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청년·중년·노년 여성의 항목재인과 공간위치기억에 관한 연구

Title
청년·중년·노년 여성의 항목재인과 공간위치기억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MEMORY FOR ITEMS AND THERE SPATIAL LOCATIONS BY YOUNG AND MIDDLE-AGED, ELDERLY WOMEN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청년중년노년여성항목재인공간위치기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According to Hasher and Zacks(1979), spatial location information is involved in the automatic processing which requires minimal attention and is assumed to show no developmental change throughout the life span. Therefore, spatial location memory should come easily to the old as the young.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Hasher and Zacks' developmental prediction and examines whether age differences are in recognition memory for items and memory for the spatial location of the items. Young (age range 20-24) and middle-aged (age range 37-45), elderly (age range 57-67) women viewed a model of a city ,with 16 buildings that placed on the display. The buildings were represented on the model with or without an accompanying name label on each building. After studying the display, subjects were tested on recognition of the building names, picture recognition of the buildings, and spatial memory for where the building had been loc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patial relocation accuracy declined with advancing age and the elderly women performed the least accurate relocation on all conditions. But this developmental deterioration in spatial location memory seems to come out in middle-aged. 2. For all age groups, location information was more accurately retained with memory for verbal than picture aspects of the stimuli. 3. Items recognition accuracy except name hit rates was similar for all age groups. Overall name recognition accuracy was high but picture recognition accuracy was low. 4. For all age groups, the presence of the name label on each building significantly reduced picture recognition accuracy but improved relocation accuracy. Especially, picture recognition accuracy of elderly adults was remarkably declined by the presence of the name label on each buil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do not support Hasher and Zacks'(1979) developmental prediction.;공간위치에 대한 기억은 자동적 처리에 포함되어 연령에 따른 발달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Hasher와 Zacks(1979)는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이러한 주장에 근거하여 공간상에 배열된 시각적·언어적 자료의 공간위치기억과 항목 자체에 대한 재인기억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실험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피험자들은 교육수준이 서로 비슷한 청년여성(20∼24세), 중년여성(37∼45세) 및 노년여성(57∼67세) 72명이었고 이들은 세가지 실험조건에 각각 8명씩 우선적으로 배정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중년·노년피험자들은 모두 1986년 9월 현재 이화여대 평생교육원에서 한 과목 이상의 강좌를 수강하는 여성들이다. 피험자들은 16개의 건물이 배열되어 있는 한 도시의 모형지도를 보았는데, 이때 각 건물은 이름만 있는 조건, 건물그림만 제시된 조건, 그리고 그림과 이름이 함께 제시된 그림+이름조건의 세 가지 실험 조건에 있다. 지도 위의 배열을 학습하게 한 후 피험자들에게 건물 이름재인과 그림재인검사를 실시한 다음 지도 위에 건물들을 재위치 하게 함으로써 공간위치 기억을 검사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조건의 공간위치기억에서 연령에 따른 발달적 감퇴가 나타나 노년피험자의 수행이 가장 덜 정확했지만 그러한 감퇴는 중년기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다. 2. 모든 연령에서 공간위치정보는 시각적 자극보다 언어적 자극일 때 더 정확하게 기억되었다. 3. 항목재인에서 청년과 중년 및 노년피험자들은 서로 비슷한 수행을 하였지만 이름재인 명중률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가 나타났다. 즉 청년의 이름재인 명중률은 중년과 노년보다 높고, 중년과 노년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4. 부가적 분석에서, 그림자료에 이름을 함께 제시하는 것은 각 연령집단의 재위치수행을 향상시켰지만 그림재인정확도는 떨어뜨렸다. 특히 노년피험자들의 경우, 그림자료에 이름이 함께 제시됨으로써 그림재인정확도가 현저히 낮아졌다.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공간위치정보는 자동적으로 처리되므로 발달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Hasher와 Zacks(1979)이론을 지지하지 않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