경우에서보다 가족기능 정도가 높은 편이었다 (F=3.91, P=0.0219). 일반적인 특성과 가족지지와의 관계는 부모의 교육수준정도가 높은 집단에서 낮은 집단보다 가족지지정도가 많은 편이었으며 (부:F=10.16 P=0.0001, 모:F=8.16, P0.0001), 가족의 월수입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좋은 가족지지를 보였고(F=8.70, P=0.0001), 총자녀수가 많은 경우보다 적은 경우에서 더 높은수준의 가족지지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2.64, P=0.0505). 또 대상아의 성별이 남아에서 여아보다 가족지지가 더 좋았으며 (T= 2.42, P=0.0169), 지능지수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가족지지 정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4.36, P:0.0057). 4.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부부만족도, 대상아 장래걱정, 가족의 월수입, 대상아의 성별 등에서 43.2%정도의 예측능력이 있었고, 가족지지에는 가족의 월수입, 대상아 장래걱정, 아버지의 교육수준, 부부만족도 및 대상아의 성별과 지능지수등에서 38.2%정도 예측능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정신박약아의 가족기능은 보통정도였으며, 가족지지 정도는 보통이하로 낮은 편이었다. 또 정신박약아의 가족지지정도가 높을수록 가족기능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정신박약아의 재활을 돕기 위한 가족기능 및 가족지지 정도를 확인하므로서 정신박약아를 가진 가족의 가족중심 간호중재를 적용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